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漢字路 한글·漢字 自動變換機"의 두 版 사이의 差異

잔글編輯 要約 없음
編輯 要約 없음
7番째 줄: 7番째 줄:


== 機能 ==
== 機能 ==
[[한글專用]]으로 된 [[韓國語]] [[웹 사이트]]를 國漢文混用으로 變換해주는 機能을 提供한다. 메인 페이지의 住所欄에 願하는 사이트의 住所를  입력 하면 該當 사이트의 [[漢字語]]를 漢字表記로 변환해 表示해준다. 텍스트 變換機能도 別途로 提供한다.
[[한글專用]]으로 된 [[韓國語]] [[웹 사이트]]를 國漢文混用으로 變換해주는 機能을 提供한다. 메인 페이지의 住所欄에 願하는 사이트의 住所를  入力 하면 該當 사이트의 [[漢字語]]를 漢字表記로 변환해 表示해준다. 텍스트 變換機能도 別途로 提供한다.


 옵션을 바꿔 變換結果를 [[國漢文倂用|한글과 倂記]]할지, [[國漢文混用|漢字만 表示할지]] 選擇할 수 있으며, [[漢字檢定試驗]]의 級數別로 變換할 漢字의 區分을 選擇할 수도 있다.
 옵션을 바꿔 變換結果를 [[國漢文倂用|한글과 倂記]]할지, [[國漢文混用|漢字만 表示할지]] 選擇할 수 있으며, [[漢字檢定試驗]]의 級數別로 變換할 漢字의 區分을 選擇할 수도 있다.

2025年2月25日(火)13時01分 版

네이버 뉴스 메인 페이지가 變換된 모습

홈페이지

漢字(한자)()傳統文化(전통문화)硏究會(연구회)에서 開發(개발)·運營(운영)하는 웹 사이트이다. '한글·漢字(한자) 自動(자동)變換機(변환기)'라는 道具(도구)內藏(내장)되어 웹 사이트國漢文(국한문)混用(혼용)으로 變換(변환)해서 볼 수 있다.

機能(기능)

한글專用(전용)으로 된 韓國語(한국어) 웹 사이트國漢文(국한문)混用(혼용)으로 變換(변환)해주는 機能(기능)提供(제공)한다. 메인 페이지의 住所(주소)()()하는 사이트의 住所(주소)入力(입력)하면 該當(해당) 사이트의 漢字語(한자어)漢字(한자)表記(표기)로 변환해 表示(표시)해준다. 텍스트 變換機(변환기)()別途(별도)提供(제공)한다.

옵션을 바꿔 變換(변환)結果(결과)한글과 倂記(병기)할지, 漢字(한자)表示(표시)할지 選擇(선택)할 수 있으며, 漢字(한자)檢定試驗(검정시험)級數(급수)()變換(변환)漢字(한자)區分(구분)選擇(선택)할 수도 있다.

短點(단점)

HTTPS支援(지원)하지 않는지, https로 로드되는 이미지 () 리소스가 로드·表示(표시)되지 않거나 一部(일부) 사이트表示(표시)조차 되지 않기도 한다.

한글專用(전용) 文章(문장)漢字語(한자어)人間(인간)()() 따위를 하지 않고 漢字(한자)變換(변환)하는 것이기 때문에[1], ()變換(변환)可能性(가능성)이 있으며 資料(자료) ()으로 使用(사용)하려면 確認(확인)을 거치는 것이 좋다.

其他(기타)

蔚山大學校(울산대학교) 韓國語(한국어)處理(처리)硏究室(연구실)에서 開發(개발)한 ‘한글漢字(한자)自動(자동)變換機(변환기)’을 바탕으로 開發(개발)되었다 하며, 該當(해당) 技術(기술)UTagger基盤(기반)한 듯하다.

  1. 漢字(한자)한글變換(변환)하는 것보다 文脈(문맥)()依存度(의존도)가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