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글編輯 要約 없음
 
(使用者(사용자) 3()中間(중간) () 12()는 보이지 않습니다)
1番째 줄: 1番째 줄:


{{토막 }}
[[파일:國漢文混用.png|thumb|right|國漢文混用으로 된 이 文書의 本文]]
[[韓國語]]를 적을 때 [[國文]]([[한 ]])과 [[漢文]]([[漢字]])을 섞어서(混) 쓰는(用) 表記法을 말한다.


==  槪要 ==
==  歷史 ==
[[ 韓國語]]를  적을 [[國文]]([[ 한글]])과 [[漢文]]([[漢字 ]])을 섞어 ( ) 表記法을 말한 다.
[[ 朝鮮時代]]에도 [[訓民正音言解]] 等과 같이 [[諺文]](한글)으로 註釋을 다는 境遇는 있었지만 거의 쓰이지 않았고, 각 글字마다 소리 를  表記하는 것은 [[國 倂用]] 에 가까웠다.
 
[[ 開化期]] 에 들어서 [[ 西遊見聞]]에서 最初로 現代式 國 漢文 에 가까운 文體가 使用되었고, [[甲午改革]] 以後로 法律과 勅令 等에서까지 널리 使用되게 되었다.
 
== 衰退 ==
[[1969年]] [[ 한글專用 五個年計劃]]이 施行되고  漢字 에 對한 敎育이 中斷되었지만, 그 後 얼마間은 [[新聞]] 이나 媒體 等 日常에 는 國漢文 用體가 如前히 많이 이고 있었 다.


== 歷史 ==
  그러나 [[ 한글世 代]] 가 늘어나며 [[漢字]]의 識者層이 漸次 줄어들면서 新聞 서도 漢字는 數字 程度에나 쓰게 되다가, 그마저 도 [[ 가로쓰기]] 함께 사라지며 [[한글專用]] 되었고, 國漢文으로 되어 있던 [[ 法律]] 마저도 모두  한글 專用 으로  改編하는 作業 을  하여 現在는 國漢文으로 된 文書나 媒體를 거의 찾아볼 수 없게 되었 .
[[ 朝鮮時 代]]에도 [[ 訓民正音言解]]  等과 이 [[ 彦文]]( 한글) 으로  註釋 을 다는  境遇 는  있었 거의 쓰이 않았 고,  글字 다  소리를 表記하는 은 [[國漢 文倂用]] 가까웠 다.
 
== 現代에서의 使用 ==
[[北韓]]에서 는  일찍이 漢字를 廢止했으며, 南韓에서 [[1990年代]]부터 [[한글專用]]이 本格的으로 이루어 기 始作했다. 現在 [[新聞]]에서 쓰이 漢字라 는 [[北韓|北]], [[靑瓦臺|靑]], [[美國|美]] 程度 뿐이며, [[法曹界]]나 [[學術書籍]]等에서도 한글專用化를 施行하여 로만 적힌 冊 以外에는 거의 찾아볼 수 없다.
 
하지만 [[延邊]]地域에서는 [[簡化 ]]와 한글을 混用한다. 읽는 法은 [[中國語]]와 [[韓國語]] 둘  로 읽을 수 있지만, 延邊 사람들 은 [[ 國漢 字音]] 으로 읽는다고 다.


[[開化期]]에 들어서 [[西遊見聞]]에서 最初로 現代式 國漢 에 가까운 文體가 使用되었고, [[甲午改革]] 以後로 法律과 勅令 등에서까지 널리 使用되게 되었다.
{{分岐|한글| 段=TRUE|版=3353}}


== 混用程度 ==
== 混用程度 ==
15番째 줄: 25番째 줄:
* 漢字語 중 任意의 단어만 選擇해서 漢字로 표기
* 漢字語 중 任意의 단어만 選擇해서 漢字로 표기


 위 例示와 같이 [[漢字]]를 어느 정도 쓰느냐에 따라서도 差異가 많이 난다. 及其也는 [[開化期]] 文章처럼 [[漢字語]]를 最大로 使用하고 [[固有語]]마저도 漢字로 表記하는 甚히 讀하기 難한 [[文體]]가 登場하기도 한다.
 위 例示와 같이 [[漢字]]를 어느 程度 쓰느냐에 따라서도 差異가 많이 난다. 及其也는 [[開化期]] 文章처럼 [[漢字語]]를 最大로 使用하고 [[固有語]]마저도 漢字로 表記하는 甚히 讀하기 難한 [[文體]]가 登場하기도 한다. [[漢文]]套의表現이同伴되는境遇가多하며 其例로[[己未獨立宣言書]]가存在한다.
 
== 關聯文書 ==
* [[韓國語]]
* [[漢字]]
* [[한글專用]]
* [[國漢文倂用]]


[[分類:國漢文混用]]
[[分類:國漢文混用]]

2023年7月1日(土)21時24分 基準 最新版

國漢文混用으로 된 이 文書의 本文

韓國語(한국어)를 적을 때 國文(국문)(한글)과 漢文(한문)(漢字(한자))을 섞어서(()) 쓰는(()) 表記法(표기법)을 말한다.

歷史(역사)[編輯]

朝鮮(조선)時代(시대)에도 訓民正音(훈민정음)()() ()과 같이 諺文(언문)(한글)으로 註釋(주석)을 다는 境遇(경우)는 있었지만 거의 쓰이지 않았고, 각 글()마다 소리를 表記(표기)하는 것은 國漢文(국한문)倂用(병용)에 가까웠다.

開化期(개화기)에 들어서 西遊見聞(서유견문)에서 最初(최초)現代式(현대식) 國漢文(국한문)에 가까운 文體(문체)使用(사용)되었고, 甲午改革(갑오개혁) 以後(이후)法律(법률)勅令(칙령) ()에서까지 널리 使用(사용)되게 되었다.

衰退(쇠퇴)[編輯]

1969() 한글專用(전용) 五個年計劃(오개년계획)施行(시행)되고 漢字(한자)()敎育(교육)中斷(중단)되었지만, 그 () 얼마()新聞(신문)이나 媒體(매체) () 日常(일상)에서는 國漢文(국한문)混用體(혼용체)如前(여전)히 많이 쓰이고 있었다.

그러나 한글世代(세대)가 늘어나며 漢字(한자)識者(식자)()漸次(점차) 줄어들면서 新聞(신문)에서도 漢字(한자)數字(숫자) 程度(정도)에나 쓰게 되다가, 그마저도 가로쓰기와 함께 사라지며 한글專用(전용)이 되었고, 國漢文(국한문)으로 되어 있던 法律(법률)마저도 모두 한글專用(전용)으로 改編(개편)하는 作業(작업)을 하여 現在(현재)國漢文(국한문)으로 된 文書(문서)媒體(매체)를 거의 찾아볼 수 없게 되었다.

現代(현대)에서의 使用(사용)[編輯]

北韓(북한)에서는 일찍이 漢字(한자)廢止(폐지)했으며, 南韓(남한)에서는 1990年代(연대)부터 한글專用(전용)本格的(본격적)으로 이루어지기 始作(시작)했다. 現在(현재) 新聞(신문)에서 쓰이는 漢字(한자)라고는 (), (), () 程度(정도) 뿐이며, 法曹界(법조계)學術(학술)書籍(서적)()에서도 한글專用(전용)()施行(시행)하여 한글로만 적힌 () 以外(이외)에는 거의 찾아볼 수 없다.

하지만 ()()地域(지역)에서는 ()()()와 한글을 混用(혼용)한다. 읽는 ()中國語(중국어)韓國語(한국어) 둘 다로 읽을 수 있지만, ()() 사람들은 韓國(한국)漢字(한자)()으로 읽는다고 한다.

文段(문단)한글 3353()에서 ()()하였습니다.

混用(혼용)程度(정도)[編輯]

  • 모든 漢字語(한자어)漢字(한자)表記(표기)
  • 벽자가 들어간 漢字語(한자어)除外(제외)한 모든 漢字語(한자어)漢字(한자)表記(표기)
  • 漢字語(한자어)任意(임의)의 단어만 選擇(선택)해서 漢字(한자)로 표기

例示(예시)와 같이 漢字(한자)를 어느程度(정도) 쓰느냐에 따라서도 差異(차이)가 많이 난다. 及其也(급기야)開化期(개화기) 文章(문장)처럼 漢字語(한자어)最大(최대)使用(사용)하고 固有語(고유어)마저도 漢字(한자)表記(표기)하는 ()()하기 ()文體(문체)登場(등장)하기도 한다. 漢文(한문)()表現(표현)同伴(동반)되는境遇(경우)()하며 ()()己未(기미)獨立宣言書(독립선언서)存在(존재)한다.

關聯(관련)文書(문서)[編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