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本語(일본어)漢字(한자)

(日文漢字에서 넘어옴)

간지(かんじ)라고 불리는 日本語(일본어)에서 使用(사용)되는 漢字(한자)()하여 다룬다.

日本式(일본식) 漢字(한자)[編輯]

一部(일부) 漢字(한자)日本(일본)에서 만들어져 쓰인다. 이런 漢字(한자)國字(국자)(고쿠지), ()()()漢字(한자)(와세이칸지)라고 부른다. [1]

()(つじ, 네거리), ()(とうげ, 고개), ()(はたけ, 밭)과 같이 옛날에 만들어졌던 것과, 西洋(서양) 文明(문명)影響(영향)을 받아 近代(근대)에 만들어진 ()(スイ), ()(セン, (韓國(한국)에서도 쓰인다)), ()(キログラム, 킬로그램漢字(한자)代用(대용)), ()(かばん, 가방) ()이 있다. ()()/() ()()만 가진 것들이 많은데, (はたらく·ドウ, 일하다)같이 ()을 가지는 것도 있으며, ()(ビョウ), ()(コウ) ()과 같이 ()만을 가지는 것도 있다.

中國(중국)에 있는 글()인지 모르고 만들어진 글()도 있으며, 漢字(한자)에 새 意味(의미)追加(추가)한 것도 있는데 이것들은 ()만이 日本製(일본제)인 것에서 ()()이라고 부른다. 中國(중국)에서는 意味(의미)가 사라진 것 (()(しずく)())은 中國(중국)에선 사라진 意味(의미)日本(일본)에 남아있는 것일 可能性(가능성)排除(배제)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이라 하지 않는다. 이 ()中國(중국)이나 韓國(한국) ()에 거꾸로 輸出(수출)되어 使用(사용)되고 있는 漢字(한자)도 있다. (위의 과 같은 ())

漢字(한자)範圍(범위)[編輯]

現在(현재) 日本(일본)에서는 常用漢字(상용한자) 2136()制定(제정)하여 使用(사용)하고 있다. ()外字(외자)原則的(원칙적)으로 假名(가명)으로 表記(표기)하게 되어있다.

以外(이외)에도 國語(국어)改革(개혁)으로 單語(단어) ()漢字(한자)同音(동음)漢字(한자)()代替(대체)境遇(경우)가 있다. ()()(聯合(연합)) 放棄(방기)(抛棄(포기)) ().

字形(자형)[編輯]

大韓民國(대한민국)이나 中華民國(중화민국)에서 使用(사용)되는 正體(정체)()(康熙字典(강희자전)()) 代身(대신) 新字(신자)()使用(사용)한다.

()이 많고 複雜(복잡)한 글()略字(약자)標準(표준)으로 指定(지정)되어 있는데 모든 漢字(한자)簡略(간략)()된 것은 아니다. 또, 中國(중국)에서 使用(사용)되는 簡體字(간체자)와 다른 것도 많다.

읽는()[編輯]

音讀(음두)[編輯]

音讀(음두)(音読み, 온요미)은 ()을 따라 읽는 것을 말한다.

訓讀(훈독)[編輯]

訓讀(훈독)(訓読み, 군요미)는 뜻을 읽는 것을 말한다. 流れ星(ながれぼし)

混用(혼용)[編輯]

音讀(음두)訓讀(훈독)이 섞여 있는 境遇(경우)도 있다. 音讀(음두)+訓讀(훈독)인 것을 '주바코 요미'(重(ジュウ)箱(ばこ)読み), 訓讀(훈독)+音讀(음두)인 것을 '유토 요미'(湯(ゆ)桶(トウ)読み)라고 한다.

同形(동형)異義(이의)() () 音讀(음두)訓讀(훈독)에 따라 뜻이 달라지는 境遇(경우)도 있다. 假名(가명)이라고 썼을 때, 가짜 이름이라는 뜻의 假名(가명)이라는 뜻이 되기도 하고(カメイ), ()假名(가명)()假名(가명)總稱(총칭)하는 假名(가명)文字(문자)(カナ)를 가리키기도 한다.

其他(기타)[編輯]

같은 漢字(한자)反復(반복)해서 쓸 때, 를 그 자리에 代身(대신) 써 준다. ()를 들어 日本語(일본어)에서 ‘ひとびと’(사람들)에 該當(해당)하는 漢字(한자) 表記(표기)는 ‘人人’인데, 人々라고 적는다. 히라가나일 境遇(경우) 또는 를 쓰고 가타카나일 境遇(경우) 또는 를 쓴다. 이 글()入力(입력)하기 ()해서는 'おなじ'를 치고 變換(변환)하면 된다.

關聯(관련)項目(항목)[編輯]

  1. sci.lang.japan AFAQ 參考(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