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프리칸스()
阿弗利加(아불리가)()
南阿弗利加(남아불리가)和蘭語(화란어)
()() Afrikaans
使用者(사용자) 보어()
使用(사용) 地域(지역) 南阿共(남아공)
納米比亞(납미비아)
토르 AF

槪要(개요)[編輯]

아프리칸스()(아프리칸스語: Afrikaans(아프리칸스))는 南阿弗利加(남아불리가) 地區(지구) 位置(위치)歐羅巴人(구라파인) 通用(통용) 言語(언어).

()아메리카 共和國(공화국)公用語(공용어)이며 나미비아에서 널리 쓰이는 서게르만()() 言語(언어). 아프리카너들과 케이프 말레이인들 및 케이프 컬러드들이 ()使用(사용)한다.

아프리칸스()()해 모르는 사람은 이름 때문에 아프리카 土着(토착)() 또는 아프리카에 널리 쓰이는 言語(언어)誤解(오해)하기도 하나 아프리카 全體(전체)가 아니라 남아공과 나미비아에서 ()로 쓰이는 言語(언어)이며 該當國(해당국)()에서 人口(인구) 多數(다수)가 쓰는 言語(언어)는 아니다. 아프리칸스(Afrikaans)라는 槪念(개념)은 다른 白人(백인)들보다 먼저 남아공에 定着(정착)한, ()英國(영국)()除外(제외)한 모든 白人(백인)이라는 意味(의미)에서 붙은 것이다.

本來(본래) 아프리칸스라는 말 自體(자체)가 '아프리카너들의 言語(언어)'라는 意味(의미)이므로 嚴密(엄밀)히는 '아프리칸스()'라고 하는 것은 겹말이지만 韓國語(한국어)로 뜻을 明確(명확)히 할 때는 겹말이 許容(허용)되기도 하므로 '아프리칸스()'라 한다.

成立(성립)系統(계통)[編輯]

네덜란드()와 매우 비슷해 보이는데 아프리칸스()는 네덜란드 東印度會社(동인도회사)東方貿易(동방무역)을 위해 中繼(중계)基地(기지)를 만들고자 ()아메리카에 케이프타운 植民地(식민지)開拓(개척)한 1652()부터 移住(이주)해온 네덜란드()들이 驅使(구사)하던 近世(근세) 네덜란드()()아메리카 現地(현지)劣惡(열악)敎育(교육)與件(여건)으로 인하여 여러 世代(세대)를 거치며 文法(문법)複雜性(복잡성)喪失(상실)結果(결과) 생겨난 言語(언어)이다.

言語(언어)近世(근세)時代(시대)부터 ()를 이어 現在(현재)까지 母國語(모국어)로서 驅使(구사)해온 이들은 보어()으로 불리는 白人(백인)集團(집단)으로, 이들의 祖上(조상)生計(생계)를 위해 本國(본국)離脫(이탈)()아메리카에 無斷(무단)定着(정착)() 네덜란드()들과, 가톨릭 政權(정권)宗敎(종교)迫害(박해)()移住(이주)해왔다가 네덜란드()同化(동화)一部(일부) 改新敎(개신교)() 프랑스()(위그노) 및 ()독일인들이었다, 基本的(기본적)으로 브라질 포어나 美國(미국) 英語(영어)처럼 酒類(주류) 言衆(언중)母語(모어)言中(언중) ()에서 變化(변화)해가면서 分化(분화)된 것이다.

네덜란드()와 아프리칸스()本土(본토) 포르투갈()와 브라질() 포르투갈(), 英國(영국) 英語(영어)美國(미국) 英語(영어)差異點(차이점)보다 큰 便()이다. ()文法(문법)에서는 差異(차이)가 많이 난다.

하지만 오늘날 네덜란드()와 아프리칸스()가 서로 다른 言語(언어)看做(간주)되는 것은 이러한 差異點(차이점)도 있지만, 보어()現代(현대)의 네덜란드()과는 民族(민족) 正體性(정체성)이 좀 다르기 때문이다.

實際(실제)로 아프리칸스()는 보어 戰爭(전쟁) 以前(이전)까지만 해도 無識(무식)하고 막돼먹은 아프리카 植民地(식민지) ()놈들이나 쓰는 類似(유사)言語(언어)(bastard jargon)로 取扱(취급)받았다.

그러다가 19世紀(세기) ()부터 本國(본국)으로부터의 이런 푸待接(대접)反撥(반발)하여 만들어진 Genootskap van Regte Afrikaners(()짜 아프리카너들을 위한 모임)이라는 보어() 民族(민족)團體(단체)에서 이 '아프리카() 네덜란드()'에 Afrikaans(아프리칸스())라는 이름을 붙이고 文法(문법)()發刊(발간)하면서 獨自的(독자적)言語(언어)發展(발전)시켰다.

1910() ()아메리카 聯邦(연방) 成立(성립) 以後(이후)에도 아프리칸스()公用語(공용어)指定(지정)해야 한다는 運動(운동)이 일어나 1925() 아프리칸스()英語(영어), 네덜란드()와 함께 ()아메리카 聯邦(연방)公用語(공용어)認定(인정)받아 公式的(공식적)으로 本土(본토) 네덜란드()別個(별개)言語(언어)로 자리매김되었다.

그러나 이때에도 아직 本國(본국) 네덜란드()後裔(후예)라는 意識(의식)을 갖고 있던 一部(일부) 보어()들은 아프리칸스()公用語(공용어)()反對(반대)하기도 했었다.

아프리칸스()注目(주목)할 만한 文法的(문법적) 特徵(특징)은 다음과 같다. 名詞(명사)()이 없다.

動詞(동사)人稱(인칭)變化(변화)() 없다.

一般(일반)動詞(동사)過去(과거)() 自體(자체)가 없고, 完了(완료)助動詞(조동사)過去形(과거형)이 없으므로 過去完了(과거완료)()() 없다.

一般(일반)動詞(동사)原形(원형)接頭辭(접두사) ge만 더하면 完了(완료)噴射(분사)가 되고[7] 따라서 不規則動詞(불규칙동사)가 없다.

過去(과거)一般(일반)動作(동작)完了(완료), 未完了(미완료) 與否(여부)를 가리지 않고 모두 現在完了(현재완료)()으로 나타낸다.

否定文(부정문)은 반드시 nie(英語(영어)의 not)로 끝난다. nie를 맨 끝에 한 () 더 억지로 써서라도.

形態(형태)變化(변화)를 하는 途中(도중) 消滅(소멸)語幹(어간)語末(어말)音韻(음운)復活(부활)하거나(wors→worste, nag→nagte), 語幹(어간)語末(어말)音韻(음운)消滅(소멸)하는 現象(현상)(vroeg→vroeer) 때문에 一部(일부) 名詞(명사)複數(복수)(), 動詞(동사)分社(분사), 形容詞(형용사)比較級(비교급)을 익히기가 까다롭다.

이를 쉽게 배우려면 別途(별도)의 네덜란드() 語學(어학)知識(지식)必要(필요)하다.

事實上(사실상) 아프리칸스()後半(후반) 學習(학습)難易度(난이도)를 올리는 主犯(주범).

네덜란드()를 아프리칸스()比較(비교)하면 代表的(대표적)差異點(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1. 네덜란드()通姓名(통성명)사와 中性名詞(중성명사)區分(구분)한다.
  2. 네덜란드()動詞(동사)斷水(단수)人稱(인칭)變化(변화)()區分(구분)한다.
  3. 네덜란드()動詞(동사)過去形(과거형)現在完了(현재완료)()用途(용도)에 따라 徹底(철저)하게 區分(구분)한다.
  4. 네덜란드()不規則動詞(불규칙동사)가 대단히 많다.
  5. 네덜란드()人稱代名詞(인칭대명사)()()藥衡(약형)區分(구분)한다.
  6. 네덜란드()指示(지시)()遠近(원근)程度(정도)에 따라 徹底(철저)하게 區分(구분)한다.
  7. 네덜란드()主語(주어)()程度(정도)가 매우 낮을 境遇(경우) 반드시 假主(가주)() 役割(역할)을 하는 位置(위치)府使(부사)同伴(동반)해야 한다.
  8. 네덜란드()否定文(부정문)을 만들 때 單語(단어)狀況(상황), 뉘앙스에 따라 nee, niet 그리고 geen을 徹底(철저)區別(구별)하고, 文章(문장) 끝에 反復(반복)하지 않는다.

다만 文法(문법)極度(극도)로 간략화되었을지언정 語順(어순)은 거의 바뀌지 않았고 如前(여전)語彙(어휘)의 95% 以上(이상)을 네덜란드()共有(공유)하기 때문에, 네덜란드() 話者(화자)와 아프리칸스() 話者(화자)는 덴마크() 話者(화자)와 노르웨이()(보크몰) 話者(화자)가 하는 것보다 더 원활한 意思疏通(의사소통)可能(가능)하긴 하다. 하길 좋아하질 않을 뿐 一般的(일반적)으로 口語(구어) ()에서는 네덜란드()보다 플란데런() 벨기에()이 아프리칸스()를 더 잘 알아듣는데, 아프리칸스()가 흔히 '네덜란드()'라고 하면 떠오르는 北部(북부) 方言(방언)이 아닌, 네덜란드 南部(남부) 및 벨기에 北部(북부) 地域(지역)인 브라반트 地域(지역)方言(방언)에서 祈願(기원)言語(언어)이기 때문이다. 글의 境遇(경우) 현대 아프리칸스()로 쓰여진 聖書(성서)는 네덜란드()이 100% 解釋(해석) 可能(가능)하며, 外國人(외국인)이 아프리칸스() 聖書(성서)를 읽다가 모르는 表現(표현)이 나와도 네덜란드() 辭典(사전)에서 네덜란드() 綴字(철자)檢索(검색)하면 거의 다 알 수있을 程度(정도)이다.

本土(본토) 네덜란드()比較(비교)했을 때 몇 가지 發音(발음)이나 表記(표기)差異點(차이점)存在(존재)한다. 'worst'(소세지)에서 마지막 t가 탈락해서 'wors'처럼 되는 () 좀 더 發音(발음)하기 쉬운 音韻(음운)으로 代替(대체)되었다. 또한 'euw', 'ieuw', 'auw'같은 表記(표기)存在(존재)하지 않는다. 한 ()로 'nieuws'에 該當(해당)하는 아프리칸스 單語(단어)는 nuus이다. 그 ()에 네덜란드()에 아주 흔한 二重母音(이중모음)() 'ij'는 아프리칸스()에서는 'y'라고 쓴다. 이걸 보면 네덜란드()인지 아프리칸스()인지 區分(구분)할 수 있다. 또한 發音(발음)도 '에이'보다는 '어이'(/?i/)에 가깝다. g와 ch도 네덜란드()에서는 如前(여전)理論(이론)()[11] 茂盛(무성) 口蓋垂(구개수) 顫動音(전동음)茂盛(무성) 軟口蓋(연구개) 摩擦音(마찰음)으로 區分(구분)하지만, 아프리칸스()에서는 네덜란드()의 g와 ch 發音(발음)을 똑같이 g로 表記(표기)하고 茂盛(무성) 軟口蓋(연구개) 摩擦音(마찰음)으로 읽는다. (예: acht→agt 여덟) sch~는 sk~로 바뀌었다. (예: school → skool 學校(학교))

또한 家族(가족) 構成員(구성원)名稱(명칭)이나 呼稱(호칭)法度(법도) 네덜란드()와 다르다. 우리()으로 보자면 '아버지', '어머니', '할아버지'. '할머니' 같은 單語(단어)가 없어졌고 그냥 엄마, 아빠, 할배, 할매 같은 表現(표현)을 쓴다고 보면 된다. 그리고 家族(가족) 構成員(구성원)對話(대화)할 때에는 여느 유럽 言語(언어)처럼 너나 當身(당신)이라는 2人稱(인칭) 代名詞(대명사)相對方(상대방)()하지 않고 마치 우리말처럼 名詞(명사)를 그대로 쓴다.

비록 네덜란드() 原語(원어)()이 아프리칸스()를 거의 完全(완전)理解(이해)할 수 있다고는 하나, 이런 差異點(차이점)들 때문에 아프리칸스()()하는 視角(시각)은 그다지 友好的(우호적)이지 않다. 아프리카너가 오히려 네덜란드()과 마찬가지로 新敎徒(신교도) 集團(집단)임에도 不拘(불구)하고 말이다. 네덜란드() 原語(원어)()立場(입장)에서는 史劇(사극)()()+아기옹알이로 느껴지기 때문에, 네덜란드 사람과 對話(대화)하고 싶다면 아프리칸스()를 쓰느니 차라리 英語(영어)를 쓰는 게 나을지도 모르겠다. 反對(반대)로 아프리칸스()母語(모어)로 쓰는 남아공 사람들에겐 네덜란드()數百(수백)() ()化石(화석)으로 느껴진다. 게다가 네덜란드()들은 交流(교류)重視(중시)하는 商工業(상공업) 中心(중심)이라 相當(상당)進步的(진보적)이고 開放的(개방적)反面(반면) 아프리카너들은 酪農業(낙농업) 鄕村(향촌) 社會(사회) 特有(특유)保守的(보수적)性向(성향)()해서 서로 잘 어울리지 않는다.

오히려 嚴肅主義(엄숙주의) 가톨릭 優勢(우세) 地域(지역)인 벨기에의 플란데런()들이 아프리칸스()를 더 친숙하게 여긴다. 이는 네덜란드에서는 意圖的(의도적)으로 브라반트() 네덜란드()抑壓(억압)하고 홀란트() 네덜란드()標準(표준)으로 삼은 反面(반면), 벨기에의 플란데런에서는 元來(원래) 아프리칸스의 源流(원류)인 브라반트() 네덜란드()標準(표준)으로 使用(사용)해왔기 때문이다.

文法(문법)[編輯]

네덜란드()에서 派生(파생)言語(언어)인 만큼 네덜란드()比較(비교)하여 敍述(서술).

네덜란드()에서의 格變化(격변화)가 사라져 時祭(시제)만 같다면 모두 같은 動詞(동사)를 쓸 수 있다.

네덜란드() : Ik ben ~, Jij/Je bent ~, Hij/Zij/Ze/Het is ~, Zij/Ze/Het zijn ~

아프리칸스() : Ek/Jy/Hy/Sy/Dit/Ons is ~

그리고 文法的(문법적) ()存在(존재)하는 네덜란드()는 통()中性(중성)區分(구분)하여 De와 Het를 區分(구분)하여 쓰지만 아프리칸스()는 Die만 쓴다.

分布(분포)[編輯]

아프리스칸스()를 쓰는 集團(집단)은 남아공 白人(백인) 가운데 보어()이라 불리는 네덜란드() 住民(주민)들과 케이프 컬러드라고 불리는 黑人(흑인)-白人(백인) 混血(혼혈) 住民(주민)들, 그리고 一部(일부) 南阿共(남아공) 黑人(흑인)一部(일부) 나미비아()(() 20() ())들이다. 이들이 移住(이주)英國(영국), 濠洲(호주), 美國(미국) 等地(등지)에도 話者(화자)가 흩어져 있다. 이들 ()에서 보어()이 아파르트헤이트의 主導(주도)勢力(세력)이었기 때문에 아프리칸스()는 '壓制者(압제자)言語(언어)'라는 否定的(부정적) 이미지가 있었다. 1976() 發生(발생)한 소웨토 蜂起(봉기)政府(정부)의 아프리칸스() 强制(강제)에 맞서 觸發(촉발)된 것. 이 때문에 아파르트헤이트가 끝난 以後(이후)國際的(국제적)으로 널리 쓰이는 英語(영어)選好度(선호도)가 크게 밀리고, 使用者(사용자) 比率(비율)도 조금씩 줄어들고 있다.

그래도 餘他(여타) 黑人(흑인) 言語(언어)에 비하면 大衆媒體(대중매체)에서도 相當(상당)히 쓰이는 便()이고, 케이프타운을 비롯한 主要(주요) 大都市(대도시)에서도 꽤나 쓰인다. 웨스턴 케이프 地域(지역)이 아니어도 過去(과거)에 트란스발, 오라녜 自由國(자유국) ()이 있던 東部(동부) 內陸道(내륙도) 아예 보어()들이 定着(정착)하며 建設(건설)된 여러 小都市(소도시)郊外(교외) 마을들은 只今(지금)大部分(대부분) 아프리카너들이 住民(주민)이기에 地方(지방)에서도 白人(백인)多數(다수)인 곳이면 아프리칸스()壓倒的(압도적)으로 쓰인다. 보어()들이 經濟力(경제력)에서 ()달리기는 하지만 어디까지나 英國(영국)() 白人(백인)에 비해서 比較的(비교적) ()달리지 如前(여전)히 남아공 白人(백인) 人口(인구)多數(다수)를 차지한다. 西部(서부) 地域(지역)居住(거주)하는 컬러드나 케이프 말레이인() 母語(모어)가 아프리칸스()이므로 쓸모는 있다. 게다가 아파르트헤이트 時節(시절)보다는 位相(위상)이 못하기는 하지만, 如前(여전)法的(법적) 公用語(공용어)이기도 하기 때문에 그래도 제2언어는 된다. 남아공에서 白人(백인)들의 人口(인구)比率(비율)漸次的(점차적)으로 낮아진다고는 하지만 아직도 母國語(모국어)로 쓰는 人口(인구)가 줄루(), 코사어 다음이며 如前(여전)히 여러 南阿共(남아공)() 사이에 좋든 싫든 ()아메리카 共和國(공화국)象徵(상징)하는 言語(언어)로 받아들이기에 位相(위상)이 낮다고 할 수는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