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9年 標準 네벌式"의 두 版 사이의 差異

(새 文書: 1969() 科學技術處(과학기술처)에서 開發해 標準으로 指定된 한글打字機(타자기) 字板. == 構成 == 初聲(초성) 한벌, 終聲없는 中聲(중성) 한벌, 終聲 있는 中聲 한벌, 終聲(종성) 한벌 총 네벌로 構成된다. 이 中 終聲 없는 中聲은 上下로 긴 模樣에 可動키, 終聲 있는 中聲은 짧은 模樣에 不動키이다. == 모아쓰기 原理 == == 長短點 == == 標準制定過程의 問題 ==)
 
5番째 줄: 5番째 줄:


== 모아쓰기 原理 ==
== 모아쓰기 原理 ==
公炳禹打字機와 마찬가지로 한글 1音節에 [[플래튼]]이 2回 움직인다. 하지만 모든 母音이 可動키인 公炳禹式과 달리 받침이 안 붙는 긴모음은 可動키, 받침이 붙는 짧은모음은 不動키로 되어있으며 받침이 모두 可動키이다. 卽, 基本的으로 다음과 같은 境遇가 發生한다.
* 子音 + 긴母音 (가나다라)
* 子音 + 짧은母音 + 받침 (한국)
前者의 境遇 子音과 긴母音을 칠때 한番씩 플래튼이 前進하고, 받침 없이 音節이 끝난다. 後者는 子音을 찍고 플래튼이 1回 前進, 짧은母音을 제자리에 찍고 받침을 찍으며 플래튼이 前進하여 音節이 完成된다. 卽, 母音을 두 벌로 나눈것은 活字體의 美觀上 理由도 있지만, 雙焦點 改造 없이 모아쓰기를 具現하기 爲해서이기도 하다고 解釋할 수 있다.
== 長短點 ==
== 長短點 ==
== 標準制定過程의 問題 ==
== 標準制定過程의 問題 ==

2024年8月5日(月)21時57分 版

1969() 科學技術處(과학기술처)에서 開發(개발)標準(표준)으로 指定(지정)한글打字機(타자기) 字板(자판).

構成(구성)

初聲(초성) 한벌, 終聲(종성)없는 中聲(중성) 한벌, 終聲(종성) 있는 中聲(중성) 한벌, 終聲(종성) 한벌 총 네벌로 構成(구성)된다. 이 () 終聲(종성) 없는 中聲(중성)上下(상하)로 긴 模樣(모양)可動(가동)키, 終聲(종성) 있는 中聲(중성)은 짧은 模樣(모양)不動(부동)키이다.

모아쓰기 原理(원리)

()()()打字機(타자기)와 마찬가지로 한글 1音節(음절)플래튼이 2() 움직인다. 하지만 모든 母音(모음)可動(가동)키인 ()()()()과 달리 받침이 안 붙는 긴모음은 可動(가동)키, 받침이 붙는 짧은모음은 不動(부동)키로 되어있으며 받침이 모두 可動(가동)키이다. (), 基本的(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은 境遇(경우)發生(발생)한다.

  • 子音(자음) + 긴母音(모음) (가나다라)
  • 子音(자음) + 짧은母音(모음) + 받침 (한국)

前者(전자)境遇(경우) 子音(자음)과 긴母音(모음)을 칠때 한()씩 플래튼이 前進(전진)하고, 받침 없이 音節(음절)이 끝난다. 後者(후자)子音(자음)을 찍고 플래튼이 1() 前進(전진), 짧은母音(모음)을 제자리에 찍고 받침을 찍으며 플래튼이 前進(전진)하여 音節(음절)完成(완성)된다. (), 母音(모음)을 두 벌로 나눈것은 活字體(활자체)美觀上(미관상) 理由(이유)도 있지만, ()焦點(초점) 改造(개조) 없이 모아쓰기를 具現(구현)하기 ()해서이기도 하다고 解釋(해석)할 수 있다.

長短點(장단점)

標準(표준)制定(제정)過程(과정)問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