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글編輯 要約 없음 |
잔글編輯 要約 없음 |
||
( | |||
1番째 줄: | 1番째 줄: | ||
'''간지'''({{lang|ja|かんじ}})라고 불리는 [[日本語]]에서 使用되는 [[漢字]]에 對하여 다룬다. | '''간지'''({{lang|ja|かんじ}})라고 불리는 [[日本語]]에서 使用되는 [[漢字]]에 對하여 다룬다. | ||
== 日本式 漢字 == | == 日本式 漢字 == | ||
一部 漢字는 日本에서 만들어져 쓰인다. 이런 漢字를 | 一部 漢字는 日本에서 만들어져 쓰인다. 이런 漢字를 [[國 字]](고쿠지), 或은 [[和製漢字]](와세이칸지)라고 부른다. <ref>[http://www.csse.monash.edu.au/~jwb/afaq/afaq-full.html#kokuji sci.lang.japan AFAQ] 參考</ref> | ||
{{lang|ja|辻}}({{lang|ja|つじ}}, 네거리), {{lang|ja|峠}}({{lang|ja|とうげ}}, 고개), {{lang|ja|畑}}({{lang|ja|はたけ}}, 밭)과 같이 옛날에 만들어졌던 것과, 西洋 文名의 影響을 받아 近代에 만들어진 {{lang|ja|膵}}({{lang|ja|スイ}}), {{lang|ja|腺}} ({{lang|ja|セン}}, (韓國에서도 쓰인다)), {{lang|ja|瓩}} ({{lang|ja|キログラム}}, 킬로그램을 漢字로 代用), {{lang|ja|鞄}}({{lang|ja|かばん}}, 가방) 等이 있다. 主로 音/訓 中에 訓만 가진 것들이 많은데, {{lang|ja|働く}}({{lang|ja|はたらく·ドウ}}, 일하다)같이 音을 가지는 것도 있으며, {{lang|ja|鋲}}({{lang|ja|ビョウ}}), {{lang|ja|鱇}}({{lang|ja|コウ}}) 等과 같이 音만을 가지는 것도 있다. | {{lang|ja|辻}}({{lang|ja|つじ}}, 네거리), {{lang|ja|峠}}({{lang|ja|とうげ}}, 고개), {{lang|ja|畑}}({{lang|ja|はたけ}}, 밭)과 같이 옛날에 만들어졌던 것과, 西洋 文名의 影響을 받아 近代에 만들어진 {{lang|ja|膵}}({{lang|ja|スイ}}), {{lang|ja|腺}} ({{lang|ja|セン}}, (韓國에서도 쓰인다)), {{lang|ja|瓩}} ({{lang|ja|キログラム}}, 킬로그램을 漢字로 代用), {{lang|ja|鞄}}({{lang|ja|かばん}}, 가방) 等이 있다. 主로 音/訓 中에 訓만 가진 것들이 많은데, {{lang|ja|働く}}({{lang|ja|はたらく·ドウ}}, 일하다)같이 音을 가지는 것도 있으며, {{lang|ja|鋲}}({{lang|ja|ビョウ}}), {{lang|ja|鱇}}({{lang|ja|コウ}}) 等과 같이 音만을 가지는 것도 있다. | ||
中國에 있는 글字인지 모르고 | 中國에 있는 글字인지 모르고 만들어진 글字도 있으며, 漢字에 새 意味를 追加한 것도 있는데 이것들은 訓만이 日本製인 것에서 [[國 訓]] 이라고 부른다. 中國에서는 意味가 사라진 것 ({{lang|ja|雫}}({{lang|ja|しずく}})等)은 中國에선 사라진 意味가 日本에 남아있는 것일 可能性을 排除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國訓이라 하지 않는다. 이 中에 中國이나 韓國 等에 거꾸로 輸 出되어 使用되고 있는 漢字도 있다. (위의 {{lang|ja|腺}}과 같은 예) | ||
== 漢字의範圍 == | == 漢字의範圍 == | ||
16番째 줄: | 14番째 줄: | ||
[[大韓民國]]이나 [[中華民國]]에서 使用되는 正體字([[康熙字典體]]) 代身 [[新字體]]를 使用한다. | [[大韓民國]]이나 [[中華民國]]에서 使用되는 正體字([[康熙字典體]]) 代身 [[新字體]]를 使用한다. | ||
劃이 많고 複雜한 글字는 | 劃이 많고 複雜한 글字는 [[ 略字]] 가 標準으로 指定되어 있는데 모든 漢字가 簡略化된 것은 아니다. 또, 中國에서 使用되는 [[簡體字]]와 다른 것도 많다. | ||
== 읽는法 == | == 읽는法 == | ||
=== 音讀 === | === 音讀 === | ||
[[ 音讀]]({{lang|ja|音読み}}, 온요미)은 音을 따라 읽는 것을 말한다. | |||
=== 訓讀 === | === 訓讀 === | ||
[[ 訓讀]]({{lang|ja|訓読み}}, 군요미)는 뜻을 읽는 것을 말한다. {{lang|ja|流れ星}}({{lang|ja|ながれぼし}}) | |||
=== 混用 === | === 混用 === | ||
音讀과 訓讀이 섞여 있는 境遇도 있다. 音讀+訓讀인 것을 | 音讀과 訓讀이 섞여 있는 境遇도 있다. 音讀+訓讀인 것을 ' 주바코 요미'({{lang|ja|重(ジュウ)箱(ばこ)読み}}), 訓讀+音讀인 것을 ' 유토 요미'({{lang|ja|湯(ゆ)桶(トウ)読み}})라고 한다. | ||
音讀과 訓讀에 따라 뜻이 달라지는 境遇도 있다. | 音讀과 訓讀에 따라 뜻이 달라지는 境遇도 있다. [[假 名]] 이라고 썼을 때, 假名이라는 뜻이 되기도 하고({{lang|ja|カメイ}}), [[히라가나]]와 [[가타카나]]를 總稱하는 가나({{lang|ja|カナ}})가 되기도 한다. | ||
== 其他 == | == 其他 == | ||
같은 漢字를 反復해서 쓸 때, {{lang|ja|々}}를 그 자리에 代身 써 준다. 例를 들어 日本語에서 ‘{{lang|ja|ひとびと}}’(사람들)에 該當하는 漢字 表記는 ‘{{lang|ja|人人}}’인데, {{lang|ja|人々}}라고 적는다. | 같은 漢字를 反復해서 쓸 때, {{lang|ja|々}}를 그 자리에 代身 써 준다. 例를 들어 日本語에서 ‘{{lang|ja|ひとびと}}’(사람들)에 該當하는 漢字 表記는 ‘{{lang|ja|人人}}’인데, {{lang|ja|人々}}라고 적는다. | ||
히라가나일 境遇 {{lang|ja|ゝ}} 또는 {{lang|ja|ゞ}}를 쓰고 가타카나일 境遇 {{lang|ja|ヽ}} 또는 {{lang|ja|ヾ}}를 쓴다. 이 글字를 入力하기 爲해서는 | 히라가나일 境遇 {{lang|ja|ゝ}} 또는 {{lang|ja|ゞ}}를 쓰고 가타카나일 境遇 {{lang|ja|ヽ}} 또는 {{lang|ja|ヾ}}를 쓴다. 이 글字를 入力하기 爲해서는 'おなじ' 를 치고 變換하면 된다. | ||
== 關聯項目 == | == 關聯項目 == | ||
40番째 줄: | 38番째 줄: | ||
{{分岐|퍼온곳=漢字위키|原本=日文漢字}} | {{分岐|퍼온곳=漢字위키|原本=日文漢字}} | ||
[[분류:日本語의 漢字]] | [[분류:日本語의 漢字| ]] |
2023年4月2日(日)16時53分 基準 最新版
간지(かんじ)라고 불리는
日本式 漢字 [編輯]
辻(つじ, 네거리), 峠(とうげ, 고개), 畑(はたけ, 밭)과 같이 옛날에 만들어졌던 것과,
漢字 의範圍 [編輯]
字形 [編輯]
읽는法 [編輯]
音讀 [編輯]
訓讀 [編輯]
混用 [編輯]
其他 [編輯]
같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