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글編輯 要約 없음 |
編輯 要約 없음 |
||
(같은 | |||
1番째 줄: | 1番째 줄: | ||
[[파일:Cheonjiin.jpg|thumb]] | [[파일:Cheonjiin.jpg|thumb]] | ||
天地人은 携帶電話用 [[韓國語 入力方式]]이다. | 天地人은 携帶電話用 [[韓國語 入力方式]]이다. | ||
8番째 줄: | 6番째 줄: | ||
母音키가 [[天地人|ㅣ,ㆍ,ㅡ]]로 構成되며 이것을 組合하여 모든 母音을 入力할 수 있다. 子音키는 ㄱㄴㄷ順으로 키 하나에 두글字씩 配定되여 된소리는 連打로 入力한다. | 母音키가 [[天地人|ㅣ,ㆍ,ㅡ]]로 構成되며 이것을 組合하여 모든 母音을 入力할 수 있다. 子音키는 ㄱㄴㄷ順으로 키 하나에 두글字씩 配定되여 된소리는 連打로 入力한다. | ||
[[母音]]을 構成하는 가장 작은 單位인 天地人으로 모든 母音을 入力하기 때문에 [[한글]]의 創製原理만 알면 쉽게 익힐수 있다. 하지만 構成要素가 單純한만큼 한字를 完成하는데 必要한 打數 亦是 倍로 많아지므로 어느程度 熟達된 使用者에게는 많은 打數가 발목을 잡을 수 있다. | |||
한 키當 [[子音]] 하나가 配定되고 劃追加를 別途의 키로 하게 되어 있는 나랏글과 달리 같은 키 連打時 音節間 衝突이 일어날 수도 있다. 例를들어 ‘학교’를 入力한다고 假定하면 ‘하쿄’가 될 可能性이 있는 것이다. 普通 使用者들은 이런 境遇에 空白키를 눌러 組合을 强制로 끊는 方法을 使用한다. | |||
== 歷史 == | == 歷史 == | ||
14番째 줄: | 14番째 줄: | ||
[[2011年]] 나랏글과 SKY-II 方式과 더불어 스마트폰用 한글字板 複數標準으로, 피처폰用은 單一標準으로 採擇되었다. [[2014年]]에는 國際電氣通信聯合(ITU)에서 國際標準으로 決定됐다. | [[2011年]] 나랏글과 SKY-II 方式과 더불어 스마트폰用 한글字板 複數標準으로, 피처폰用은 單一標準으로 採擇되었다. [[2014年]]에는 國際電氣通信聯合(ITU)에서 國際標準으로 決定됐다. | ||
{{携帶電話 入力方式}} | |||
[[分類:携帶電話 入力方式]] | |||
[[分類:韓國語 入力方式]] | [[分類:韓國語 入力方式]] |
2025年3月6日(木)05時18分 基準 最新版

特徵 [編輯]
한 키
歷史 [編輯]
標準化 [編輯]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