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漢字語"의 두 版 사이의 差異

編輯 要約 없음
잔글 (문자열 찾아 바꾸기 - "\s*==\s*(개요|槪要|概要)\s*==\s*" 문자열을 "" 문자열로)
 
(使用者(사용자) 3()中間(중간) () 20()는 보이지 않습니다)
1番째 줄: 1番째 줄:
{{漢字語情報
| 한자어 = [[漢字]] [[語]]
| 독음 = 한자 어
}}


{{토막글}}
[[韓國語]]의 [[語彙]] 가운데 [[漢字]]로 된 單語를 가리킨다.


==  개요 ==
==  쓰임 ==
[[ 韓國語]] 어휘 가운데 [[ 漢字]]로  가리킨 다.
모든 漢字語는 [[ 名詞]] 取扱되므로 그대로 [[ 動詞]]나 [[形容詞]]로  쓸 수 없고, 普通 ‘하다’ 等을 뒤에 붙여 [[用言]]으로 만들 어  使用한 다.
* [[使用]] → 使用하다 (動詞)
* [[寬大]] → 寬大하다 (形容詞)


[[분류:韓國語]]
== 種類 ==
=== 古代中國語 由來 ===
漢字語의 大多數는 [[古代中國語]](또는 [[漢文]])에서 자주 쓰이는 表現이 굳어진 것이다. 이런 單語들은 漢文 文章의 짜임에도 들어맞는다.{{*|複雜한 漢文 文章도 이러한 漢字語의 짜임을 擴張한 것으로 볼 수 있다.}}
 
==== 古代中國語의 外來語 由來 ====
[[古代中國語]] 語彙 中에서도 [[中國]]에서 만들어진 것이 아닌 [[外來語]]가 [[音借]]된 것도 있다.
 
* [[梵語]] 起源 - [[阿修羅場]], [[刹那]] 等
* 其他言語 起源 - [[麒麟]], [[獅子]], [[葡萄]] 等
 
=== 韓國製 ===
[[韓國]]에서 만든 漢字語로, 다음과 같은 種類가 있다.
* 다른 地域에서는 쓰이지 않는 意味를 가진 것
* 두 個 以上의 漢字로 새로운 單語를 만들어낸 것
* [[韓國製漢字|韓國 固有의 글字]]를 使用한 單語
 
=== 日本製 ===
[[開化期]] 以後로 [[日本]]에서 만든 [[和製漢語]]를 들여온 것이다.
* 旣存에는 該當하는 單語가 없던 現代의 槪念을 나타내는 [[用語]]
* [[日本語]] [[固有語]]의 漢字表記를 그대로 가져온 것
* 元來의 意味가 日本製 漢字語의 것으로 變質된 것
 
日本製 漢字語{{*|特히 두番째 境遇의 日本語 固有語 由來 漢字語}}에는 旣存의 [[漢文]]式 造語法 等을 無視한 것이 많다.
 
[[분류:韓國語]] [[분류:漢字]]

2022年7月19日(火)11時43分 基準 最新版

韓國語(한국어)語彙(어휘) 가운데 漢字(한자)로 된 單語(단어)를 가리킨다.

쓰임[編輯]

모든 漢字語(한자어)名詞(명사)取扱(취급)되므로 그대로 動詞(동사)形容詞(형용사)로 쓸 수 없고, 普通(보통) ‘하다’ ()을 뒤에 붙여 用言(용언)으로 만들어 使用(사용)한다.

種類(종류)[編輯]

古代(고대)中國語(중국어) 由來(유래)[編輯]

漢字語(한자어)大多數(대다수)古代(고대)中國語(중국어)(또는 漢文(한문))에서 자주 쓰이는 表現(표현)이 굳어진 것이다. 이런 單語(단어)들은 漢文(한문) 文章(문장)의 짜임에도 들어맞는다.[1]

古代(고대)中國語(중국어)外來語(외래어) 由來(유래)[編輯]

古代(고대)中國語(중국어) 語彙(어휘) ()에서도 中國(중국)에서 만들어진 것이 아닌 外來語(외래어)音借(음차)된 것도 있다.

韓國(한국)()[編輯]

韓國(한국)에서 만든 漢字語(한자어)로, 다음과 같은 種類(종류)가 있다.

  • 다른 地域(지역)에서는 쓰이지 않는 意味(의미)를 가진 것
  • () 以上(이상)漢字(한자)로 새로운 單語(단어)를 만들어낸 것
  • 韓國(한국) 固有(고유)의 글()使用(사용)單語(단어)

日本製(일본제)[編輯]

開化期(개화기) 以後(이후)日本(일본)에서 만든 ()()漢語(한어)를 들여온 것이다.

  • 旣存(기존)에는 該當(해당)하는 單語(단어)가 없던 現代(현대)槪念(개념)을 나타내는 用語(용어)
  • 日本語(일본어) 固有語(고유어)漢字(한자)表記(표기)를 그대로 가져온 것
  • 元來(원래)意味(의미)日本製(일본제) 漢字語(한자어)의 것으로 變質(변질)된 것

日本製(일본제) 漢字語(한자어)[2]에는 旣存(기존)漢文(한문)() 造語法(조어법) ()無視(무시)한 것이 많다.

  1. 複雜(복잡)漢文(한문) 文章(문장)도 이러한 漢字語(한자어)의 짜임을 擴張(확장)한 것으로 볼 수 있다.
  2. ()히 두()境遇(경우)日本語(일본어) 固有語(고유어) 由來(유래) 漢字語(한자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