候文(日本語: さうらふぶん, 소로분)은 日本의 中世에서 近代 時期에 나타난 文語體의 一種이다. 文章 끝에 丁寧함을 나타내는 補助動詞 "候"를 붙이는 것에서 由來한 이름이다.
特徵[編輯]
文章의 끝에 候를 붙인다. 以外에도 奉候, 仕候, 存候, 御座候 等의 패턴이 있다.
漢文式 語順으로 쓰고 日本語 語順으로 고쳐 읽는 境遇가 많다. 흔한 패턴으로 如, 不, 為, 令, 可, 被 等이 있다.
現代에는 平假名으로 表記하는 接續詞, 副詞, 代名詞, 助動詞 等도 大部分 該當하는 漢文式 表現으로 적는다.
訓借 表現도 흔히 보인다.
歷史[編輯]
例文[編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