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文書: '''粵語諺文'''({{llang|zh-yue|Jyut6 jyu5 jin6 man4|읟의인맍}})은 近來에 主張되고 있는 한글로 |
잔글編輯 要約 없음 |
||
(같은 | |||
1番째 줄: | 1番째 줄: | ||
'''粵語諺文'''({{llang|zh-yue|Jyut6 jyu5 jin6 man4|읟의인맍}})은 近來에 主張되고 있는 [[한글]]로 [[粵語]]을 쓰자는 方案이다. [[朝鮮]]에서 發明된 한글은 本來 韓國語를 爲해 만든 것이기에 粵語를 그대로 表記하는 데 限界가 있으므로, 이 한글을 이 方案과 같이 써야 粵語를 表記할 수 있다. | '''粵語諺文'''({{llang|zh-yue|Jyut6 jyu5 jin6 man4|읟의인맍}})은 近來에 主張되고 있는 [[한글]]로 [[粵語]]을 쓰자는 方案이다. [[朝鮮]]에서 發明된 한글은 本來 韓國語를 爲해 만든 것이기에 粵語를 그대로 表記하는 데 限界가 있으므로, 이 한글을 이 方案과 같이 써야 粵語를 表記할 수 있다. | ||
아직 公 | 아직 公 共에게 認定받는 粵語 諺文 表記方案은 없으나 '2002年 金昔硏版', '2005年 藺蓀版', '2009年 黃得森版' 의 세 個의 方案이 있다. | ||
== 原理 == | == 原理 == | ||
59番째 줄: | 59番째 줄: | ||
|e *爹 에 | |e *爹 에 | ||
|ei 菲* 엣 | |ei 菲* 엣 | ||
| | |eu 掉* 여 | ||
| | |em 𦧷* 엠 | ||
| | | | ||
|eng 廳* 앵 | |eng 廳* 앵 | ||
| | |ep 夾* 엡 | ||
| | | | ||
|ek 叻* 엑 | |ek 叻* 엑 | ||
84番째 줄: | 84番째 줄: | ||
|oeng 香* 응 | |oeng 香* 응 | ||
| | | | ||
| | |oet # 읃 | ||
|oek 脚* 윽 | |oek 脚* 윽 | ||
|- | |- | ||
139番째 줄: | 139番째 줄: | ||
====注==== | ====注==== | ||
# 별漂(*) 記號는 漢字音에서 聲母를 除外하고 韻母만 取하라는 意味이다. | # 별漂(*) 記號는 漢字音에서 聲母를 除外하고 韻母만 取하라는 意味이다. | ||
# 샵(#) 記號는 2018年에 追加되었다는 意味이다. | |||
# ㅁ(m 唔)과 ㅇ(ng 吳)은 自體的으로 完成된 音節이다. | # ㅁ(m 唔)과 ㅇ(ng 吳)은 自體的으로 完成된 音節이다. | ||
182番째 줄: | 183番째 줄: | ||
低頭思故鄉。 | 低頭思故鄉。 | ||
</pre> | </pre> | ||
|'''諺文'''(黃得森의 方案) | |''' 粵語 諺文'''(黃得森의 方案) | ||
<pre> | <pre> | ||
"쳏펳듀삼섯" 통, 렛박 | "쳏펳듀삼섯" 통, 렛박 | ||
207番째 줄: | 208番째 줄: | ||
삶흥텧밬이란곤. | 삶흥텧밬이란곤. | ||
" 츥 휴" 통, 망홋인 | |||
츥민밭곡휴, | 츥민밭곡휴, | ||
214番째 줄: | 215番째 줄: | ||
빠록지도슈. | 빠록지도슈. | ||
" 젷예 시" 통, 렛박 | |||
총친멯읟궝, | 총친멯읟궝, |
2024年1月28日(日)23時43分 基準 最新版
아직
原理 [編輯]
例 [編輯]
黃 得 森 方案 [編輯]
聲母 表 [編輯]
b |
p |
m |
f |
d |
t |
n |
l |
g |
k |
h |
ng |
z |
c |
s |
j |
gw |
kw |
w |
韻母 表 [編輯]
aa |
aai |
aau |
aam |
aan |
aang |
aap |
aat |
aak |
a # 앗 | ai |
au |
am |
an |
ang |
ap |
at |
ak |
e * |
ei |
eu |
em 𦧷* 엠 | eng |
ep |
ek | ||
eoi |
eon * |
eot |
||||||
oe |
oeng |
oet # 읃 | oek | |||||
o |
oi |
ou |
on |
ong |
ot * |
ok | ||
i |
iu |
im * |
in |
ing |
ip |
it |
ik | |
u |
ui * |
un |
ung |
ut |
uk | |||
yu |
yun |
yut |
||||||
m |
ng |
注 [編輯]
- 별
漂 (*)記號 는漢字 音 에서聲母 를除外 하고韻母 만取 하라는意味 이다. - 샵(#)
記號 는 2018年 에追加 되었다는意味 이다. - ㅁ(m
唔 )과 ㅇ(ng吳 )은自體的 으로完成 된音節 이다.
例文 [編輯]
《清平調三首》 唐.李白 其一 雲想衣裳花想容, 春風拂檻露華濃。 若非群玉山頭見, 會向瑤臺月下逢。 其二 壹枝紅艷露凝香, 雲雨巫山枉斷腸。 借問漢宮誰得似? 可憐飛燕倚新妝。 其三 名花傾國兩相歡, 長得君王帶笑看。 解釋春風無限恨, 沈香亭北倚闌幹。 《春曉》 唐·孟浩然 春眠不覺曉, 處處聞啼鳥。 夜來風雨聲, 花落知多少。 《靜夜思》 唐.李白 床前明月光, 疑是地上霜。 舉頭望明月, 低頭思故鄉。 |
"쳏펳듀삼섯" 통, 렛박 켓얕 왅승이승빠승욯, 츥뽛빹람롯와놓. 욕(뜩)뻿콵욬산텃긴, 위흥유퇴읟하뽛. 켓이 얕지홓임롯넿흥, 왅의못산웡틘층. 제맍혼곻슷닼치? 호린뻿인이삱종. 켓삼 멯빠켛궉릉승뿐, 증닼괁웡대슈혼. 개셐츥뽛못한핝, 삶흥텧밬이란곤. "츥휴" 통, 망홋인 츥민밭곡휴, 츼츼맍탯뉴. 예뢰뽛의셓, 빠록지도슈. "젷예시" 통, 렛박 총친멯읟궝, 이시뎃승승. 긋텃몽멯읟, 뎃텃시구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