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使用者(사용자)中間(중간) () 4()는 보이지 않습니다)
3番째 줄: 3番째 줄:


== 特徵 ==
== 特徵 ==
‘갈마들이’라 불리는 特殊한 方式을 使用하여 [[中聲]]과 [[終聲]]을 重複되는 자리에 配列해놓고, 狀況에 따라 自動으로 中聲 或 終聲이 入力되는 것이 가장 큰 特徵이다. 例를 들면, 終聲ㅇ과 中聲ㅒ가 英文[[쿼티]]基準 A 자리에 함께 配當되어 있는데, 初聲ㅇ만 入力된 狀態에서는 ㅒ가 入力되어 ‘얘’가 되고, ‘여’까지 入力된 狀態에서는 ㅇ이 入力되어 ‘영’이 組合되게 된다.
‘갈마들이’라 불리는 特殊한 方式을 使用하여 [[中聲]]과 [[終聲]]을 重複되는 자리에 配列해놓고, 狀況에 따라 自動으로 中聲 或 終聲이 入力되는 것이 가장 큰 特徵이다. 例를 들면, 終聲ㅇ과 中聲ㅒ가 英文[[쿼티]]基準 A 자리에 함께 配當되어 있는데, 初聲ㅇ만 入力된 狀態에서는 ㅒ가 入力되어 ‘얘’가 되고, ‘여’까지 入力된 狀態에서는 ㅇ이 入力되어 ‘영’이 組合되게 된 다. 이런 入力狀態에 따른 키 出力의 變化는 [[스마트폰]]에서 申세벌式을 支援하는 入力機([[IME]]) 앱을 使用하면 쉽게 確認할수있 다.


==  歷史 ==
또, [[公세벌式]]과 같이 [[二重母音]]을 組合할때쓰는 [[ㅗ]]와 [[ㅜ]]도 모든字板에서 빠지지 않는데, 같은손가락 使用을 最少化하고 打字리듬을 살리기 爲해 配置되었다는 理由에 더해 모음과 받침 入力時 衝突을 막기 爲한 役割까지 擔當하며, 使用이 半쯤 强制된다. 例를들어 왼쪽 ㅗ를 누르고 ㅏ를 눌렀을 境遇 ㅘ를 意圖한건지 ㅗ와 ㅏ자리에있는 받침을 치려 한건지 알 수 없기 때문.
 
==  種類 ==
=== 申광조 原案 ===
=== 申광조 原案 ===
 最初의 申세벌式은 [[1995年]] [[하이텔]] 揭示板을 通해 公開되었다. [[公炳禹 세벌式]]과 비슷한 模樣을 하고 있지만 맨윗줄(數字列)은 한글入力에 使用하지 않아 數字와 記號 配列이 英文配列과 거의 一致한다. 初聲ㅋ은 右側의 複母音用 ㅜ 자리로 옮겨갔다.
 最初의 申세벌式은 [[1995年]] [[하이텔]] 揭示板을 通해 公開되었다. [[公炳禹 세벌式]]과 비슷한 模樣을 하고 있지만 맨윗줄(數字列)은 한글入力에 使用하지 않아 數字와 記號 配列이 英文配列과 거의 一致한다. 初聲ㅋ은 右側의 複母音用 ㅜ 자리로 옮겨갔다.
16番째 줄: 18番째 줄:
=== 申세벌式 M ===
=== 申세벌式 M ===
=== 申세벌式 P2 ===
=== 申세벌式 P2 ===
=== 갈마들의方式의 一部 採用 ===
[[2010年代]]에 들어 새로 考案되는 [[公세벌式]]에 갈마들이方式이 一部適用되어 쉬프트 使用을 줄이거나, 아예 數字列에서 받침以外 字母를 몰아내고 받침과 數字에 갈마들이를 適用하여 數字配列을 英文字板과 맞춘 配列도 나왔다.


== 갈마들 의方 一部  採用 ==
反對로 申세벌式에서 亦是 갈마들 이를 活用하여 [[참申세벌 |數字列을 一部  侵犯한 配列]]도 存在한다.
[[2010年代]] 에 들어 새로 考案되 는 [[ 公세벌式]] 에 갈마들이方式이 一部 適用되어 쉬프트 使用을  거나, 아예 數字列 받침以外 字母를 내고 받침과 數字에 갈마들 適用 配列을 英文 板과 맞춘 配列 도  나왔 다.
 
== 長短點 ==
* 數字列(맨 윗줄)을 쓰지 않는다.
* 一般的인 打字時에는 [[ 쉬프트키]] 쓰지 다.{{*|[[ㅋㅋ]] 같은 一部 [[初聲體]]나 中聲만 따로 入力하려면 쉬프트 使用 해야한다.}}
* 配列의 直觀性이 떨어져 처음 接할境遇 原理를 理解해야 使用할 수 있다.{{*|이미 公세벌式 을  써봤다면 普通狀況에서는 ‘생각한대로’ 칠수있어 直觀性 이  높지만 세벌식을 처음으로 接할 境遇 公세벌式부터 理解해야 하기 때문 에  수고가 더 든다.}}
* 주기{{*|初中終聲 順序가 틀려도 自動으로 바로잡아주는 技能.}} 使用 이  거의 不可能 다.
* 頻度가 떨어지는 시에는 不便한 손動作이 發生하기 도  다.
 
== 關聯文書 ==


[[分類:세벌式]]
[[分類:세벌式]]

2023年10月27日(金)03時18分 基準 最新版

()광조 세벌()(()세벌())은 세벌() 키보드 分類(분류)一種(일종)이다.

特徵(특징)[編輯]

‘갈마들이’라 불리는 特殊(특수)方式(방식)使用(사용)하여 中聲(중성)終聲(종성)重複(중복)되는 자리에 配列(배열)해놓고, 狀況(상황)에 따라 自動(자동)으로 中聲(중성) () 終聲(종성)入力(입력)되는 것이 가장 큰 特徵(특징)이다. ()를 들면, 終聲(종성)ㅇ과 中聲(중성)ㅒ가 英文(영문)쿼티基準(기준) A 자리에 함께 配當(배당)되어 있는데, 初聲(초성)ㅇ만 入力(입력)狀態(상태)에서는 ㅒ가 入力(입력)되어 ‘얘’가 되고, ‘여’까지 入力(입력)狀態(상태)에서는 ㅇ이 入力(입력)되어 ‘영’이 組合(조합)되게 된다. 이런 入力(입력)狀態(상태)에 따른 키 出力(출력)變化(변화)스마트폰에서 ()세벌()支援(지원)하는 入力(입력)()(IME) 앱을 使用(사용)하면 쉽게 確認(확인)할수있다.

또, ()세벌()과 같이 二重母音(이중모음)組合(조합)할때쓰는 도 모든字板(자판)에서 빠지지 않는데, 같은손가락 使用(사용)最少化(최소화)하고 打字(타자)리듬을 살리기 ()配置(배치)되었다는 理由(이유)에 더해 모음과 받침 入力(입력)() 衝突(충돌)을 막기 ()役割(역할)까지 擔當(담당)하며, 使用(사용)()强制(강제)된다. ()를들어 왼쪽 ㅗ를 누르고 ㅏ를 눌렀을 境遇(경우) ㅘ를 意圖(의도)한건지 ㅗ와 ㅏ자리에있는 받침을 치려 한건지 알 수 없기 때문.

種類(종류)[編輯]

()광조 原案(원안)[編輯]

最初(최초)()세벌()1995() 하이텔 揭示板(게시판)()公開(공개)되었다. ()()() 세벌()과 비슷한 模樣(모양)을 하고 있지만 맨윗줄(數字(숫자)())은 한글入力(입력)使用(사용)하지 않아 數字(숫자)記號(기호) 配列(배열)英文(영문)配列(배열)과 거의 一致(일치)한다. 初聲(초성)ㅋ은 右側(우측)複母音(복모음)() ㅜ 자리로 옮겨갔다.

中聲(중성)終聲(종성)基本的(기본적)으로 ()세벌()의 아랫글쇠에 있는 ()頻度(빈도)인 것들은 同一(동일)한 자리에 配置(배치)되었으며, 數字(숫자)()이나 윗글쇠의 것들은 中聲(중성)旣存(기존) 終聲(종성)이 있던 자리들에, 終聲(종성)中聲(중성)들 자리에 함께 配列(배열)되었다. 數字(숫자)()에 있으면서 頻度(빈도)가 높은 終聲(종성)() ㅂ은 한칸 아래의 ㅕ와 함께, ㅆ은 멀리 밀려나 ㅜ와 함께 配置(배치)되었다.그리고 ()세벌 配列(배열)을 만들때마다 處理(처리)하기 困難(곤난)問題兒(문제아) ()()가 된다

1995() 原案(원안)에만 있는 特異(특이)()으로, 複母音(복모음)() ㅗ와 ㅜ가 두()配置(배치)되어 있다는 것이 있는데, 같은 손가락의 反復的(반복적)使用(사용)을 줄이는 效果(효과)를 노린 것으로 보인다.

修正(수정) ()세벌()[編輯]

()세벌() M[編輯]

()세벌() P2[編輯]

갈마들의方式(방식)一部(일부) 採用(채용)[編輯]

2010年代(연대)에 들어 새로 考案(고안)되는 ()세벌()에 갈마들이方式(방식)一部(일부)適用(적용)되어 쉬프트 使用(사용)을 줄이거나, 아예 數字(숫자)()에서 받침以外(이외) 字母(자모)를 몰아내고 받침과 數字(숫자)에 갈마들이를 適用(적용)하여 數字(숫자)配列(배열)英文字(영문자)()과 맞춘 配列(배열)도 나왔다.

反對(반대)()세벌()에서 亦是(역시) 갈마들이를 活用(활용)하여 數字(숫자)()一部(일부) 侵犯(침범)配列(배열)存在(존재)한다.

長短點(장단점)[編輯]

  • 數字(숫자)()(맨 윗줄)을 쓰지 않는다.
  • 一般的(일반적)打字(타자)()에는 쉬프트키도 쓰지 않는다.[1]
  • 配列(배열)直觀(직관)()이 떨어져 처음 ()境遇(경우) 原理(원리)理解(이해)해야 使用(사용)할 수 있다.[2]
  • 모아주기[3] 使用(사용)이 거의 不可能(불가능)하다.
  • 頻度(빈도)가 떨어지는 字母(자모) 打字(타자)시에는 不便(불편)한 손動作(동작)發生(발생)하기도 한다.

關聯(관련)文書(문서)[編輯]

  1. ㅋㅋ같은 一部(일부) 初聲(초성)()中聲(중성)만 따로 入力(입력)하려면 쉬프트를 使用(사용)해야한다.
  2. 이미 ()세벌()을 써봤다면 普通(보통)狀況(상황)에서는 ‘생각한대로’ 칠수있어 直觀(직관)()이 높지만 세벌식을 처음으로 ()境遇(경우) ()세벌()부터 理解(이해)해야 하기 때문에 수고가 더 든다.
  3. 初中終(초중종)() 順序(순서)가 틀려도 自動(자동)으로 바로잡아주는 技能(기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