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文書: '''〒'''는 日本(일본) 郵便(우편) 記號를 의미하며 日本語(일본어)로 '''ゆうびん'''을 入力(입력)하면 그 記號를 얻을 수 있. 明治(명치) 20年(1887()) 2月, 日本의 遞信省(現在의 郵政(우정)())은 첫 글字인 'T'(Teishinshō)를 遞信省의 뱃지와 郵便을 象徵하는 象徵으로 하기로 決定했다. 하지만 'T'라는 記號는 西洋(서양) 郵遞局(우체국)에서 郵便料金이 不足하다는 表示이다. 遞信省의 官吏(관리)들은...)
 
編輯 要約 없음
 
3番째 줄: 3番째 줄:
[[明治]] 20年([[1887年]]) 2月, 日本의 遞信省(現在의 [[郵政省]])은 첫 글字인 'T'(Teishinshō)를 遞信省의 뱃지와 郵便을 象徵하는 象徵으로 하기로 決定했다. 하지만 'T'라는 記號는 [[西洋]] [[郵遞局]]에서 郵便料金이 不足하다는 表示이다. 遞信省의 [[官吏]]들은 이를 알고 急히 열흘 뒤 消息을 發表하여 郵便 記號를 '〒'로 修正하였다.
[[明治]] 20年([[1887年]]) 2月, 日本의 遞信省(現在의 [[郵政省]])은 첫 글字인 'T'(Teishinshō)를 遞信省의 뱃지와 郵便을 象徵하는 象徵으로 하기로 決定했다. 하지만 'T'라는 記號는 [[西洋]] [[郵遞局]]에서 郵便料金이 不足하다는 表示이다. 遞信省의 [[官吏]]들은 이를 알고 急히 열흘 뒤 消息을 發表하여 郵便 記號를 '〒'로 修正하였다.


 遞信省(ていしんしょう)의 첫 [[ 글字]]인 'て'는 가타카나로 쓰면 'テ'입니다. 'テ'를 패턴化하면 '〒'가 된다.
 遞信省(ていしんしょう)의 첫 [[ 假名]]인 'て'는 가타카나로 쓰면 'テ'입니다. 'テ'를 패턴化하면 '〒'가 된다.
[[分類:記號]]
[[分類:記號]]

2024年6月25日(火)17時36分 基準 最新版

日本(일본) 郵便(우편) 記號(기호)를 의미하며 日本語(일본어)ゆうびん入力(입력)하면 그 記號(기호)를 얻을 수 있.

明治(명치) 20()(1887()) 2(), 日本(일본)遞信(체신)()(現在(현재)郵政(우정)())은 첫 글()인 'T'(Teishinshō)를 遞信(체신)()의 뱃지와 郵便(우편)象徵(상징)하는 象徵(상징)으로 하기로 決定(결정)했다. 하지만 'T'라는 記號(기호)西洋(서양) 郵遞局(우체국)에서 郵便料金(우편요금)不足(부족)하다는 表示(표시)이다. 遞信(체신)()官吏(관리)들은 이를 알고 ()히 열흘 뒤 消息(소식)發表(발표)하여 郵便(우편) 記號(기호)를 '〒'로 修正(수정)하였다.

遞信(체신)()(ていしんしょう)의 첫 假名(가명)인 'て'는 가타카나로 쓰면 'テ'입니다. 'テ'를 패턴()하면 '〒'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