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國語의 漢字"의 두 版 사이의 差異

잔글 (Masoris님이 ()()漢字(한자) 문서를 韓國語(한국어)漢字(한자) 문서로 이동하면서 넘겨주기를 덮어썼습니다)
編輯 要約 없음
 
113番째 줄: 113番째 줄:
*[http://kldp.net/projects/hanja/ KLDP.net: 漢字한글變換 프로젝트]
*[http://kldp.net/projects/hanja/ KLDP.net: 漢字한글變換 프로젝트]


{{分岐|퍼온곳=漢字위키|原本=韓文漢字}}


[[분류:韓國語의 漢字]]
[[분류:韓國語의 漢字]]

2022年1月28日(金)02時45分 基準 最新版

()()漢字(한자) 또는 韓國語(한국어)漢字(한자)韓國語(한국어)에서 使用(사용)되는 漢字(한자)指稱(지칭)한다. 漢字(한자)本來(본래) 中國(중국)文字(문자)이나 周邊(주변) 여러 民族(민족)國家(국가)에서도 借用(차용)되었는데, 韓國(한국)流入(유입)된 것은 古朝鮮(고조선) 時期(시기)인 BC2世紀(세기) 무렵이라는 ()이 있지만 本格的(본격적)으로 流入(유입)된 것은 6世紀(세기)~7世紀(세기) 무렵으로 보는 것이 定說(정설)이다.

韓國(한국)導入(도입)漢字(한자)基本的(기본적)으로 漢文(한문)으로서 文語(문어)役割(역할)을 하였으나, 音訓(음훈)()表記法(표기법)適用(적용)吏讀(이두), 鄕札(향찰), 口訣(구결) ()으로 口語(구어) 表記(표기)에도 借用(차용)되었는데, 여기서 派生(파생)되어 새로운 漢字(한자)定着(정착)된 것(예: ()(부를 소)), 새로운 뜻과 ()이 더해진 것(예: ()(끝 끝), ()(콩 태), ()(쇠 쇠)) () 韓國(한국)固有(고유)漢字(한자)가 생겼고, 이 밖에도 固有名詞(고유명사) 表記(표기)()한 것(예: ()(땅이름 갈), ()(땅이름 야)), 佛敎(불교)音譯(음역)()한 것(예: ()(절 가)), 韓國語(한국어) 낱말 表記(표기)()한 것(예:()(논 답), ()(집터 대),()(시집 시)) () 相當數(상당수)韓國(한국) 固有(고유) 漢字(한자)存在(존재)한다.

오랫동안 漢字(한자)使用(사용)되어 相當數(상당수)漢字語(한자어)韓國語(한국어)에 들어온 結果(결과) 現在(현재) 漢字語(한자어)韓國語(한국어) 낱말의 () 50% 以上(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現在(현재) 韓國(한국)에서 使用(사용)되는 漢字(한자)康熙字典(강희자전)에 따른 正字體(정자체)이다.

歷史(역사)[編輯]

朝鮮(조선)時代(시대)에는 漢字(한자)漢文(한문)()知識(지식)知識層(지식층)判別(판별)條件(조건)이었다.

末期(말기)一部(일부) 民族主義(민족주의) 團體(단체)들이 한글 振興(진흥)運動(운동)을 폈고, 1894() 高宗(고종)甲午改革(갑오개혁)頒布(반포)하여 "法律(법률)勅令(칙령)을 모두 國文(국문)(한글)을 ()으로 삼고 漢文(한문) 飜譯(번역)을 붙이며, 또는 國漢文(국한문)混用(혼용)할 것"을 命令(명령)하였다.

韓日合邦(한일합방)條約(조약)()日帝(일제)時代(시대)始作(시작)以後(이후) 그에 ()反撥(반발)韓國人(한국인) 사이에 民族主義(민족주의)가 생기면서 朝鮮語學會(조선어학회) ()中心(중심)으로 한글을 硏究(연구)하고 가르치는 일을 하게 되어 漢字(한자)-한글 混用(혼용)()普及(보급)되었다. 日本(일본)帝國(제국)韓國(한국)民族主義(민족주의)彈壓(탄압)하기 ()手段(수단)으로 한글 敎育(교육)禁止(금지)하고 朝鮮語學會(조선어학회) 會員(회원)監禁(감금)하기도 했다. 當時(당시) 英國(영국)(), 美國(미국)() 宣敎師(선교사)들은 한글 全用(전용)激勵(격려)했다.

現代(현대) 韓國語(한국어)漢字(한자)[編輯]

現在(현재) 韓國(한국)에서 漢字(한자)位相(위상)相當(상당)縮小(축소)되었으나 完全(완전)排除(배제)되지는 않았다. 大韓民國(대한민국) 政府(정부) 樹立(수립) 當時(당시) 制憲國會(제헌국회)에서 '한글 專用(전용)()法律(법률)'이 制定(제정)되어 補助的(보조적)漢字(한자)倂記(병기)端緖(단서)로 한 한글 全用(전용) 政策(정책)試行(시행)되고 以後(이후) 1968() 한글 全用(전용) 試策(시책)强化(강화)로 한글 中心(중심)確立(확립)되었으나, 漢字(한자)如前(여전)補助(보조) 道具(도구)使用(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漢字(한자) 使用(사용) 範圍(범위) 決定(결정)과 그 敎育(교육)必要(필요)하게 되는데, 이처럼 日常生活(일상생활)敎育(교육) 目的(목적)()해 따로 選定(선정)漢字(한자)常用漢字(상용한자)라고 부른다.

1951() 9() 當時(당시) 文敎部(문교부)에서 '敎育漢字(교육한자)' 1,000()制定(제정)하고 1957() 11() 300()追加(추가)하여 모두 1,300()가 되는데, 이것이 1964() 9()부터 學校(학교) 敎育(교육)使用(사용)되다가 1970() 한글 全用(전용) 政策(정책)에 맞추어 閉止(폐지)되었다. 그 뒤 1972() 8()에 다시 1,800()의 '敎育(교육)() 基礎(기초) 漢字(한자)'를 制定(제정)하여 같은 해 9()부터 敎育(교육)使用(사용)하였는데, 人名(인명)地名(지명) () 固有(고유)名辭(명사)는 이것에 制限(제한)받지 않으며 그밖에 꼭 必要(필요)漢字(한자)는 10% 안에서 追加(추가)하여 指導(지도)할 수 있도록 하였고, 이때 漢文(한문)別途(별도)敎科目(교과목)으로 分離(분리)되었다. 1975()부터 國語(국어) 敎科書(교과서)에도 漢字(한자)倂記(병기)適用(적용)되었다. 以後(이후) 2000() 12() 30() 敎育(교육)人的資源(인적자원)()에서 44()(中學(중학) 4() + 高敎(고교) 40())를 交替(교체)하여, 現在(현재) 中學校(중학교) 900(), 高等學校(고등학교) 900()의 "敎育(교육)() 基礎(기초)漢字(한자)" 1,800()使用(사용)되고 있다.

또한, 大法院(대법원)에서는 2001() 1()法院(법원) 業務(업무)()漢字(한자) 4,789()確定(확정)하고, 2005() 1() 1()부터 159()追加(추가)하여 5,138()使用(사용)하고 있으며, 言論界(언론계)에서는 1967() 12() 韓國(한국)新聞(신문)協會(협회)選定(선정)한 2,000()常用漢字(상용한자)()를 1968() 1() 1()부터 出版物(출판물)基準(기준)으로 삼고 있다.

便(), 電算(전산)處理(처리)()國家(국가)標準(표준)코드인 KS CODE의 漢字(한자)基本(기본) 4,888(), 擴張(확장) 2,856()로 모두 7,744()이다.

  • KS X 1001(KS C 5601-1987)의 漢字(한자): 4,888()
  • KS X 1002(KS C 5657-1991)의 漢字(한자): 2,856()

現行(현행)標準(표준) KS X 1005-1(KS C 5700)은 유니코드(UCS) 系列(계열)로서, 韓中(한중)()統合(통합)漢字(한자)適用(적용)한다.

字體(자체)[編輯]

韓國(한국)에서 使用(사용)되는 漢字(한자)基本的(기본적)으로 略字(약자)()되지 않은 傳統(전통)漢字(한자)로, 日本(일본)에서 使用(사용)되는 日本(일본) 新體(신체)()나, 中國(중국)大陸(대륙)에서 使用(사용)되는 簡體字(간체자)와는 差異(차이)가 있고, 臺灣(대만)香港(향항)(홍콩)에서 쓰이는 正字(정자)字體(자체)基本的(기본적)으로 같다. 그러나, 完全(완전)히 같지는 않으며, 臺灣(대만)香港(향항)에서 正字(정자)編入(편입)略字(약자)韓國(한국)漢字(한자)에서는 認定(인정)되지 않는 (), 字體(자체)()漢字(한자)使用(사용)() () 第一(제일) 保守的(보수적)이며 傳統(전통)重視(중시)()이다. 이는 漢字(한자)常用(상용)하기 때문에 略字(약자)()進行(진행)中國(중국)日本(일본)()韓國(한국)漢字(한자)使用(사용)選擇的(선택적)이기 때문에 일어난 現狀(현상)으로 보인다. 또한 姓氏(성씨) () ()()()()中日(중일)에서 正字(정자)取扱(취급)을 받는 ()()代身(대신) ()()各各(각각) 正字(정자)로 삼는다.

韓中(한중) 標準(표준)漢字(한자) 比較(비교)
韓國(한국)()()
()()漢字(한자) () () () () () () () () ()

韓國(한국)에서만 쓰는 漢字(한자)[編輯]

一部(일부) 漢字(한자)境遇(경우) 韓國(한국)에서 만들어져서 韓國(한국)에서만 쓰인다. 이들 ()에는 音譯(음역)()包含(포함)되며 또한 字體(자체)中日(중일)과 같으나 意味(의미)(())가 中日(중일)에서 發見(발견)되지 않는 것도 있다.

  • (): 논 답
  • (): 이름 돌
  • (): 음역자 볼
  • (): 음역자 살
  • (): 가야 야
  • (): 곶 곶(中日(중일)에서는 이 意味(의미)使用(사용)되지 않음)

音譯(음역)()[編輯]

該當(해당) 한글의 發音(발음) 또는 뜻을 가진 漢字(한자)에 한글이나 漢字(한자)로 받침을 쓰는 方式(방식)으로 表記(표기)를 한다. 代表的(대표적)()가 돌(() () + ()), 볼(() () + ()), 살(() () + ()) ()과 같은 글()들이다. 例外(예외)漢字(한자)가 있으니 바로 뿐(ㅅ + 분 () + ())이라는 漢字(한자)다. 音譯(음역)()相當數(상당수)吏讀(이두)使用(사용)된다.

  • 音譯(음역)()構成(구성)原理(원리)
    • ㄱ 받침은 ㄱ 그대로 쓴다.
    • ㄹ 받침은 ㄹ 그대로 쓰거나 ()代置(대치)해서 쓴다.
    • ㅁ 받침은 ㅁ 그대로 쓰거나 ()代置(대치)해서 쓴다. 代置(대치)하거나 그대로 쓰거나 같은 글()다.
    • ㅂ 받침은 ()이나 ()代置(대치)해서 쓴다.
    • ㅅ 받침은 ()代置(대치)해서 쓴다.
    • ㅇ 받침은 ㅇ 그대로 쓴다.

語彙(어휘)[編輯]

漢字(한자)使用(사용)大部分(대부분)語彙(어휘)古代(고대)中國(중국), 또는 近代(근대)日本(일본)語彙(어휘)를 받아들인 것이나, 韓國(한국)에서 獨自的(독자적)으로 漢字(한자)組合(조합)하여 使用(사용)되는 韓國(한국)漢字語(한자어)()가 있다.

中國語(중국어) 韓國(한국)漢字語(한자어)() 한글
() -{便紙(편지)}- 편지 (pyeonji)
草紙(초지) -{休紙(휴지)}- 휴지 (hyuji)
()() -{膳物(선물)}- 선물 (seonmul)
()() -{()()}- 외상 (oesang)
()() -{食卓(식탁)}- 식탁 (siktak)
()() -{手票(수표)}- 수표 (supyo)
名片(명편) -{名銜(명함)}- 명함 (myeongham)
()() -{食母(식모)}- 식모 (sikmo,()()()/singmo/)
取締(취체) -{休止(휴지)}- 휴지 (hyuji)
學習(학습) -{工夫(공부)}- 공부 (gongbu)
非常(비상) -{()()}- 대단 (daedan)
()() -{囚徒(수도)}- 수도 (sudo)
()() -{舍廊(사랑)()()}- 사랑 (sarang)

歸化(귀화)漢字語(한자어)[編輯]

一部(일부) 漢字語(한자어)()發音(발음)變化(변화)하여 原來(원래) 意味(의미)와 달라지거나, 漢字語(한자어)라는 意識(의식)이 없어졌다. 이런 語彙(어휘)歸化(귀화)漢字語(한자어)라 부른다.

  • 나중(<乃終(내종))
  • 대패(<()())
  • 동네(<洞里(동리))
  • 술래(<巡邏(순라))
  • 얌체(<廉恥(염치))
  • 김치(<沈菜(침채))
  • 장난(<作亂(작란))

反面(반면), 固有語(고유어)에 그럴싸한 漢字(한자)表記(표기)境遇(경우)도 있다. 이 境遇(경우)歸化(귀화)漢字語(한자어)가 아니다.

  • 생각(>()())

關聯(관련)項目(항목)[編輯]

關聯(관련)사이트[編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