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㐎打字機"의 두 版 사이의 差異

18番째 줄: 18番째 줄:
[[1969年]] 科學技術處에서 開發하고 標準으로 制定된 方式이다. 現在 [[컴퓨터]]用 키보드配列 標準인 두벌式과 類似하다.
[[1969年]] 科學技術處에서 開發하고 標準으로 制定된 方式이다. 現在 [[컴퓨터]]用 키보드配列 標準인 두벌式과 類似하다.


 初聲1벌+中聲2벌+終成1벌로 構成되며, 中聲 두벌은 받침의 有無에 따라 갈린다. 二重母音을 組合할 때 처음 中聲은 받침用 中聲을 使用한다.
 初聲1벌+中聲2벌+終成1벌로 構成되며, 中聲 두벌은 받침의 有無에 따라 갈린다. 二重母音을 組合할 때 처음 中聲은 받침用 中聲을 使用한 다. 된소리 初聲과 겹받침 ㅆ, ㅄ, ㄶ이 別途로 割當되어 있 다.


  된소리 初聲과 받침 ㅆ, ㅄ, ㄶ 이  別途 로  割當 되어  다.
1980年代에는 活字는 네벌式이지만 配列이 두벌式처럼 생긴 製品도 開發되었다. 받침이  있는 音節의 初聲 다음에 [[쉬프트 키]]를 누르면 自動으 로  固定 되어  그 狀態로 中聲·終聲을 이어서 打字하면 쉬프트 固定이 풀리는 方式으로 作動한 다.


=== 김동훈 다섯벌式 ===
=== 김동훈 다섯벌式 ===

2021年4月6日(火)00時13分 版

槪要(개요)

打字機(타자기) ()에서 한글打字(타자)할 수 있는 種類(종류)()說明(설명)한다.

歷史(역사)

1914() 이원익이 英文(영문) 打字機(타자기)한글活字(활자)를 붙여 만든 네벌() 打字機(타자기)모아쓰기 打字機(타자기)始初(시초)라고 여겨진다.

種類(종류)

두벌()

()()() 세벌()

1947()부터 ()()()()開發(개발)된 모아쓰기 橫書(횡서) 打字機(타자기). ()()() 打字機(타자기)는 받침(終聲(종성))을 ()·中聲(중성)보다 왼쪽 위치에 찍는 ()焦點(초점)方式(방식)이며, 構造(구조)() 活字(활자)() 꼬임을 防止(방지)하기 ()初聲(초성)이 오른쪽, 終聲(종성)이 왼쪽에 位置(위치)한다.

()들이 윗()에 맞춰 매달려 있는 것 처럼 보여 一名(일명) ‘빨래줄 글꼴’이라 불리는 特有(특유)의 글꼴이 特徵的(특징적)이다.

()에도 標準(표준) 두벌()基盤(기반)配列(배열)을 갖춘 세벌() 打字機(타자기)存在(존재)한다.

네벌()

1969() 科學技術處(과학기술처)에서 開發(개발)하고 標準(표준)으로 制定(제정)方式(방식)이다. 現在(현재) 컴퓨터() 키보드配列(배열) 標準(표준)인 두벌()類似(유사)하다.

初聲(초성)1벌+中聲(중성)2벌+終成(종성)1벌로 構成(구성)되며, 中聲(중성) 두벌은 받침의 有無(유무)에 따라 갈린다. 二重母音(이중모음)組合(조합)할 때 처음 中聲(중성)은 받침() 中聲(중성)使用(사용)한다. 된소리 初聲(초성)과 겹받침 ㅆ, ㅄ, ㄶ이 別途(별도)割當(할당)되어 있다.

1980年代(연대)에는 活字(활자)는 네벌()이지만 配列(배열)이 두벌()처럼 생긴 製品(제품)開發(개발)되었다. 받침이 있는 音節(음절)初聲(초성) 다음에 쉬프트 키를 누르면 自動(자동)으로 固定(고정)되어 그 狀態(상태)中聲(중성)·終聲(종성)을 이어서 打字(타자)하면 쉬프트 固定(고정)이 풀리는 方式(방식)으로 作動(작동)한다.

김동훈 다섯벌()

김동훈이 開發(개발)한 모아쓰기 打字機(타자기)活字(활자)初聲(초성)2벌, 中聲(중성)2벌, 終聲(종성)1벌로 構成(구성)되어 있다. 1949() 朝鮮(조선)發明(발명)奬勵(장려)()에서 施行(시행)한 한글打字機(타자기) 懸賞(현상)應募(응모)에서 3()으로 優勝(우승).

()가 많아 打字(타자)速度(속도)는 느리지만 字體(자체)美麗(미려)하여 官公署(관공서) ()에서 많이 使用(사용)되었다 한다. 標準(표준)字板(자판)制定(제정)되기 以前(이전)까지는 ()()() 打字機(타자기)와 함께 市場(시장)의 90%를 占有(점유)하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