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37番째 줄: |
37番째 줄: |
| * [[韓文漢字]] | | * [[韓文漢字]] |
| * [[日本常用漢字]] | | * [[日本常用漢字]] |
| | |
| | {{分岐|퍼온곳=漢字위키|原本=日文漢字}} |
|
| |
|
| [[분류:日本語의 漢字]] | | [[분류:日本語의 漢字]] |
2022年1月28日(金)02時44分 版
槪要
간지(かんじ)라고 불리는 日本語에서 使用되는 漢字에 對하여 다룬다.
日本式 漢字
一部 漢字는 日本에서 만들어져 쓰인다. 이런 漢字를 国字(고쿠지), 或은 和製漢字(와세이칸지)라고 부른다. [1]
辻(つじ, 네거리), 峠(とうげ, 고개), 畑(はたけ, 밭)과 같이 옛날에 만들어졌던 것과, 西洋 文名의 影響을 받아 近代에 만들어진 膵(スイ), 腺 (セン, (韓國에서도 쓰인다)), 瓩 (キログラム, 킬로그램을 漢字로 代用), 鞄(かばん, 가방) 等이 있다. 主로 音/訓 中에 訓만 가진 것들이 많은데, 働く(はたらく·ドウ, 일하다)같이 音을 가지는 것도 있으며, 鋲(ビョウ), 鱇(コウ) 等과 같이 音만을 가지는 것도 있다.
中國에 있는 글字인지 모르고 追加한 글字도 있으며, 漢字에 새 意味를 追加한 것도 있는데 이것들은 訓만이 日本製인 것에서 国訓이라고 부른다. 中國에서는 意味가 사라진 것 (雫(しずく)等)은 中國에선 사라진 意味가 日本에 남아있는 것일 可能性을 排除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國訓이라 하지 않는다. 이 中에 中國이나 韓國 等에 거꾸로 搜出되어 使用되고 있는 漢字도 있다. (위의 腺과 같은 예)
漢字의範圍
現在 日本에서는 常用漢字(조요칸지) 2136字를 制定하여 使用하고 있다.
字形
大韓民國이나 中華民國에서 使用되는 正體字(康熙字典體) 代身 新字體를 使用한다.
劃이 많고 複雜한 글字는 略字가 標準으로 指定되어 있는데 모든 漢字가 簡略化된 것은 아니다. 또, 中國에서 使用되는 簡體字와 다른 것도 많다.
읽는法
音讀
音讀(音読み, 온요미)은 音을 따라 읽는 것을 말한다.
訓讀
訓讀(訓読み, 군요미)는 뜻을 읽는 것을 말한다. 流れ星(ながれぼし)
混用
音讀과 訓讀이 섞여 있는 境遇도 있다. 音讀+訓讀인 것을 주바코 요미(重(ジュウ)箱(ばこ)読み), 訓讀+音讀인 것을 유토 요미(湯(ゆ)桶(トウ)読み)라고 한다.
音讀과 訓讀에 따라 뜻이 달라지는 境遇도 있다. 仮名이라고 썼을 때, 假名이라는 뜻이 되기도 하고(カメイ), 히라가나와 가타카나를 總稱하는 가나(カナ)가 되기도 한다.
其他
같은 漢字를 反復해서 쓸 때, 々를 그 자리에 代身 써 준다. 例를 들어 日本語에서 ‘ひとびと’(사람들)에 該當하는 漢字 表記는 ‘人人’인데, 人々라고 적는다.
히라가나일 境遇 ゝ 또는 ゞ를 쓰고 가타카나일 境遇 ヽ 또는 ヾ를 쓴다. 이 글字를 入力하기 爲해서는 로마字 入力으로 onaji를 치고 變換하면 된다.
關聯項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