韓國語(한국어) 入力(입력)方式(방식)

文書(문서)에서는 韓國語(한국어) 入力(입력)方式(방식)種類(종류)特徵(특징)()해 다룬다.

한글入力(입력)[編輯]

유니코드에서는 한글 音節(음절)()() 다른 文字(문자)코드가 配定(배정)完成型(완성형)코드採擇(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키보드配列(배열)字素(자소)組合(조합)해주기 ()IME必要(필요)하다.

두벌()[編輯]

部分(부분)本文(본문)두벌()입니다.

한글 字素(자소)子音(자음)母音(모음)으로 區分(구분)方式(방식)이다. 大韓民國(대한민국)北韓(북한) 標準(표준)配列(배열)이 여기에 ()한다.

種類(종류)[編輯]

部分(부분)本文(본문)韓國語(한국어) 入力(입력)方式(방식)/두벌()입니다.

세벌()[編輯]

部分(부분)本文(본문)세벌()입니다.

한글 字素(자소)初聲(초성)·中聲(중성)·終聲(종성)으로 區分(구분)方式(방식)이다.

種類(종류)[編輯]

部分(부분)本文(본문)韓國語(한국어) 入力(입력)方式(방식)/세벌()입니다.

標準(표준) 配列(배열)()해진 적이 없는 ()의 여러 理由(이유)세벌() 字板(자판)은 여러 配列(배열)共存(공존)한다.

其他(기타)[編輯]

打字機(타자기)[編輯]

部分(부분)本文(본문)한글打字機(타자기)입니다.

打字機(타자기) 時節(시절)에는 키 하나가 活字(활자) 하나에 該當(해당)했기 때문에 美麗(미려)字體(자체)()하여 初中終(초중종)()에서 더 細分(세분)네벌(), 다섯벌()存在(존재)했다.

漢字(한자)變換(변환)[編輯]

個人(개인)() 컴퓨터普及(보급)되기 始作(시작)할 때에는 이미 한글專用(전용)一般化(일반화)되어 있었기 때문에 韓國語(한국어) IME는 漢字(한자)變換(변환) 機能(기능)貧弱(빈약)()이다. ‘韓國語(한국어)入力(입력)’, ‘韓國語(한국어)IME’라는 말 代身(대신) ‘한글入力(입력)’, ‘한글IME’라는 用語(용어)通用(통용)되기도 하며, 스마트폰() 모바일 環境(환경)에서는 漢字(한자)使用(사용)이 처음부터 排除(배제)되어 글() 單位(단위) 入力(입력)조차 支援(지원)하지 않는 境遇(경우)大部分(대부분)이다.

() 變換(변환)[編輯]

漢字(한자)()該當(해당)하는 한글音節(음절) 하나를 漢字(한자) 한 글()變換(변환)한다. ()를 들어 ‘()’을 入力(입력)하려면 ‘한’을 打字(타자)() 變換(변환)使用(사용)하는 特殊(특수)키(漢字(한자))를 눌러, 表示(표시)目錄(목록)에서 ‘()’을 찾아 該當(해당)하는 番號(번호)키를 누른다.

單語(단어)單位(단위) 變換(변환) 없이 이 機能(기능)만을 支援(지원)하는 環境(환경)에서는 漢字語(한자어)入力(입력)하려면 한 글()入力(입력)變換(변환)反復(반복)해야 한다. 假令(가령)漢字語(한자어)’를 入力(입력)한다면 ‘한’을 打字(타자)하고 ()()()()()... ()에서 ‘()’, ‘자’를 選擇(선택)하고 ()()()()()...에서 ‘()’, ‘어’를 選擇(선택), ()()()()()...에서 ‘()’를 골라야 한다.

매우 번거롭고 不便(불편)方式(방식)이지만, 윈도우() 運營體制(운영체제)基本(기본)環境(환경)에서는 最近(최근)까지 이 方法(방법)만을 支援(지원)하고 있었다. 모바일環境(환경)에서도 漢字(한자)變換(변환)支援(지원)한다면 이것만 있는 境遇(경우)十中八九(십중팔구).

漢字語(한자어) 變換(변환)[編輯]

漢字(한자)()單語(단어)單位(단위)入力(입력)한 다음 통째로 變換(변환)할 수 있는 方式(방식)이다. 使用(사용)()가 없는 ‘()()()’ 같은 變換(변환)結果(결과)排除(배제)되기 때문에 國漢文(국한문)混用(혼용)을 할 때 () 便利(편리)하다.

大部分(대부분)境遇(경우) 워드프로세서에서나 使用(사용)할 수 있었으며, 最近(최근) 들어서야 運營體制(운영체제) 次元(차원)에서도 基本(기본) 支援(지원)하게 되었다. 그러나 使用(사용)할 수 있는 境遇(경우)制限的(제한적)() 不便(불편)함은 如前(여전)하며, 모바일環境(환경)에서는 支援(지원)되는 것조차 보기 힘들다.

參考(참고)[編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