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문서: {{漢字語情報 | 한자어 = 明朝(명조)() | 독음 = {{讀音|명조체}} }} == 槪要(개요) == 明朝體는 가로()보다 세로劃이 굵고 劃의 끝에 세리프...)
 
잔글 (문자열 찾아 바꾸기 - "\s*==\s*(개요|槪要|概要)\s*==\s*" 문자열을 "" 문자열로)
 
(使用者(사용자) 3()中間(중간) () 7()는 보이지 않습니다)
1番째 줄: 1番째 줄:
{{漢字語情報
| 한자어 = [[明朝]][[體]]
| 독음 = {{讀音|명조체}}
}}


== [[ 槪要]] ==
[[File:Mintyotai.svg|thumb|right|120px]]
明朝體는 가로[[劃]]보다 세로劃이 굵고 劃의 끝에 [[세리프]]가 있는 [[漢字]] 또는 [[한글]] [[書體]]이다. [[英文]][[活字]] 의 [[세리프體]]에 [[該當]]된다.


== [[漢字]] 明朝體 ==
 明朝體 는 橫劃보다 縱劃이 굵고 劃의 末端에 [[ 세리프]] 가 있는 [[ 漢字]]  또는 [[ 한글]] [[ 書體]] 이다. [[ 고딕體]] 對比되며 [[ 英文]] 活字의 [[ 세리프體]] 該當된 다.
[[中國]] [[明나라]] 만들어져서 [[ 明朝]][[]] 라고 하지만, [[ 事實]] [[ 宋나라]] [[ 書體]] 더 가까워서 [[ 中國]] 에서는 [[ 宋體]] 라고 부른 다.


== [[한글]] 明朝體 ==
== 漢字 明朝體 ==
  한글 朝體는 [[ 宮體]]에 [[ 由來]] 되었으며, [[ 바탕體]]라 고도 한다.
[[中國]] [[明나라]] 製作되어 [[ 朝]]體라고 하지만, 事實 [[宋나라]]의 [[ 書體]]에 더 가까워 [[ 中國]] 에서는 [[ 宋體]]라  한다.


== [[用途]] ==
== 한글 明朝體 ==
[[ ]] 로 [[ ]]이나 [[新聞]] [[ ]] [[印刷媒體]]에서 [[本文]][[ ]][[ 書體]]로  쓰인 다. [[ 面]]이 [[ 直接]] [[빛]]을 는 [[컴퓨터]] [[ 環境]] 과는 달리 [[종이]][[ ]]에 [[反射]]된 [[빛]]을 [[ ]] 해 [[文字]]를 [[ 認知]] 하는 [[式]]이라 [[세리프]]가 있는 書體가 [[눈]]에 더 [[ 便]] 하기 때문이다.
[[한글]] 明朝體는 [[宮體]]에서 由來되었으며, [[바탕體]]라고도 한다. [[漢字]]의 明朝體와는 差異가 있으며, [[傳統]]明朝體에 恰似하도록 製作된것은 [[ 純明朝]]라고 한다.
 
==  用途 ==
主로 [[ ]]이나 [[新聞]] 等 [[印刷媒體]]에서 [[本文用 書體]]로  使用된 다. [[ 面]]이 直接  發光하 는 [[컴퓨터]] 環境과는 달리, 紙 [[反射 ]]을 通해 [[文字]]를 認知하는 印刷媒體에서는 [[세리프]]가 있는 書體가 [[눈]]에 더 便하기 때문이다.


[[분류:書體]]
[[분류:書體]]

2022年7月19日(火)11時34分 基準 最新版

明朝體(명조체)橫劃(횡획)보다 ()()이 굵고 ()末端(말단)세리프가 있는 漢字(한자) 또는 한글 書體(서체)이다. 고딕()對比(대비)되며 英文(영문)活字(활자)세리프()該當(해당)된다.

漢字(한자) 明朝體(명조체)[編輯]

中國(중국) ()나라製作(제작)되어 明朝(명조)()라고 하지만, 事實(사실) ()나라書體(서체)에 더 가까워 中國(중국)에서는 宋體(송체)()한다.

한글 明朝體(명조체)[編輯]

한글 明朝體(명조체)宮體(궁체)에서 由來(유래)되었으며, 바탕()라고도 한다. 漢字(한자)明朝體(명조체)와는 差異(차이)가 있으며, 傳統(전통)明朝體(명조체)恰似(흡사)하도록 製作(제작)된것은 純明(순명)()라고 한다.

用途(용도)[編輯]

()()이나 新聞(신문) () 印刷(인쇄)媒體(매체)에서 本文(본문)() 書體(서체)使用(사용)된다. 畵面(화면)直接(직접) 發光(발광)하는 컴퓨터 環境(환경)과는 달리, 紙面(지면)反射光(반사광)()文字(문자)認知(인지)하는 印刷(인쇄)媒體(매체)에서는 세리프가 있는 書體(서체)에 더 便()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