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글 (→ |
|||
( | |||
2番째 줄: | 2番째 줄: | ||
[[韓國]]은 [[日帝强占期]]以後 [[한글專用]]이 完全히 자리잡은 [[90年代]] 以前에 主로 使用되던 印刷文體는 [[漢字語]]를 漢字로 쓰는 [[國漢文混用]]이었으며, [[韓國語]]의 折半以上의 語彙는 漢字語가 차지한다. 이러한 背景에서 [[漢字]]簡化가 많은 [[韓國人]]들의 큰 欲求가 되었다. | [[韓國]]은 [[日帝强占期]]以後 [[한글專用]]이 完全히 자리잡은 [[90年代]] 以前에 主로 使用되던 印刷文體는 [[漢字語]]를 漢字로 쓰는 [[國漢文混用]]이었으며, [[韓國語]]의 折半以上의 語彙는 漢字語가 차지한다. 이러한 背景에서 [[漢字]]簡化가 많은 [[韓國人]]들의 큰 欲求가 되었다. | ||
=== | ===文敎部 略字 試案=== | ||
그래서 [[1968年2月]]부터 [[大韓民國文敎部]]는 1300餘가 되는 '漢文略字試案'이라는 첫 番째 草案울 國語審議會에 提出했고 그中 542個의 [[常用漢字]]를 單純化하였다. 이것을 '542方案'이라고 부른다. | 그래서 [[1968年2月]]부터 [[大韓民國文敎部]]는 1300餘가 되는 '漢文略字試案'이라는 첫 番째 草案울 國語審議會에 提出했고 그中 542個의 [[常用漢字]]를 單純化하였다. 이것을 '542方案'이라고 부른다. | ||
그러나 '542方案'은 韓國에서 學者와 知識人 民心에 따라 [[1968年]] [[朴正熙]] 軍政이 施行한 [[한글專用]]政策으로 因해 個數가 減少해 198個 草案으로 縮小되었다('198方案'). | 그러나 '542方案'은 韓國에서 學者와 知識人 民心에 따라 [[1968年]] [[朴正熙]] 軍政이 施行한 [[한글專用]]政策으로 因해 個數가 減少해 198個 草案으로 縮小되었다('198方案'). | ||
=== | ===[[東亞日報]] 新聞用 略字=== | ||
70年代와 80年代에 접어들면서 漢字 使用頻度가 漸漸 낮아지고 있음에도 不拘하고, | 70年代와 80年代에 접어들면서 漢字 使用頻度가 漸漸 낮아지고 있음에도 不拘하고, [[日本]]에서 온 [[活字]]들이 導入되면서 너무 작은 글씨로 因한 眼球의 疲勞度 때문에 종이 新聞이 主導하는 民間漢字簡體化運動이 회오리바람처럼 불었다. | ||
그 | 그 中 一例로 [[東亞日報]]는 '542方案'을 基礎로 90個의 略字를 實驗的으로 使用했다고 發表했다. 그 後 漸次 略字를 198個로 늘렸 지만 反應이 좋지 않았다. | ||
==簡化字 一覽(部分)== | ==簡化字 一覽(部分)== | ||
===一:韓日 統一 簡化 | ===一:韓日 統一 簡化 方 法=== | ||
一部 字形은 [[簡化字]]와 同一하다. | |||
{| class="wikitable" | {| class="wikitable" | ||
|+ | |+ | ||
20番째 줄: | 22番째 줄: | ||
|- | |- | ||
| 學 || 学 | | 學 || 学 | ||
|- | |||
| 擧 || 挙 | |||
|- | |- | ||
| 畵 || 画 | | 畵 || 画 | ||
25番째 줄: | 29番째 줄: | ||
| 驛 || 駅 | | 驛 || 駅 | ||
|- | |- | ||
| 樂 || 楽 | | 樂 || 楽{{*|以前에는 "乐"을 使用}} | ||
|- | |- | ||
| 鄕 || 郷 | | 鄕 || 郷 | ||
39番째 줄: | 43番째 줄: | ||
| 德 || 徳 | | 德 || 徳 | ||
|- | |- | ||
| 豫 | | 豫 || 予 | ||
|- | |- | ||
| 體 || 体 | | 體 || 体 | ||
|- | |- | ||
| 禮 || 礼 | | 禮 || 礼 | ||
|- | |||
| 譯 || 訳 | |||
|- | |||
| 澤 || 沢 | |||
|- | |||
| 擇 || 択 | |||
|- | |||
| 亞 || 亜 | |||
|- | |||
| 啞 || 唖 | |||
|- | |||
| 惡 || 悪 | |||
|- | |||
| 壓 || 圧 | |||
|- | |||
| 曆 || 暦 | |||
|- | |||
| 發/撥 || 発(合倂字) | |||
|- | |||
| 廢 || 廃 | |||
|- | |||
| 潑 || 溌 | |||
|- | |||
| 總 || 総 | |||
|- | |||
| 國 || 囯{{*|[[新字體]] 및 [[簡化字]]로 使用되는 "国"의 異體字}} | |||
|- | |||
| 燈 || 灯 | |||
|- | |||
| 轟 || 軣 | |||
|- | |||
| 圓 || 円 | |||
|- | |||
| 專 || 叀 | |||
|- | |||
| 傳 || 伝 | |||
|- | |||
| 轉 || 転 | |||
|- | |||
| 藝 || 芸 | |||
|} | |||
===二:韓中 統一 簡化 方法=== | |||
{| class="wikitable" | |||
|+ | |||
|- | |||
! 原字 !! 略字 | |||
|- | |||
| 戰 || 战 | |||
|- | |||
| 彈 || 弹 | |||
|- | |||
| 單 || 单 | |||
|- | |||
| 觀 || 覌{{*|"观"의 異體字}} | |||
|- | |||
| 勸 || 劝 | |||
|- | |||
| 雲 || 云(合倂字) | |||
|- | |||
| 門 || 门 | |||
|- | |||
| 開 || | |||
|- | |||
| 間/閒 || 间(字體 合倂) | |||
|- | |||
| 閑/閒 || 闲(字體 合倂) | |||
|- | |||
| 閣/閤 || 阁(字體 合倂) | |||
|- | |||
| 罐/缶 || 缶(合倂字) | |||
|- | |||
| 稱 || 称 | |||
|- | |||
| 靈 || 灵 | |||
|} | |||
===三:韓國 異體字 來源=== | |||
{| class="wikitable" | |||
|+ | |||
|- | |||
! 原字 !! 略字 | |||
|- | |||
| 歷 || 厂 | |||
|- | |||
| 關 || | |||
|} | |} | ||
[[分類:漢字]] | |||
[[分類:略字]] | |||
[[分類:大韓民國]] |
2024年7月15日(月)21時00分 基準 最新版
簡 介 [編輯]
文敎部 略字 試案 [編輯]
그래서 1968
그러나 '542
東亞日報 新聞 用 略字 [編輯]
70
그
簡 化 字 一覽 (部分 )[編輯]
一 :韓日 統一 簡 化 方法 [編輯]
二 :韓中 統一 簡 化 方法 [編輯]
| |
三 :韓國 異體 字 來 源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