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番째 줄: 20番째 줄:
 하지만 [[延邊]]地域에서는 [[簡化字]]와 한글을 混用한다고 한다.
 하지만 [[延邊]]地域에서는 [[簡化字]]와 한글을 混用한다고 한다.


{{分岐|한글}}
{{分岐|한글|文段=TRUE|版=3353}}


== 混用程度 ==
== 混用程度 ==

2021年2月4日(木)15時07分 版

國漢文混用으로 된 이 文書의 本文

槪要(개요)

韓國語(한국어)를 적을 때 國文(국문)(한글)과 漢文(한문)(漢字(한자))을 섞어서(()) 쓰는(()) 表記法(표기법)을 말한다.

歷史(역사)

朝鮮(조선)時代(시대)에도 訓民正音(훈민정음)()() ()과 같이 諺文(언문)(한글)으로 註釋(주석)을 다는 境遇(경우)는 있었지만 거의 쓰이지 않았고, 각 글()마다 소리를 表記(표기)하는 것은 國漢文(국한문)倂用(병용)에 가까웠다.

開化期(개화기)에 들어서 西遊見聞(서유견문)에서 最初(최초)現代式(현대식) 國漢文(국한문)에 가까운 文體(문체)使用(사용)되었고, 甲午改革(갑오개혁) 以後(이후)法律(법률)勅令(칙령) ()에서까지 널리 使用(사용)되게 되었다.

衰退(쇠퇴)

1969() 한글專用(전용) 五個年計劃(오개년계획)施行(시행)되고 漢字(한자)()敎育(교육)中斷(중단)되었지만, 그 () 얼마()新聞(신문)이나 媒體(매체) () 日常(일상)에서는 國漢文(국한문)混用體(혼용체)如前(여전)히 많이 쓰이고 있었다.

그러나 한글世代(세대)가 늘어나며 漢字(한자)識者(식자)()漸次(점차) 줄어들면서 新聞(신문)에서도 漢字(한자)數字(숫자) 程度(정도)에나 쓰게 되다가, 그마저도 가로쓰기와 함께 사라지며 한글專用(전용)이 되었고, 國漢文(국한문)으로 되어 있던 法律(법률)마저도 모두 한글專用(전용)으로 改編(개편)하는 作業(작업)을 하여 現在(현재)國漢文(국한문)으로 된 文書(문서)媒體(매체)를 거의 찾아볼 수 없게 되었다.

現代(현대)에서의 使用(사용)

北韓(북한)에서는 일찍이 漢字(한자)廢止(폐지)했으며, 南韓(남한)에서는 1990年代(연대)부터 한글專用(전용)本格的(본격적)으로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現在(현재) 新聞(신문)에서 쓰이는 漢字(한자)라고는 (), (), () 正度(정도) 뿐이며, 法曹界(법조계)學術(학술)書籍(서적)()에서도 한글專用(전용)()施行(시행)하여 한글로만 적힌 () 以外(이외)에는 거의 찾아볼 수 없다.

하지만 ()()地域(지역)에서는 ()()()와 한글을 混用(혼용)한다고 한다.

文段(문단)한글 3353()에서 ()()하였습니다.

混用(혼용)程度(정도)

  • 모든 漢字語(한자어)漢字(한자)表記(표기)
  • 벽자가 들어간 漢字語(한자어)除外(제외)한 모든 漢字語(한자어)漢字(한자)表記(표기)
  • 漢字語(한자어)任意(임의)의 단어만 選擇(선택)해서 漢字(한자)로 표기

例示(예시)와 같이 漢字(한자)를 어느程度(정도) 쓰느냐에 따라서도 差異(차이)가 많이 난다. 及其也(급기야)開化期(개화기) 文章(문장)처럼 漢字語(한자어)最大(최대)使用(사용)하고 固有語(고유어)마저도 漢字(한자)表記(표기)하는 ()()하기 ()文體(문체)登場(등장)하기도 한다.

關聯(관련)文書(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