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使用者 6名의 中間 版 25個는 보이지 않습니다) |
1番째 줄: |
1番째 줄: |
| ==簡介== | | ==簡介== |
| [[韓國]]은 日據時代([[ 朝鮮總督府]]) 以後 속담 전용 90年代 90年代 以前에 그 주된 널리 使用되 는 [[ 印刷]][[ 文體]] 는 아래 그림과 같이 基本的인 思考方式은 [[漢字]] 語 를 漢字로 쓰 고 또한 [[韓國語]]의 折半以上의 語彙 를 漢字語 彙로 하여 이러한 背景에서 [[漢字]][[簡體]] 化가 많은 [[韓國人]]들의 큰 欲求가 되었 다. | | [[韓國]]은 [[ 日帝强占期]]以後 [[한글專用]]이 完全히 자리잡은 [[90年代]] 以前에 主로 使用되 던 印刷文體는 [[漢字 語]]를 漢字로 쓰 는 [[國漢文混用]]이었으며, [[韓國語]]의 折半以上의 語彙 는 漢字語 가 차지한다. 이러한 背景에서 [[漢字]] 簡 化가 많은 [[韓國人]]들의 큰 欲求가 되었다. |
| ===一:文敎部 略字 試案===
| |
| 故래서 1968年 2月부터 [[大韓民國文敎部]]는 1300余이 되자 '漢文略字試案'이라는 첫 番째 草案이 國語審議會에 제출되었고 그중 542個의 [[常用漢字]]를 단순화하였다. 이것은 '542方案'이라고 불린 다.
| |
|
| |
|
| 그러나 '542方 案'은 韓國에 서 學者와 知識인 民心에 따라 68年 [[ 朴正熙]] 軍政이 施行하기 始作한 俗談專用(' 韓文 專用政策')으로 인해 542個의 減少 가 198個, 즉 最終 198个 草案으로 縮小 되 었다('198方 案'). | | ===文敎部 略字 試 案=== |
| ===二:[[東亞日報]] 新聞用 略字===
| | 그래 서 [[1968年2月]] 부터 [[大 韓 民國 文 敎部]]는 1300餘 가 되 는 ' 漢文略字試 案' 이라는 첫 番째 草案울 國語審議會 에 提出했 고 그 中 542個의 [[ 常用漢 字]] 를 單純化하였다. 이 것을 '542方案' 이 라고 부른 다. |
| 70年代와 80年代에 접어들면서 漢字 使用頻度가 漸漸 낮아지고 있음 에 도 不拘하 고, 그 리고 後期에 [[ 日本]]에서 온 [[鉛 字]] 板이 導入되면서 너무 작은 글씨로 인해 眼球가 아프기 쉽기 때문에 紙媒新聞 이 主導하는 民間漢字簡體化運動 이 회오리바람처럼 불었 다.
| |
|
| |
|
| 그 래 서 [[東亞日報]]는 '542方案'을 基礎로 90個의 略字를 實驗的으로 使用했다고 發表했다.그 後 동아일보는 漸次 略字를 198個로 늘렸 다. 그러나 反應이 좋지 않았다. | | 그 러나 '542方案'은 韓國에 서 學者와 知識人 民心에 따라 [[1968年]] [[朴正熙]] 軍政이 施行한 [[한글專用]]政策으로 因해 個數가 減少해 198個 草案으로 縮小되었다('198方案'). |
| ==簡化字 一覽== | | |
| | ===[[東亞日報]] 新聞用 略字=== |
| | 70年代와 80年代에 접어들면서 漢字 使用頻度가 漸漸 낮아지고 있음에도 不拘하고, [[日本]]에서 온 [[活字]]들이 導入되면서 너무 작은 글씨로 因한 眼球의 疲勞度 때문에 종이新聞이 主導하는 民間漢字簡體化運動이 회오리바람처럼 불었다. |
| | |
| | 그中 一例로 [[東亞日報]]는 '542方案'을 基礎로 90個의 略字를 實驗的으로 使用했다고 發表했다. 그 後 漸次 略字를 198個로 늘렸 지만 反應이 좋지 않았다. |
| | |
| | ==簡化字 一覽(部分)== |
| | ===一:韓日 統一 簡化 方法=== |
| | 一部 字形은 [[簡化字]]와 同一하다. |
| | |
| | {| class="wikitable" |
| | |+ |
| | |- |
| | ! 原字 !! 略字 |
| | |- |
| | | 學 || 学 |
| | |- |
| | | 擧 || 挙 |
| | |- |
| | | 畵 || 画 |
| | |- |
| | | 驛 || 駅 |
| | |- |
| | | 樂 || 楽{{*|以前에는 "乐"을 使用}} |
| | |- |
| | | 鄕 || 郷 |
| | |- |
| | | 儘 || 侭 |
| | |- |
| | | 當 || 当 |
| | |- |
| | | 盡 || 尽 |
| | |- |
| | | 寬 || 寛 |
| | |- |
| | | 德 || 徳 |
| | |- |
| | | 豫 || 予 |
| | |- |
| | | 體 || 体 |
| | |- |
| | | 禮 || 礼 |
| | |- |
| | | 譯 || 訳 |
| | |- |
| | | 澤 || 沢 |
| | |- |
| | | 擇 || 択 |
| | |- |
| | | 亞 || 亜 |
| | |- |
| | | 啞 || 唖 |
| | |- |
| | | 惡 || 悪 |
| | |- |
| | | 壓 || 圧 |
| | |- |
| | | 曆 || 暦 |
| | |- |
| | | 發/撥 || 発(合倂字) |
| | |- |
| | | 廢 || 廃 |
| | |- |
| | | 潑 || 溌 |
| | |- |
| | | 總 || 総 |
| | |- |
| | | 國 || 囯{{*|[[新字體]] 및 [[簡化字]]로 使用되는 "国"의 異體字}} |
| | |- |
| | | 燈 || 灯 |
| | |- |
| | | 轟 || 軣 |
| | |- |
| | | 圓 || 円 |
| | |- |
| | | 專 || 叀 |
| | |- |
| | | 傳 || 伝 |
| | |- |
| | | 轉 || 転 |
| | |- |
| | | 藝 || 芸 |
| | |} |
| | |
| | ===二:韓中 統一 簡化 方法=== |
| | {| class="wikitable" |
| | |+ |
| | |- |
| | ! 原字 !! 略字 |
| | |- |
| | | 戰 || 战 |
| | |- |
| | | 彈 || 弹 |
| | |- |
| | | 單 || 单 |
| | |- |
| | | 觀 || 覌{{*|"观"의 異體字}} |
| | |- |
| | | 勸 || 劝 |
| | |- |
| | | 雲 || 云(合倂字) |
| | |- |
| | | 門 || 门 |
| | |- |
| | | 開 || |
| | |- |
| | | 間/閒 || 间(字體 合倂) |
| | |- |
| | | 閑/閒 || 闲(字體 合倂) |
| | |- |
| | | 閣/閤 || 阁(字體 合倂) |
| | |- |
| | | 罐/缶 || 缶(合倂字) |
| | |- |
| | | 稱 || 称 |
| | |- |
| | | 靈 || 灵 |
| | |} |
| | ===三:韓國 異體字 來源=== |
| | {| class="wikitable" |
| | |+ |
| | |- |
| | ! 原字 !! 略字 |
| | |- |
| | | 歷 || 厂 |
| | |- |
| | | 關 || |
| | |} |
| | [[分類:漢字]] |
| | [[分類:略字]] |
| | [[分類:大韓民國]] |
2024年7月15日(月)21時00分 基準 最新版
簡介[編輯]
韓國은 日帝强占期以後 한글專用이 完全히 자리잡은 90年代 以前에 主로 使用되던 印刷文體는 漢字語를 漢字로 쓰는 國漢文混用이었으며, 韓國語의 折半以上의 語彙는 漢字語가 차지한다. 이러한 背景에서 漢字簡化가 많은 韓國人들의 큰 欲求가 되었다.
文敎部 略字 試案[編輯]
그래서 1968年2月부터 大韓民國文敎部는 1300餘가 되는 '漢文略字試案'이라는 첫 番째 草案울 國語審議會에 提出했고 그中 542個의 常用漢字를 單純化하였다. 이것을 '542方案'이라고 부른다.
그러나 '542方案'은 韓國에서 學者와 知識人 民心에 따라 1968年 朴正熙 軍政이 施行한 한글專用政策으로 因해 個數가 減少해 198個 草案으로 縮小되었다('198方案').
70年代와 80年代에 접어들면서 漢字 使用頻度가 漸漸 낮아지고 있음에도 不拘하고, 日本에서 온 活字들이 導入되면서 너무 작은 글씨로 因한 眼球의 疲勞度 때문에 종이新聞이 主導하는 民間漢字簡體化運動이 회오리바람처럼 불었다.
그中 一例로 東亞日報는 '542方案'을 基礎로 90個의 略字를 實驗的으로 使用했다고 發表했다. 그 後 漸次 略字를 198個로 늘렸지만 反應이 좋지 않았다.
簡化字 一覽(部分)[編輯]
一:韓日 統一 簡化 方法[編輯]
一部 字形은 簡化字와 同一하다.
原字 |
略字
|
學 |
学
|
擧 |
挙
|
畵 |
画
|
驛 |
駅
|
樂 |
楽[1]
|
鄕 |
郷
|
儘 |
侭
|
當 |
当
|
盡 |
尽
|
寬 |
寛
|
德 |
徳
|
豫 |
予
|
體 |
体
|
禮 |
礼
|
譯 |
訳
|
澤 |
沢
|
擇 |
択
|
亞 |
亜
|
啞 |
唖
|
惡 |
悪
|
壓 |
圧
|
曆 |
暦
|
發/撥 |
発(合倂字)
|
廢 |
廃
|
潑 |
溌
|
總 |
総
|
國 |
囯[2]
|
燈 |
灯
|
轟 |
軣
|
圓 |
円
|
專 |
叀
|
傳 |
伝
|
轉 |
転
|
藝 |
芸
|
二:韓中 統一 簡化 方法[編輯]
原字 |
略字
|
戰 |
战
|
彈 |
弹
|
單 |
单
|
觀 |
覌[3]
|
勸 |
劝
|
雲 |
云(合倂字)
|
門 |
门
|
開 |
|
間/閒 |
间(字體 合倂)
|
閑/閒 |
闲(字體 合倂)
|
閣/閤 |
阁(字體 合倂)
|
罐/缶 |
缶(合倂字)
|
稱 |
称
|
靈 |
灵
|
三:韓國 異體字 來源[編輯]
原字 |
略字
|
歷 |
厂
|
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