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글編輯 要約 없음
4番째 줄: 4番째 줄:
== 槪要 ==
== 槪要 ==


 明朝體는 橫劃보다 縱劃이 굵고 劃의 末端에 [[세리프]]가 있는 [[漢字]] 또는 [[한글]] [[書體]]이다. [[英文]]活字의 [[세리프體]]에 該當된다.
 明朝體는 橫劃보다 縱劃이 굵고 劃의 末端에 [[세리프]]가 있는 [[漢字]] 또는 [[한글]] [[書體]]이다. [[고딕體]]와 對比되며 [[英文]]活字의 [[세리프體]]에 該當된다.


== 漢字 明朝體 ==
== 漢字 明朝體 ==

2021年2月6日(土)09時07分 版

槪要(개요)

明朝體(명조체)橫劃(횡획)보다 ()()이 굵고 ()末端(말단)세리프가 있는 漢字(한자) 또는 한글 書體(서체)이다. 고딕()對比(대비)되며 英文(영문)活字(활자)세리프()該當(해당)된다.

漢字(한자) 明朝體(명조체)

中國(중국) ()나라製作(제작)되어 明朝(명조)()라고 하지만, 事實(사실) ()나라書體(서체)에 더 가까워 中國(중국)에서는 宋體(송체)()한다.

한글 明朝體(명조체)

한글 明朝體(명조체)宮體(궁체)에서 由來(유래)되었으며, 바탕()라고도 한다. 漢字(한자)明朝體(명조체)와는 差異(차이)가 있으며, 傳統(전통)明朝體(명조체)恰似(흡사)하도록 製作(제작)된것은 純明(순명)()라고 한다.

用途(용도)

()()이나 新聞(신문) () 印刷(인쇄)媒體(매체)에서 本文(본문)() 書體(서체)使用(사용)된다. 畵面(화면)直接(직접) 發光(발광)하는 컴퓨터 環境(환경)과는 달리, 紙面(지면)反射光(반사광)()文字(문자)認知(인지)하는 印刷(인쇄)媒體(매체)에서는 세리프가 있는 書體(서체)에 더 便()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