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五筆字型輸入法"의 두 版 사이의 差異

編輯 要約 없음
여담 추가
216番째 줄: 216番째 줄:


2급, 3급 簡略코드도 存在하지만, 漢字組立規則대로도 入力할 수 있으니 따로 외우지 않아도 됨.  
2급, 3급 簡略코드도 存在하지만, 漢字組立規則대로도 入力할 수 있으니 따로 외우지 않아도 됨.  
== 餘談 ==
1980年代 中國社會에는 컴퓨터가 잘 處理하지 못하는 漢字가 中國의 現代化를 막고 있다는 漢字破棄論이 나왔는데, 五筆字型輸入法 等 漢字 電算化의 成果가 續出하고 나서는 이런 소리를 듣기 힘들어졌다.
創製 時期는 1980年代라 많은 어려움을 겪어 왔다고 創製者 王永民氏가 밝혔다. 왜냐하면 6700餘個 漢字를 하나씩 머리쓰고 字根과 코드를 指定하는 것 自體도 무거운 任務이고, 破字法이나 字根이 하나 變動하면 一部 漢字의 코드를 다시 指定해야 하기 때문이다.
字根 指定이 手作業이니 만큼, 破字法을 따르지 않는 "事實上 틀린" 코드도 있고, 이를 修正한 코드表를 使用했는지는 入力機마다 다르는 狀況도 있다...{{*|86版 코드表는 GitHub등에서 쉽게 求할 수 있고, 그게 修正前인지 修正後인지는...}}
以下 例示는 따로 註釋 없이 86版 코드.
{| class="wikitable"
|+
|-
! 漢字 !! 三星키보드·윈도우 !! Gboard !! 公式홈피<ref>http://www.wangma.net.cn/search.aspx?sm=7</ref>
|-
| 兆{{*|字根은 水자外廓에 儿. 差異點은 打字 順序.}} || IQV || QII, IQV{{*|後에 追加}} || QII
|-
| 逃 || IQPI || QIPI || QIPI
|-
| 桃 || SIQY || SQIY || SQIY
|-
| 垂 || TGAF{{*|丿一艹士}} || TFAG{{*|丿十廿一}} || TFAG
|-
| 锤 || QTGF|| QTFG, QTGF|| QTFG
|-
| 乗{{*|日本字型. 中韓에는 乘.}} || TGAS{{*|丿一艹木}} || TGAI{{*|丿一廿小}} || 결과 없음
|}




[[分類:中國語 入力方式]]
[[分類:中國語 入力方式]]

2025年 3月 13日 (木) 01:11 版

()()字型(자형)輸入(수입)()中國語(중국어) 漢字(한자) 字型(자형)基盤(기반)으로 한 中國語(중국어) 入力(입력)方式(방식)이다. 첫 公開(공개)1986()이고, 한때 中國(중국)大陸(대륙)에서는 漢字(한자)入力(입력)手段(수단)自體(자체)認識(인식)되었으나 只今(지금)은 스마트해진 ()()入力(입력)에 밀리고 있다.

槪要(개요)

()()輸入(수입)()과 마찬가지로 漢字(한자) 讀音(독음)을 몰라도 字型(자형)만 알면 (大部分(대부분)) 入力(입력) 코드를 推測(추측)할 수 있는 長點(장점)을 가진다. 이름이 "()()"이지만 한 漢字(한자)配當(배당)된 코드는 3~4()이다. 모바일() 漢字(한자) 入力(입력)方式(방식)()()()과는 다른 方式(방식)이다.

劃數(획수)가 적은 簡體字(간체자)에 알맞게 ()()은 작게 設計(설계)되고, 打字(타자)할 때 中華人民共和國(중화인민공화국)에서 整備(정비)標準(표준) 漢字(한자) 字型(자형)筆順(필순)에 따라 ()()入力(입력)한다. (): ()日本(일본)()(()()())도 아니고, 韓國(한국)()(()()())도 아니고, 꼭 中國(중국)()(()(), UDJH)으로 入力(입력)해야 한다.

86(), 98(), 新世紀(신세기)()이라는 出市(출시)年代(연대)命名(명명)된 3가지 버전이 있다. ()() 制定(제정) 原理(원리)差異(차이)가 거의 없으나, 一部(일부) ()()의 키 配當(배당) 變更(변경)과 98()부터의 ()()() 入力(입력)()한 큰 ()()追加(추가) 때문에 버전() 互換性(호환성)이 없는 것으로 해도 無妨(무방). 86()은 애초에 GB2312에 包含(포함)한 6700餘個(여개) 簡體字(간체자)支援(지원)했는데, ()打字(타자) 規則(규칙) 變更(변경) 없이 CJK統合(통합)漢字(한자) 2()() 모두 支援(지원)하게 되었다. (), 日本(일본)韓國(한국) 漢字(한자)도 86()에서 入力(입력)할 수 있는 것.

支援(지원) 現況(현황)

가장 많이 쓰이는 버전은 86()이다. 特許(특허)期限(기한)滿了(만료)되었기 때문에, ()()支援(지원)하는 많은 機器(기기)에서는 86()支援(지원)하고 其他(기타) 버전을 支援(지원)하지 않는다.

86()支援(지원)하는 機器(기기)/소프트웨어/OS

세 버전 모두 支援(지원)

  • 公式(공식) ()()字型(자형) 入力(입력)()[2]
  • iOS, 맥OS
  • Sogou, QQ () 中國(중국)() IME[3]
  • RIME

特徵(특징)

()分斷(분단)해서 ()()으로 보는 ()()과 다르게 ()()()分斷(분단)하지 않는다. ()를 들면 ()()()로 "()()(WD)"로 入力(입력)되고, ()()로는 "()()(JS)I"로 入力(입력)된다.

複雜(복잡)漢字(한자)는 첫 3()()()과 마지막 ()()으로 入力(입력)된다. 예: ()(FJNH) = ()(F) ()(J) ユ(N) ()()()(省略(성략)) ()(H)

重複(중복) 코드를 ()하기 ()識別(식별) 코드라는 機能(기능)이 있다. 그래도 어쩔 수 없이 코드가 똑같은 漢字(한자)가 몇 () 있다. 예: ()()()(YNKY), ()()()()(TMGT), ()()()(FCU). 多幸(다행)히 이것도 單語(단어)入力(입력)으로 ()할 수 있다.

()()中文(중문) 單語(단어) 入力(입력)可能(가능). ()()()를 많이 入力(입력)하거나 한 글()入力(입력)()하는 使用者(사용자)에게는 이 機能(기능)을 끄는 것을 推薦(추천)하나, 中國語(중국어) 簡體字(간체자)로 된 文章(문장)入力(입력)할 때 큰 도움이 되기는 한다. 短點(단점)은 이 機能(기능)을 잘 利用(이용)하기 ()해서는 자주 使用(사용)하는 단어와 새롭게 나온 단어를 設定(설정)에 미리 登錄(등록)해야 便利(편리)하게 쓸 수 있는 점. (()()은 클라우드 入力(입력) 機能(기능)發達(발달)하고 새 단어 업데이트도 頻繁(빈번)하나 ()()은 아직도 그렇게 便利(편리)하는 入力(입력)()가 없다.)

()() 配置(배치)

以下(이하)는 86() 爲主(위주)說明(설명).

~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0
_
-
+
=
Backspace
Tab 35 34 33 32 31 41 42 43 44 45 {
[
}
]
|
\
Caps Lock 15 14 13 12 11 21 22 23 24 :
;
"
'
Enter
Shift 채움[4] 55 54 53 52 51 25 <
,
>
.
?
/
Shift
Ctrl Win Alt Space Alt Win Menu Ctrl
  • 키보드를 5()區域(구역)×5키로 分配(분배)하고 番號(번호)配置(배치) [5]
  • ()()은 첫 ()따라 5()區域(구역)으로 分配(분배) (()1X, ()2X, 丿()3X, ()4X, ()()5X).
  • ()만으로 된 ()()은 X1키에 配置(배치) ("한 ()"자는 11, "丿()"는 31)
  • ()反復(반복)하는 걸로 構成(구성)()()은, 反復(반복)하는 回數(횟수)따라 配置(배치) (()는 12, ()는 33, ()는 53, ()는 44)
  • ()()의 두번째 ()도 (()1, ()2, 丿()3, ()4, ()()5)이렇게 配置(배치) (大犬(대견)()는 13, ()()는 15, ()는 25, ()()()는 35, ()广()()는 41, ()()는 45, ()()는 51)
  • 그리고 ()없이 많은 例外(예외)... [6]

()()을 외우기 쉽게 ()처럼 생긴 구결이 있다.

86() ()() 口訣(구결)
1 2 3 4 5
1區域(구역)(()) G ()()()()[7]()()() F ()()()()十寸(십촌)() D 大犬(대견)()()[8]古石(고석)() S ()()西() A ()()()()[9]()()[10]()
2區域(구역)(()) H ()()[11]()()()虎皮(호피)[12] J ()()()()[13]()()()[14] K ()()()()()()[15] L ()甲方(갑방)()[16]()()()[17] M ()()()()()[18]()
3區域(구역)(丿()) T ()()()()[19]()人立(인립)[20]()()()()[21]()三一(삼일)[22] R 白手(백수)[23]()()[24]()()()[25] E ()()[26]()()[27]()()()[28] W 人和(인화)()[29]三四(삼사)()[30] Q ()()()()[31]()()()[32]()()[33]()()()()()[34]()()()[35]
4區域(구역)(()) Y 言文(언문)()广()()()()[36]()()[37]()()()()()[38] U ()()()()[39]()()() I ()()[40]()()[41]()倒立(도립)[42] O ()()()[43]()()[44]() P 之字(지자)()()[45]()()()[46]()()()[47]
5區域(구역)(()) N ()()()()不出(불출)()[48]()()[49]()()[50]()[51]()()[52] B ()()[53]()[54]()[55]()向上(향상)[56] V ()()()()()()西()[57] C ()[58]()()()()()[59] X 慈母(자모)()()[60]()()()()()()[61]

코드 附與(부여) 規則(규칙)

키 이름

키를 대표하는 ()(). 口訣(구결)에서 가장 먼저 나오는 ()(). 입력할 때 키를 4번 누르면 됨.

(): ()(GGGG), ()(QQQQ), ()(DDDD) (例外(예외): X 키는 ())

()()

()()自體(자체)入力(입력)할 때, 다음과 같은 順序(순서)入力(입력). ()은 (()G, ()H, 丿()T, ()Y, ()N) 5()의 키만으로 나타냄.

  1. ()()
  2. ()()筆順(필순) 첫 획
  3. ()()筆順(필순) 두번째 획
  4. ()()筆順(필순) 마지막 획 (없으면 생략)

(): ()(DGTY) = ()()키(D) ()(G) 丿()(T) ()(Y)

()(LTN) = ()()키(L) 丿()(T) 𠃌(N)

()(UYGH) = ()()키(U) ()(Y) ()(G) ()(H)

()()()가 1()인 경우, ()()키 2()과 LL로 入力(입력).

(): ()(GGLL); ()(NNLL)

入力(입력)() 코드()存在(존재)하지 않는 ()()入力(입력)할 수 없음.

()() 組立(조립)

()()이 아닌 ()入力(입력)할 때, 中國(중국) 漢字(한자)筆順(필순) 따라 漢字(한자)()()으로 分解(분해)하고 하나씩 入力(입력).

(): ()(WGQJ) = ()(W) ()(G) ()(Q) ()(J)

()(NNHY) = 𠃌𠃌()()

()(XQY) = ()()()

()(DP) = ()()[62]

()()이 너무 많을 때 中間(중간)()()省略(성략)한다.

  1. 첫번째 ()()
  2. 두번째 ()()
  3. 세번째 ()()
  4. 마지막 ()()

예: ()(YNKY) = ()()()()()()()


破字(파자)()

()()哲學(철학)에서, ()()()關係(관계)를 4種類(종류)分類(분류):

  1. (): ()() 하나만으로 漢字(한자)가 됨. (): ()()
  2. (): 明白(명백)하게 이어지지 않는 여러 部分(부분)으로 된 漢字(한자). (): (), ()
  3. (): ()()들이 서로 接觸(접촉)한다. (): ()()()接觸(접촉)), ()(𠂉와 ()接觸(접촉)), ()
  4. (): ()()이 다른 ()을 뚫린다. (): ()()()를 뚫림), (), ()

破字(파자)():

  1. ()()()(): 큰 ()()選好(선호)함. 예: ()()()()() ❌)(()()() GUH⭕)[63].
  2. ()()()(): 直觀(직관)()重視(중시). 直觀(직관)()()筆順(필순)無視(무시)할 수 있음. 예: ()木人(목인)() SWWI), ()()() GOI). ()자처럼 外廓(외곽)()()이 된 境遇(경우)筆順(필순)() 外廓(외곽)을 마지막으로 닫아야 되는데 ()()筆順(필순)無視(무시)하고 ()外廓(외곽) ()內容(내용)으로 處理(처리).
  3. ()()()()()()()(): ()으로 判斷(판단)할 수 있으면 ()으로 處理(처리)하지 않고, ()이 보이는 ()()處理(처리)하지 않는다. 이는 ()(TFJ)와 ()(RHK), ()(TDU)와 ()(RWI) 등의 區分法(구분법).


字型(자형) 識別(식별) 코드

漢字(한자)構造(구조)와 마지막 ()에 따라 識別(식별)코드로 入力(입력)코드를 채운다.

字型(자형) 識別(식별) 코드
構造(구조) 左右(좌우) 上下(상하) 其他(기타)
() 11G 12F 13D
() 21H 22J 23K
丿() 31T 32R 33E
() 41Y 42U 43I
() 51N 52B 53V

예: "()"자를 칠 때는 ()() 따라 KC를 친다. 근데 "()"와 "()", "()"의 ()() 코드도 KC다. "()"자의 마지막 ()()이고, 構造(구조)左右(좌우)이기 때문에, 識別(식별)코드인 G를 KC뒤에 붙인다.

()(KCG), ()(KCN), ()(KCB), ()(KCY) 이렇게 區別(구별)할 수 있다.

(), 두 ()()으로 組立(조립)()여도 그 ()의 하나가 1획이면 上下(상하)/左右(좌우) 構造(구조)가 아니고 一體(일체)構造(구조)認識(인식)됨.

예: ()(TFJ) = 𠂉() + 上下(상하)構造(구조)(J)

()(TFK) = 丿()() + 一體(일체)構造(구조)(K)

單語(단어) 入力(입력)

2() 單語(단어): "()()(FQBV)" = ()(FQV) + ()(BVE).

3() 單語(단어): "()()()(LYAB)" = ()(LGY) + ()(YDI) + ()(ABJ).

4() 單語(단어): "()()()()(DFNL)" = ()(DDDD) + ()(FJFH) + ()(NAV) + ()(LGY)

4() 以上(이상) 單語(단어): "()()()知新(지신)(IDDU)" ()(IJLG) + ()(DTY) + ()(DMJJ) + ()(省略(성략)) + ()(USRH)

1() 簡略(간략) 코드

많이 쓰인 漢字(한자)를 한 키로 入力(입력)할 수 있게 만든 機能(기능). () 25().

Q~P: ()()()()() ()()()()()

A~L: ()()在地(재지)() ()()()()

X~M: ()()()()() ()

該當(해당) 키를 한 ()만 누르면 簡略(간략)코드 漢字(한자)候補(후보) 1()에 올리고, 스페이스 키로 入力(입력)한다.

注意(주의)()은, 이 코드는 單語(단어)入力(입력)에 쓸 수 없다. (): ()()()(YWTC)는 OWTC로는 입력할 수 없다.

2급, 3급 簡略(간략)코드도 存在(존재)하지만, 漢字(한자)組立(조립)規則(규칙)대로도 入力(입력)할 수 있으니 따로 외우지 않아도 됨.

餘談(여담)

1980年代(연대) 中國(중국)社會(사회)에는 컴퓨터가 잘 處理(처리)하지 못하는 漢字(한자)中國(중국)現代化(현대화)를 막고 있다는 漢字(한자)破棄(파기)()이 나왔는데, ()()字型(자형)輸入(수입)() () 漢字(한자) 電算化(전산화)成果(성과)續出(속출)하고 나서는 이런 소리를 듣기 힘들어졌다.

創製(창제) 時期(시기)는 1980年代(연대)라 많은 어려움을 겪어 왔다고 創製者(창제자) ()()()()가 밝혔다. 왜냐하면 6700餘個(여개) 漢字(한자)를 하나씩 머리쓰고 ()()과 코드를 指定(지정)하는 것 自體(자체)도 무거운 任務(임무)이고, 破字(파자)()이나 ()()이 하나 變動(변동)하면 一部(일부) 漢字(한자)의 코드를 다시 指定(지정)해야 하기 때문이다.

()() 指定(지정)手作業(수작업)이니 만큼, 破字(파자)()을 따르지 않는 "事實上(사실상) 틀린" 코드도 있고, 이를 修正(수정)한 코드()使用(사용)했는지는 入力(입력)()마다 다르는 狀況(상황)도 있다...[64]

以下(이하) 例示(예시)는 따로 註釋(주석) 없이 86() 코드.

漢字(한자) ()()키보드·윈도우 Gboard 公式(공식)홈피[65]
()[66] IQV QII, IQV[67] QII
() IQPI QIPI QIPI
() SIQY SQIY SQIY
() TGAF[68] TFAG[69] TFAG
() QTGF QTFG, QTGF QTFG
()[70] TGAS[71] TGAI[72] 결과 없음
  1. 標準(표준)規則(규칙)遵守(준수)하지 않는 ()이 있어서, 初步者(초보자)에게는 ()推薦(추천)
  2. ()()發明(발명)()()()()設立(설립)會社(회사)開發(개발)윈도우支援(지원)하는 入力(입력)(), 有料(유료)提供(제공)
  3. 中國(중국) 스마트폰 製造(제조)()大部分(대부분) Sogou 入力(입력)()基本(기본) 搭載(탑재), 中國(중국)() 갤럭시도 마찬가지
  4. 모르는 ()()을 Z로 代替(대체)
  5. 쉽게 說明(설명)하기 ()해서만 키를 番號(번호)로 부르고, ()() 코드를 나타낼 때는 알파벳으로
  6. 順序(순서)만으로는 23는 ()자만으로 쓰고, 14는 아예 비워야 되고, ()()()()처럼 많이 쓰는 ()()은 다 25로 가야 되는 非合理的(비합리적)分配(분배)로 되버린다. 그래서 위의 ()2()를 지키는 狀態(상태)區域(구역) 안의 ()()들은 어느程度(정도) 不規則(불규칙)적으로 配置(배치)되었다.
    98(), 新世紀(신세기)()과 86()과의 差異(차이)는 이 ()에만 볼 수 있다. ()를 들면 广()자가 86()에는 41키지만 98()에는 44키로 가버렸다.
  7. ()자의 머리
  8. ()에서 ()를 빠진다
  9. ()
  10. ()
  11. ()에서 ()를 빠진다
  12. 虎皮(호피)의 껍데기만
  13. ()
  14. ()과 함께라는 뜻
  15. ()()이 적다는 뜻
  16. ()·()자의 外廓(외곽)
  17. ()자가 3區域(구역)이나 5區域(구역)에 가야되는 意見(의견)도 있음
  18. (), 그리고 ()자의 윗部分(부분)
  19. 丿()
  20. ()
  21. ()()자의 머리
  22. 이들이 함께 31키를 채웠다는 뜻
  23. 𠂉아래에 () ()()도 포함
  24. ()자의 머리
  25. ()자의 아래 ()를 뺀 ()()包含(포함)
  26. ()包含(포함)
  27. ()자 머리의 ()을 뺀 ()()包含(포함)
  28. ()()자의 아랫부분
  29. ()자처럼 생긴 점도 포함
  30. 34키에 들어있다는 뜻. 口訣(구결)에서 ()包含(포함)(), 그리고 ()자의 머리도 34키에 있다.
  31. ()
  32. ()자의 윗부분만
  33. ()
  34. ()에서 ()을 뺀 도 包含(포함)
  35. ()자가 ()를 뺀 ()()
  36. 41키에 들어있다는 뜻, ()도 포함
  37. ()()자의 윗부분(()() 합침)
  38. ()에서 ()를 뺀 부분
  39. ()(), ()자의 部首(부수) ()
  40. ()
  41. ()자의 윗部分(부분), ()包含(포함)
  42. ()자를 꺼꾸로 된 ()()
  43. ()자의 머리, 그리고 그 꺼꾸로
  44. ()()
  45. ()()
  46. ()()
  47. 이 두 部首(부수)의 오른쪽 ()을 딴(()) 상태. 두 部首(부수)를 나타내려면 PY나 PU로
  48. ()己巳(기사)包含(포함)
  49. コユ
  50. ()자가 ()를 뺀 ()()包含(포함)
  51. ()⺗도 포함
  52. ()자는 ()包含(포함). 그리고 똑바르지 않는 한 획으로 된 ()()들은 다 51키 所屬(소속). 韓國(한국) 國字(국자)에 쓰는 ㄱ과 ㅇ도 51키(() 支援(지원)하는 入力(입력)()가 많지 않음).
  53. ()()包含(포함)
  54. ()()의 아랫部分(부분)
  55. ()包含(포함)
  56. ()
  57. 西()쪽으로 ()(), () (). 참고로 ()자의 아랫부분은 AG로 나타냄.
    餘談(여담)으로 ()()()자를 V키에 配置(배치)
  58. マス도 包含(포함)
  59. ()자의 ()를 잃었다는 뜻. () ()
  60. ()자의 外廓(외곽)
  61. (), 그리고 ()자의 中間部(중간부)()
  62. 中國語(중국어)에는 ()()漢字(한자)()를 마지막으로 쓴다. 識別(식별)코드는 I
  63. 後者(후자)는 3()의 "큰" ()()包含(포함)해서 選好(선호)함.
    參考(참고)로 한 글자에는 하나의 코드만 許容(허용).
  64. 86() 코드()는 GitHub등에서 쉽게 ()할 수 있고, 그게 修正(수정)()인지 修正(수정)()인지는...
  65. http://www.wangma.net.cn/search.aspx?sm=7
  66. ()()()外廓(외곽)(). 差異點(차이점)打字(타자) 順序(순서).
  67. ()追加(추가)
  68. 丿()()()()
  69. 丿()()廿()()
  70. 日本(일본)字型(자형). ()()에는 ().
  71. 丿()()()()
  72. 丿()()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