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글 (→ |
잔글編輯 要約 없음 |
||
(같은 | |||
1番째 줄: | 1番째 줄: | ||
[[File:倉頡輸入法 拆碼.jpg|thumb|right]] | [[File:倉頡輸入法 拆碼.jpg|thumb|right]] | ||
倉頡輸入法은 [[ 字形]] 에 基盤해서 漢字를 수 있는 [[ 中國語 入力方式]] 이다. | |||
倉頡輸入法은 | |||
== 名稱 == | == 名稱 == | ||
이름의 | 이름의 ‘ 倉 頡’ 은 漢字를 만들었다는 傳說 속 人物 [[倉頡]]에서 따 왔으며, ‘ 輸入 法’ 은 'Input Method([[ 入力方式]], 入力法)'의 [[中國語]] 譯語이다. {{*|'Input'은 [[韓國語]]나 [[日本語]]에서는 [[ 入力]] 이라고 飜譯된다.}} | ||
== 特徵 == | == 特徵 == | ||
漢字의 字形을 基盤으로 各 글字의 入力法이 定해지므로 特定 [[言語]]의 [[漢字音]]을 모르더라도 模樣만 알고 있다면 支援하는 모든 글字를 入力할 수 있다. 例를 들어 [[一]]을 세番 누르면 [[三]]이, [[日]]과 [[月]]을 次例로 누르면 [[明]]이 入力된다. | 漢字의 字形을 基盤으로 各 글字의 入力法이 定해지므로 特定 [[言語]]의 [[漢字音]]을 모르더라도 模樣만 알고 있다면 支援하는 모든 글字를 入力할 수 있다. 例를 들어 [[一]]을 세番 누르면 [[三]]이, [[日]]과 [[月]]을 次例로 누르면 [[明]]이 入力된다. | ||
모든 글字는 5打 | 모든 글字는 5打內에 完成된다. 위의 三이나 明보다 複雜하고 劃이 많은 글字는 規則에 따라 中間의 要素를 省略해서 어떻게든 한 글字가 5打內로 構成되게 된 다. | ||
=== 破字法 === | |||
{{本文|倉頡輸入法/破字法}} | |||
英文字板 26키 以內에 모든 構成要素를 집어넣다 보니, 글字에 對해 갖고 있는 이미지에 反하거나 억지스러운 破字法이 登場하기도 한다. 代表的인 例示로 ‘[[車]]’는 十田十으로 入力한다(...). | |||
또, 基本的인 構成要素조차도 다른 글字와 組合할 때에는 劃의 一部만 따서 가져오거나 그걸 다시 擴大解釋하는 等 마냥 쉽게만 배울 수 있는 水準은 아니 다. | |||
== 用例 == | |||
字形基盤이며 1字當 最大 5打라는 빠른 速度를 갖췄기 때문에, [[中國語]]를 모르거나 使用하지 않더라도 이걸 익혀서 [[漢文]] 等을 入力할 때 使用하는 境遇도 있다. | 字形基盤이며 1字當 最大 5打라는 빠른 速度를 갖췄기 때문에, [[中國語]]를 모르거나 使用하지 않더라도 이걸 익혀서 [[漢文]] 等을 入力할 때 使用하는 境遇도 있다. | ||
또, 方言이 多樣한 [[中國語]]의 境遇 各 [[方言]]別로 漢字音이 差異가 많이 나는데, 이와 같은 字形基盤 入力方式을 使用할 경우, 基準이 되는 發音을 잘 모르는 方言 話者도 손쉽게 글字를 入力할 수 있다는 長點이 있다. 이러한 特性 때문에 [[香港]]에서 [[廣東語]]를 入力할 때 主로 使用된다. | 또, 方言이 多樣한 [[中國語]]의 境遇 各 [[方言]]別로 漢字音이 差異가 많이 나는데, 이와 같은 字形基盤 入力方式을 使用할 경우, 基準이 되는 發音을 잘 모르는 方言 話者도 손쉽게 글字를 入力할 수 있다는 長點이 있다. 이러한 特性 때문에 [[香港]]에서 [[廣東語]]를 入力할 때 主로 使用된다. | ||
[[分類:入力方式]] | == 配列 == | ||
{{키보드配列 | |||
| Q = 手 | |||
| W = 田 | |||
| E = 水 | |||
| R = 口 | |||
| T = 廿 | |||
| Y = 卜 | |||
| U = 山 | |||
| I = 戈 | |||
| O = 人 | |||
| P = 心 | |||
| A = 日 | |||
| S = 尸 | |||
| D = 木 | |||
| F = 火 | |||
| G = 土 | |||
| H = 竹 | |||
| J = 十 | |||
| K = 大 | |||
| L = 中 | |||
| Z = 重 | |||
| X = 難 | |||
| C = 金 | |||
| V = 女 | |||
| B = 月 | |||
| N = 弓 | |||
| M = 一 | |||
}} | |||
== 配置原理 == | |||
各 字根은 類型別로 나누어 알파벳으로 順序를 매기고 QWERTY 基準으로 配置되었다. 字根들의 頻度가 고른 便이기 때문에 疲勞度 等 計算이 意味없어서 그런 것으로 보인다. | |||
=== 哲學類 === | |||
日月金木水火土 -- ABCDEFG | |||
[[五元素]]에 해와 달을 함께 묶은 類型. | |||
=== 筆劃類 === | |||
竹戈十大中一弓 -- HIJKLMN | |||
基本的인 筆劃으로 使用되는 類型. | |||
=== 人體類 === | |||
人心手口 -- OPQR | |||
身體部位를 나타내는 漢字를 묶은 類型. | |||
=== 字形類 === | |||
尸廿山女田卜 -- STUVWY | |||
여러가지 字形으로 變形되어 쓰이는 類型. | |||
=== 特殊鍵 === | |||
難重 (XZ) | |||
[[難]]은 形態가 複雜하여 破字를 하기 困難하거나 頻度가 떨어지는 一部 字形에 쓰인다. {{*|[[齊]](卜難), [[臼]](竹難), [[龜]](弓難山) 等.}} | |||
[[重]]은 元來 破字法(字根)이 같은 글字들을 分別하기 爲해 쓰였는데, 倉頡三代부터는 使用하지 않게 되어 現在는 入力機 具現에 따라 다른 作動을 한다. 重難으로 始作하는 코드에 [[文章符號]]를 配定하기도 하고, [[와일드카드]]로 쓰이기도 한다. | |||
== 初期시스템 == | |||
現在 여러가지 컴퓨터 環境에서 使用할수있는 倉頡輸入法은 破字法대로 글字를 치면 이미 만들어져 있는 테이블을 檢索해서 結果를 出力하는 至極히 一般的인 [[CJK]] [[入力方式]]이지만, 事實 이 프로그램은 [[1976年]]에 처음 만들어졌다 한다! | |||
當時 컴퓨터의 處理能力과 貯藏容量, RAM 等으로는 [[漢字]]는커녕 [[한글]]入出力도 基本的으로 하지 못해서, [[淸溪川 한글카드]]같은 擴張카드 같은게 있어야 艱辛히 可能한 水準이었다. 그 한글카드마저 [[인코딩]]領域과 폰트容量의 限界가 있어 1,700字 程度를 아스키와 나눠쓰는 方式이었다. | |||
[[File:Mingzhu xiaoziku1.PNG|thumb]] | |||
極初期 倉頡輸入法도 하드웨어를 擴張하여 漢字入出力을 具現했는데, 不足한 處理能力과 記憶容量, 貯藏容量을 '''모든 字形을 準備해두지 않고 폰트에 없는 글字는 實時間으로 만들어내는''' 方法으로 한番에 잡았다. '[[漢]]'字는 ETAO로 破字하는데, 이를 파일에 貯藏하거나 할때 亦是 'ETAO'란 倉頡코드가 그대로 들어가는 것이다. 또, 이 글字를 불러와 畵面에 그릴때에는 破字法을 逆으로 適用해 兩쪽 部分의 폰트를 불러와 合成해서 보여주는 것이다. | |||
== 關聯文書 == | |||
* [[五筆字形輸入法]] | |||
* [[行列輸入法]] | |||
* [[漢字直接入力]] | |||
== 外部링크 == | |||
* 初期 倉頡輸入法 使用해보기 ([[DOS]]) [http://www.cbflabs.com/down/show.php?id=62] | |||
[[分類: 中國語 入力方式]] |
2023年4月7日(金)02時34分 基準 最新版
名稱 [編輯]
이름의 ‘
特徵 [編輯]
모든 글
破字 法 [編輯]
또,
用例 [編輯]
또,
配列 [編輯]
~ ` |
! 1 |
@ 2 |
# 3 |
$ 4 |
% 5 |
^ 6 |
& 7 |
* 8 |
( 9 |
) 0 |
_ - |
+ = |
Backspace | ||||||||||||||||
---|---|---|---|---|---|---|---|---|---|---|---|---|---|---|---|---|---|---|---|---|---|---|---|---|---|---|---|---|---|
Tab | { [ |
} ] |
| \ | ||||||||||||||||||||||||||
Caps Lock | : ; |
" ' |
Enter | ||||||||||||||||||||||||||
Shift | < , |
> . |
? / |
Shift | |||||||||||||||||||||||||
Ctrl | Win | Alt | Space | Alt | Win | Menu | Ctrl |
配置 原理 [編輯]
哲學 類 [編輯]
筆 劃 類 [編輯]
人體 類 [編輯]
字形 類 [編輯]
여러가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