臺灣에서 出版된 六書略 內容. 一部 編輯失手가 있음.
起 ( 기 ) 一成 ( 일성 ) 文 ( 문 ) 圖 ( 도 ) 은 1161年 ( 년 ) 《通志 ( 통지 ) 》에 收錄 ( 수록 ) 된 內容 ( 내용 ) 의 一部分 ( 일부분 ) 으로, 그 論旨 ( 논지 ) 는 가장 單純 ( 단순 ) 한 文字 ( 문자 ) 인 '一 ( 일 ) '을 屈折 ( 굴절 ) 시키거나 反轉 ( 반전 ) 시키는 等 ( 등 ) 의 加工 ( 가공 ) 을 해서 모든 文字 ( 문자 ) 를 그려낼 수 있다는 것이다. 이 段落 ( 단락 ) 이 注目 ( 주목 ) 받는 이유는 이 짧은 文章 ( 문장 ) 內 ( 내 ) 에 한글 의 基本 ( 기본 ) 字母 ( 자모 ) ㄱ , ㄴ , ㅁ , ㅅ , ㅇ , ㅣ , ㅡ , ㆍ 의 模樣 ( 모양 ) 을 모두 言及 ( 언급 ) 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鄭麟趾 ( 정인지 ) 가 《解例 ( 해례 ) 本 ( 본 ) 》에서 밝힌 製 ( 제 ) 字 ( 자 ) 原理 ( 원리 ) 와 多少 ( 다소 ) 다르다는 批判 ( 비판 ) 이 있다.
原文 ( 원문 ) [ 編輯 ]
衡 ( 형 ) 爲 ( 위 ) 一 ( 일 ) , 从 ( 종 ) 爲 ( 위 ) 丨 ( 곤 ) , 音 ( 음 ) 袞 ( 곤 ) , 邪 ( 사 ) 丨 ( 곤 ) 爲 ( 위 ) 丿 ( 별 ) , 房 ( 방 ) 必 ( 필 ) 切 ( 절 ) , 反 ( 반 ) 丿 ( 별 ) 爲 ( 위 ) ㇏, 分 ( 분 ) 勿 ( 물 ) 切 ( 절 ) , 至 ( 지 ) ㇏而 ( 이 ) 窮 ( 궁 ) .
折 ( 절 ) 一 ( 일 ) 爲 ( 위 ) 𠃍, 音 ( 음 ) 及 ( 급 ) , 反 ( 반 ) 𠃍爲 ( 위 ) □[1] , 呼 ( 호 ) 旱 ( 한 ) 切 ( 절 ) , 轉 ( 전 ) □爲 ( 위 ) 𠃊, 音 ( 음 ) 隱 ( 은 ) , 反 ( 반 ) 𠃊爲 ( 위 ) 𠃎, 居 ( 거 ) 月 ( 월 ) 切 ( 절 ) . 了 ( 요 ) 从 ( 종 ) 此 ( 차 ) , 見 ( 견 ) 了 ( 료 ) 部 ( 부 ) . 至 ( 지 ) 𠃎而 ( 이 ) 窮 ( 궁 ) .
折 ( 절 ) 一 ( 일 ) 爲 ( 위 ) 𠃍者 ( 자 ) , 側 ( 측 ) 也 ( 야 ) , 有 ( 유 ) 側 ( 측 ) 有 ( 유 ) 正 ( 정 ) , 正 ( 정 ) 折 ( 절 ) 爲 ( 위 ) ∧, 卽 ( 즉 ) 宀 ( 면 ) 字 ( 자 ) 也 ( 야 ) , 又 ( 우 ) 音 ( 음 ) 帝 ( 제 ) , 又 ( 우 ) 音 ( 음 ) 入 ( 입 ) . 轉 ( 전 ) ∧爲 ( 위 ) ∨, 側 ( 측 ) 加 ( 가 ) 切 ( 절 ) , 側 ( 측 ) ∨爲 ( 위 ) <, 音 ( 음 ) 畎 ( 견 ) , 反 ( 반 ) <爲 ( 위 ) >, 音 ( 음 ) 泉 ( 천 ) , 至 ( 지 ) >而 ( 이 ) 窮 ( 궁 ) .
一 ( 일 ) 再 ( 재 ) 折 ( 절 ) 爲 ( 위 ) 冂 ( 경 ) , 五 ( 오 ) 犯 ( 범 ) 節 ( 절 ) , 轉 ( 전 ) 冂 ( 경 ) 爲 ( 위 ) 凵 ( 감 ) , 口 ( 구 ) 犯 ( 범 ) 切 ( 절 ) , 側 ( 측 ) 凵 ( 감 ) 爲 ( 위 ) 匚 ( 방 ) , 音 ( 음 ) 方 ( 방 ) , 反 ( 반 ) 匚 ( 방 ) 爲 ( 위 ) □[2] , 音 ( 음 ) 番 ( 번 ) , 至 ( 지 ) □而 ( 이 ) 窮 ( 궁 ) .
引 ( 인 ) 一 ( 일 ) 而 ( 이 ) 繞 ( 요 ) 合 ( 합 ) 之 ( 지 ) , 方則 ( 방칙 ) 爲 ( 위 ) 囗 ( 국 ) , 音 ( 음 ) 圍 ( 위 ) , 圓 ( 원 ) 側 ( 측 ) 爲 ( 위 ) 〇 ( 영 ) , 音 ( 음 ) 星 ( 성 ) , 至 ( 지 ) 〇 ( 영 ) 則 ( 칙 ) 環 ( 환 ) 轉 ( 전 ) 無異 ( 무이 ) 勢 ( 세 ) , 一 ( 일 ) 之 ( 지 ) 道 ( 도 ) 盡 ( 진 ) 矣 ( 의 ) .
(後略 ( 후략 ) )
↑ 表記 ( 표기 ) 할 文字 ( 문자 ) 不在 ( 부재 )
↑ 表記 ( 표기 ) 할 文字 ( 문자 ) 不在 ( 부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