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使用者(사용자) 8()中間(중간) () 32()는 보이지 않습니다)
1番째 줄: 1番째 줄:
{{토막글}}
[[File:Hangeul.svg|thumb|right]]
{| class="wikitable" style="float: right;"
'''한글''' 또는 '''朝鮮글'''은 [[訓民正音]]으로써 頒布된 [[音素文字]]를 이르는 말이며, 現代[[韓國語]]를 表記하는 데 使用되는 [[文字]]中하나이다.
| [[File:Hangeul.svg|256px]]
|}


== [[槪要]] ==
== 名稱 ==
[[ 訓民正音]] 으로써 [[頒布]]된 [[音 素文字]] 르는 말로 [[現代]][[韓 國語]] [[ 表記]] 는  데 [[使用]]된 다.
漢字表記는 [[ 諺文]], [[ 音]]  이  있으며, [[韓]][[ ]] 과 같이 音借되 는  境遇도 있 다.


== [[特性]] ==
'한글'의 意味는 元來 크다는 意味 ‘하다’와 ‘글’ 이  合쳐진 이라 는等 러 說이 있 다.
[[音節]][[單位]]로 모아 쓰기 때문에 音節[[間]] [[區分]] [[明確]]해 [[音素文字]]이면서도 [[音節文字]]의 [[性格]]도 [[同時]]에 지닌다. [[모아쓰기]]를 하는 [[理由]]는 [[漢字]]와의 [[互換性]]을 [[確保]]하기 [[爲]]함 이라 겨진 다.


== [[ 音素]] ==
이 文字體系는 本來 이름이 '한글'이 아니었으나, [[1912年]] 한글學者 [[ 周時經]] 에 依해 ‘한글’ 로  부르기 始作한 것 라고 알려 져 있다. {{*|이 亦是 諸說 이  存在한 다.}}
[[ 닿소리]]([[子音]]) 14[[個]]와 [[홀소리]]([[母音]]) 10個 로 이 루어 져 있다. [[訓民正音]]의 [[創製]][[當時]]에는 닿소리 17個에 홀소리 11個가 있었으나 [[後]]에 지 않게 되었 다.


== [[ 使 用]][[言語]] ==
[[北韓]]에서는 [[韓國]]의 글 같은 意味로 解釋될 것을 憂慮했는지 '朝鮮글'이라 부른다.
 
== 特性 ==
[[音節]]單位로 모아 쓰기 때문에 音節間의 區分이 明確해 [[ 音素文字]]이면서도 [[音節文字]]의 性格도 同時에 지닌다. [[모아쓰기]]를 하는 理由는 [[漢字]]와의 [[互換性]]을 確保하기 爲함이라는 것이 第一 有力한 假說이다. 德分에 모든 韓國語 漢字音은 한글 한글字로 나타낼 수 있다.
 
各 字素는 科學原理를 適 하여 만들어졌다. 子音은 發音器官의 形象을 본따서 基本글자를 만들고 [[劃]]을 添加하여 細部發音을 區分했으며, 母音은 [[天地人]]을 基本으로 組合하여構成되었다.
 
== 音素 ==
[[子音]] 14個와 [[母音]] 10個로 構成되어 있다. [[訓民正音]] 의 創製當時에는 子音 17個에 母音 11個가 있었으나, 子音 [[ㅿ]], [[ㆁ]], [[ㆆ]]과 母音[[ㆍ]]는 더以上 使用하지 않게 되었다.
 
== 使用 言語 ==
* [[韓國語]]
* [[韓國語]]
** [[濟州語]]
** [[濟州語]]
* [[찌아찌아語]] ([[ 補助]][[文字]]로 [[使用]])
* [[찌아찌아語]] ( 補助文字로 使用)
 
== 現代에서의 使用 ==
=== 한글專用 ===
{{本文|한글專用}}
 
現在 南北韓 모두에서 [[韓國語]]를 表記하는 主要 [[文字]]로서 使用되고 있다. 卽, [[한글專用]]이 基本이다.
 
=== 國漢文混用 ===
{{本文|國漢文混用}}
 
[[北韓]]에서는 建國 初期부터 廢止되고, [[大韓民國]]에서는 [[1960年代]] 末부터 [[한글專用]] 政策이 施行되고 [[1990年代]] 以後로는 事實上 廢止되어, 現在 [[2020年代]]에는 찾아보기 어렵다.
 
=== 機械化 ===
[[活版印刷]]를하려면 [[音節]]單位로 [[活字]]를 鑄造해야하고, [[打字機]]를 製作하려해도 [[모아쓰기]]를 하는 特性때문에 [[機械化]]를 爲해 [[풀어쓰기]]를 하자는 主張까지 興할 程度로 어려웠다.
 
제대로 [[모아쓰기]]를 具現한 [[打字機]]는 [[1949年]]부터 開發된 [[公炳禹]]의 [[세벌式]] 打字機로 여겨진다. 後에 김동훈의 다섯벌式 打字機 等 여러 製品이 通用되었지만, [[1969年]] [[科學技術處]]의 [[네벌式]]이, [[1982年]] [[두벌式]]이 國家[[ 標準]] 으로 指定되면서 沒落하게 된다. 그리고 이 두벌式 打字機의 [[ 字板配列]]은 現在 컴퓨터用 標準 字板配列로도 採擇되어 通用되고 있다.
 
=== 電算化 ===
====  文字 코드 ====
[[個人用컴퓨터]]가 [[最初]]로 使用되기始作한 時節에는 [[ 淸溪川한글]], [[도깨비 한글]]等 [[시스템]]의 限界로因한 自體 [[코드體係]]를  使用 하는境遇가 많았다. 以後 標準[[完成型]] 코드([[KS X 1001]]) 가 制定되었지만 事實上 現代한글中 2350字만 使用可能하였기 때문에 後에 [[擴張]]完成型 8822字가 追加되었다.
 
[[유니코드]] 1.0에서는 完成型한글 2350字만이 收錄되고 이를 補完하기爲해 유니코드 1.1에서 몇千字를 追加하여 總 6656字가 되었지만, 한글[[코드]]는 유니코드의 [[在在所所]]에 흘어져서 登錄되어 버린데다, 더以上 不足한 [[字母]]를 追加하기 困難했던 理由로 유니코드2.0에서 [[文字]] 全體가 大移動하여 [[現代 한글 11172字]]가 全部 [[收錄]]되게 되었다.
 
==== 書體 ====
[[組合型]] [[비트맵 書體]]를 使用하던 DOS時節과는 달리, 트루타입을 使用하는 只今으로서는 한글書體를 製作하려면 [[2350字]] 或은 11172字를 全部 設計하고 檢修하는 方式이 原則이다. 最近에는 字素別로 設計한後 自動으로 生成하는 方法도 可能해졌지만, 美麗한 書體를 爲해서는 結局 最少 2350字 程度는 一一히 檢修해야한다.
 
이런 理由로 [[無料]]書體가 普遍化돼있는 로마字와는 달리 제대로된 書體는 宏壯한 [[高價]]를 誇示한다. 最近에는 [[한글날]] 等時에 [[企業]]單位로 한글書體를 無料配布하는 일도 늘었지만, [[漢字圈]] 文字의 書體는 如前히 不足한便이다.
 
==== 入力 ====
{{本文|韓國語 入力方式#한글入力}}


== [[現代]] 에서 의 [[使用]] ==
KS完成型 時節 는 音節들이  로 別 規則을 지니지 않고 順序대로만 코드가 配當되었기에 (키보드로 字素 入力받아)  音節 을 組合하는데도 [[ 테이블]] 을 使用해야 했다. [[ 組合型]] 인코딩은 [[ 비트演算]] 으로, [[ 유니코드]] 에  어간것과같이 든 字母 使用 여 順序대로 配列되어 있 境遇 는 簡單한 數式으로 조합된 [[ 音節]] 의 코드 얻을 수 있다. 같은 理由로 任意의 音節이 2350字 內에 들 는지  確認하 해도 테이블을 檢索해야 한 다.
=== [[機械化]] ===
[[活版]][[印刷]] 하려면 [[ 音節]][[ 單位]] [[ 活字]] [[ 鑄造]] 해야하고, [[ 打字機]] 를만 래도 아쓰기 를하는 [[特性]]때문 에 [[ 機械化]]를[[爲]]해 [[풀 쓰기]]를하자 [[主張]]까 [[興]]할[[程度]]로 다.


  제대 로 [[ 쓰기]] [[ 具現]] [[ 打字機]] 는 [[1949年]]부터[[開發된]] [[ 炳禹]]의 [[세벌 ]][[打字機]] 로  여겨진다. [[後]]에 [[김동훈]]의 [[다섯벌式]][[打字機]][[等]] 여러[[製品]]이 [[通 ]] 되었 지만, [[1969年]] [[科 技術處]] [[네벌 ]]이 [[1982年]] [[두벌式]] [[國家標準]]으로[[指定]]되면서 [[沒落]]하게된 다.  그리고 [[두벌式]][[打字機]]의 [[字板]][[配列]]은 [[現在]] [[컴퓨터]][[用]] [[標準]][[字板]][[配列]]로도 [[採擇]]되어 널리[[使用]] 고있 다.
=== 國際化 ===
==== 찌아찌아語 ====
2009年에 처음으 로 [[ 인도네시 아]] 의 少數民族인 [[ 찌아찌아族]] 의 言語인 [[ 찌아찌아語]] 를 非 公式 的으 로  表記하는 데 使 用되었 다. 現在 訓民正音 會와 찌아찌아族과 的인 交流關係는 斷折된 狀態 이다. 2022年 첫 番째 찌아찌아 辭典 이  出版 다.


=== [[電算化]] ===
==== 粵語 ====
==== [[文字코드]] ====
[[2010年 廣州 사투리 살리기 運動]]  以後 廣州 사람들은 先祖들 言語 保護 하는 데 關心을 가지 기 始作하여 2002年부터 金昔硏, 黃得森 等이 開發 한 [[ 粵語諺文]] 注目받았 다.
[[ 個人用컴퓨터]] 처음[[使用]]될때에는 [[淸溪川한글]], [[도깨비 한글]][[等]] [[시스템]] [[限界]]로[[因]]한 [[自體]][[코드體係]]] [[使用]] 하는[[境遇]]가 많았다. [[以後]] [[標準]][[完成型]][[코드]](KS X 1001) [[制定]]되었 만 [[事實上]] [[現代]][[ 글]][[ 中]] 2350[[字]] 밖에 [[使用]]할수 없었기때문에 [[後]]에 [[擴張]]完成型 8822字가 [[追加]]되었 다.


[[유니코드]]1.0에서는 完成型한글 2350字만이[[收錄]]되고 이를 [[ 補完]] 하기[[ ]] 유니코드1.1에서 몇[[ ]] [[追加]]하여 [[總]]6656字가 되었지만, [[ 코드]] 는 유니코드의  곳저곳에 흩어져버린데 다  [[ 以上]] [[ 不足]] 를 [[追加]] 하기 [[困難]]했기때문 에  유니코드2.0에서 [[文字]][[全體]]가 [[大移動]]하여 [[現代]]한글11172字가 모두 [[收錄]]되게되었 다.
==== 臺灣語 ====
  臺灣의 言語學者 [[ 許曹德]] [[ 洪惟仁]]  等이 [[ 臺灣語]]를  爲해 開發 한 [[ 臺語諺文]]이  . 臺語諺文은 傳統 [[ 臺語十五音|十五音]] [[한 ]]에  對應시킨 것이 다.


==== [[書體]] ====
그러나, 臺灣語 이미 宣敎師들이 만든 [[ 臺灣語 拼音]]이 오랜 期間 文獻 쓰여 새 方式 글表記 는  比較的 弱勢이 다.
[[組合型]] [[비트맵書體]]를[[使用]]하던 [[DOS]][[時節]]과는달리, [[트루타입]]을[[使用]]하 는 [[ 只今]]으 서는 한글[[書體]]를[[製作]]하려면 2350字[[或]]은 11172 를 [[全部]][[디자인]]하고 [[檢修]]하는[[方式]]이 [[原則]]이다. [[最近]] 는 [[字素]][[別]] 로  디자 인한[[後]] [[自動]]으로 [[生成]]하는[[方法]]도 [[可能]]해졌지만, [[美麗]]한[[書體]]를 [[爲]]해서는 [[結局]] [[最少]]2350字[[程度]] 는  하나하나 [[檢修]]해야한 다.


  이런[[理由]]로 [[無料]][[書體]]가 널리다시피한 [[로마字]]와는달리 제대로된[[書體]]는 매우 비싼[[價格]]을 자랑한다. 요즘은 [[한글날]][[等時]]에 [[企業]]단위로 한글[[書體]]를 [[無料]]로 [[配布]]하는일도 많아졌지만, [[東아시아圈]][[文字]]의 [[書體]]는 [[如前]]히 [[不足]]한[[偏]]이다.
== 注 ==
{{脚註}}


[[분류: 字]]
[[분류: 한글| ]]
[[lzh:諺 字]]

2024年9月27日(金)00時47分 基準 最新版

한글 또는 朝鮮(조선)訓民正音(훈민정음)으로써 頒布(반포)音素文字(음소문자)를 이르는 말이며, 現代(현대)韓國語(한국어)表記(표기)하는 데 使用(사용)되는 文字(문자)()하나이다.

名稱(명칭)[編輯]

漢字(한자)表記(표기)諺文(언문), 正音(정음) ()이 있으며, ()()과 같이 音借(음차)되는 境遇(경우)도 있다.

'한글'의 意味(의미)元來(원래) 크다는 意味(의미)의 ‘하다’와 ‘글’이 ()쳐진 말이라는() 여러 ()이 있다.

文字(문자)體系(체계)本來(본래) 이름이 '한글'이 아니었으나, 1912() 한글學者(학자) 周時經(주시경)()해 ‘한글’로 부르기 始作(시작)한 것이라고 알려져 있다. [1]

北韓(북한)에서는 韓國(한국)의 글 같은 意味(의미)解釋(해석)될 것을 憂慮(우려)했는지 '朝鮮(조선)글'이라 부른다.

特性(특성)[編輯]

音節(음절)單位(단위)로 모아 쓰기 때문에 音節(음절)()區分(구분)明確(명확)音素文字(음소문자)이면서도 音節文字(음절문자)性格(성격)同時(동시)에 지닌다. 모아쓰기를 하는 理由(이유)漢字(한자)와의 互換性(호환성)確保(확보)하기 ()함이라는 것이 第一(제일) 有力(유력)假說(가설)이다. 德分(덕분)에 모든 韓國語(한국어) 漢字(한자)()은 한글 한글()로 나타낼 수 있다.

() 字素(자소)科學(과학)原理(원리)適用(적용)하여 만들어졌다. 子音(자음)發音器官(발음기관)形象(형상)을 본따서 基本(기본)글자를 만들고 ()添加(첨가)하여 細部(세부)發音(발음)區分(구분)했으며, 母音(모음)天地人(천지인)基本(기본)으로 組合(조합)하여構成(구성)되었다.

音素(음소)[編輯]

子音(자음) 14()母音(모음) 10()構成(구성)되어 있다. 訓民正音(훈민정음)創製(창제)當時(당시)에는 子音(자음) 17()母音(모음) 11()가 있었으나, 子音(자음) , , 母音(모음)는 더以上(이상) 使用(사용)하지 않게 되었다.

使用(사용)言語(언어)[編輯]

現代(현대)에서의 使用(사용)[編輯]

한글專用(전용)[編輯]

部分(부분)本文(본문)한글專用(전용)입니다.

現在(현재) 南北(남북)() 모두에서 韓國語(한국어)表記(표기)하는 主要(주요) 文字(문자)로서 使用(사용)되고 있다. (), 한글專用(전용)基本(기본)이다.

國漢文(국한문)混用(혼용)[編輯]

部分(부분)本文(본문)國漢文(국한문)混用(혼용)입니다.

北韓(북한)에서는 建國(건국) 初期(초기)부터 廢止(폐지)되고, 大韓民國(대한민국)에서는 1960年代(연대) ()부터 한글專用(전용) 政策(정책)施行(시행)되고 1990年代(연대) 以後(이후)로는 事實上(사실상) 廢止(폐지)되어, 現在(현재) 2020年代(연대)에는 찾아보기 어렵다.

機械化(기계화)[編輯]

活版印刷(활판인쇄)를하려면 音節(음절)單位(단위)活字(활자)鑄造(주조)해야하고, 打字機(타자기)製作(제작)하려해도 모아쓰기를 하는 特性(특성)때문에 機械化(기계화)()풀어쓰기를 하자는 主張(주장)까지 ()程度(정도)로 어려웠다.

제대로 모아쓰기具現(구현)打字機(타자기)1949()부터 開發(개발)()()()세벌() 打字機(타자기)로 여겨진다. ()에 김동훈의 다섯벌() 打字機(타자기) () 여러 製品(제품)通用(통용)되었지만, 1969() 科學技術處(과학기술처)네벌()이, 1982() 두벌()國家(국가)標準(표준)으로 指定(지정)되면서 沒落(몰락)하게 된다. 그리고 이 두벌() 打字機(타자기)字板(자판)配列(배열)現在(현재) 컴퓨터() 標準(표준) 字板(자판)配列(배열)로도 採擇(채택)되어 通用(통용)되고 있다.

電算化(전산화)[編輯]

文字(문자)코드[編輯]

個人(개인)()컴퓨터最初(최초)使用(사용)되기始作(시작)時節(시절)에는 淸溪(청계)()한글, 도깨비 한글() 시스템限界(한계)()自體(자체) 코드()()使用(사용)하는境遇(경우)가 많았다. 以後(이후) 標準(표준)完成型(완성형) 코드(KS X 1001)가 制定(제정)되었지만 事實上(사실상) 現代(현대)한글() 2350()使用(사용)可能(가능)하였기 때문에 ()擴張(확장)完成型(완성형) 8822()追加(추가)되었다.

유니코드 1.0에서는 完成型(완성형)한글 2350()만이 收錄(수록)되고 이를 補完(보완)하기()해 유니코드 1.1에서 몇千字(천자)追加(추가)하여 () 6656()가 되었지만, 한글코드는 유니코드의 在在所所(재재소소)에 흘어져서 登錄(등록)되어 버린데다, 더以上(이상) 不足(부족)字母(자모)追加(추가)하기 困難(곤난)했던 理由(이유)로 유니코드2.0에서 文字(문자) 全體(전체)大移動(대이동)하여 現代(현대) 한글 11172()全部(전부) 收錄(수록)되게 되었다.

書體(서체)[編輯]

組合型(조합형) 비트맵 書體(서체)使用(사용)하던 DOS時節(시절)과는 달리, 트루타입을 使用(사용)하는 只今(지금)으로서는 한글書體(서체)製作(제작)하려면 2350() ()은 11172()全部(전부) 設計(설계)하고 ()()하는 方式(방식)原則(원칙)이다. 最近(최근)에는 字素(자소)()設計(설계)() 自動(자동)으로 生成(생성)하는 方法(방법)可能(가능)해졌지만, 美麗(미려)書體(서체)()해서는 結局(결국) 最少(최소) 2350() 程度(정도)一一(일일)()()해야한다.

이런 理由(이유)無料(무료)書體(서체)普遍化(보편화)돼있는 로마()와는 달리 제대로된 書體(서체)宏壯(굉장)高價(고가)誇示(과시)한다. 最近(최근)에는 한글날 等時(등시)企業(기업)單位(단위)로 한글書體(서체)無料(무료)配布(배포)하는 일도 늘었지만, 漢字(한자)() 文字(문자)書體(서체)如前(여전)不足(부족)便()이다.

入力(입력)[編輯]

部分(부분)本文(본문)韓國語(한국어) 入力(입력)方式(방식)#한글入力(입력)입니다.

KS完成型(완성형) 時節(시절)에는 音節(음절)들이 서로 () 規則(규칙)을 지니지 않고 順序(순서)대로만 코드가 配當(배당)되었기에 (키보드로 字素(자소)入力(입력)받아) 音節(음절)組合(조합)하는데도 테이블使用(사용)해야 했다. 組合型(조합형) 인코딩은 비트演算(연산)으로, 유니코드에 들어간것과같이 모든 字母(자모)使用(사용)하여 順序(순서)대로 配列(배열)되어 있는 境遇(경우)에는 簡單(간단)數式(수식)으로 조합된 音節(음절)의 코드를 얻을 수 있다. 같은 理由(이유)任意(임의)音節(음절)이 2350() ()에 들어가는지 確認(확인)하려 해도 테이블을 檢索(검색)해야 한다.

國際化(국제화)[編輯]

찌아찌아()[編輯]

2009()에 처음으로 인도네시아少數民族(소수민족)찌아찌아()言語(언어)찌아찌아()非公式的(비공식적)으로 表記(표기)하는 데 使用(사용)되었다. 現在(현재) 訓民正音(훈민정음)學會(학회)와 찌아찌아()과의 公式的(공식적)交流(교류)關係(관계)斷折(단절)狀態(상태)이다. 2022()()째 찌아찌아 辭典(사전)出版(출판)되었다.

()()[編輯]

2010() 廣州(광주) 사투리 살리기 運動(운동) 以後(이후) 廣州(광주) 사람들은 先祖(선조)들의 言語(언어)保護(보호)하는데 關心(관심)을 가지기 始作(시작)하여 2002()부터 ()()(), ()()() ()開發(개발)()()諺文(언문)注目(주목)받았다.

臺灣(대만)()[編輯]

臺灣(대만)言語學者(언어학자) ()()()()()() ()臺灣(대만)()()開發(개발)()()諺文(언문)이 있다. ()()諺文(언문)傳統(전통) 十五(십오)()한글字母(자모)對應(대응)시킨 것이다.

그러나, 臺灣(대만)()는 이미 宣敎師(선교사)들이 만든 臺灣(대만)()로마()拼音(병음)이 오랜 期間(기간) 文獻(문헌)에 쓰여 새로운 方式(방식)인 한글表記(표기)比較的(비교적) 弱勢(약세)이다.

()[編輯]

  1. 亦是(역시) 諸說(제설)存在(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