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4番째 줄: |
4番째 줄: |
|
| |
|
| == 名稱 == | | == 名稱 == |
| 一般的으로 쓰이는 ‘歴史的仮名 遣い’ 라는 名稱 外에도 [[現代假名表記法]]과 對比되는 ‘舊假名遣ひ(舊假名表記法)’나, 保守的인 名稱인 ‘正假名遣ひ(正假名表記法)’라는 名稱이 使用되기도 한다. | | 一般的으로 쓰이는 ‘{{루비除去| 歴史的仮名 遣い}}’ 라는 名稱 外에도 [[現代假名表記法]]과 對比되는 ‘{{루비除去| 舊假名遣ひ}}(舊假名表記法)’나, 保守的인 名稱인 ‘{{루비除去| 正假名遣ひ}}(正假名表記法)’라는 名稱이 使用되기도 한다. |
|
| |
|
| [[舊字體]]와 더불어 이 表記法을 다시 採用하자고 主張하는 사람들 中 一部는 ‘正字正假名’라고 묶어 부르기도 한다. | | [[舊字體]]와 더불어 이 表記法을 다시 採用하자고 主張하는 사람들 中 一部는 ‘正字正假名’라고 묶어 부르기도 한다. |
2021年12月10日(金)01時49分 版
槪要
歷史的假名表記法(歴史的仮名遣い, 歷史的假名遣ひ)은 第二次世界大戰 以前까지 主로 쓰인 日本語의 假名表記法이다.
名稱
一般的으로 쓰이는 ‘歴史的仮名遣い’라는 名稱 外에도 現代假名表記法과 對比되는 ‘舊假名遣ひ(舊假名表記法)’나, 保守的인 名稱인 ‘正假名遣ひ(正假名表記法)’라는 名稱이 使用되기도 한다.
舊字體와 더불어 이 表記法을 다시 採用하자고 主張하는 사람들 中 一部는 ‘正字正假名’라고 묶어 부르기도 한다.
特徵
戰後 國語改革으로 現代假名表記法이 公式化되기 前까지 主로 使用된 表記法이다. 語文一致를 重視한 現代假名表記法과는 달리 平安時代부터 이어져온 表記法에 基盤하므로 語源을 重視한다.
같은 發音의 表記法 區別
平安時代에는 區別되었지만 現在는 같은 發音으로 合쳐진 글字들을 區別해서 表記한다. 現代假名表記法에도 は, へ, を의 助詞表記 等에 限해 一部 남아있지만, 여기서는 그 事例가 훨씬 多樣하며, 一般的인 單語에서도 많이 나타난다.
- う/ふ
-
- うし(牛), うみ(うみ)
- いふ(言ふ), かふ(買ふ)
- い/ひ/ゐ
-
- いぬ(犬), ねむい(眠い)
- こづかひ(小遣ひ), さいはひ(幸ひ)
- ゐる(ゐる), ゐど(井戸)
- は/わ
-
- わたしは(私は), かは(革)
- わたし(私), わに(鰐)
- お/ほ/を
-
- おにぎり(お握り), おに(鬼)
- こほり(氷), なほす(直す)
- てを(手を), をかしい(可笑しい)
- え/へ/ゑ
-
- えび(蝦), みえる(見える)
- やまへ(山へ), こたへる(答へる)
- ゑのぐ(繪の具), うゑる(植ゑる)
外部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