高麗(고려)

(討論(토론) | 寄與(기여))님의 2023()11()25()())23()41() () (→‎歷史(역사))


韓國(한국)()
後三國(후삼국)時代(시대)
泰封(태봉) · 後百濟(후백제) · 新羅(신라)
高麗 朝鮮(조선)

高麗(고려)918() 王建(왕건)卽位(즉위)以後(이후), 1392() 李成桂(이성계)()滅亡(멸망)하기까지 韓半島(한반도)存在(존재)하던 國家(국가)이다. 또한 高麗(고려)外王(외왕)()()를 가장 積極的(적극적)으로 한 國家(국가)이며 高麗(고려)君主(군주)生前(생전)에는 皇帝(황제)()했으나 崩御(붕어) 以後(이후) 諡號(시호)大王(대왕)으로 올렸다.

歷史(역사)

高麗(고려)成立(성립)後三國(후삼국) 統一(통일)

10世紀(세기) () 新羅(신라)에서는 王位(왕위)爭奪戰(쟁탈전)頻繁(빈번)發生(발생)하여 政治(정치)混亂(혼란)해졌고 全國(전국) 各地(각지)에서는 租稅(조세)受取(수취)反撥(반발)하여 農民(농민) 蜂起(봉기)發生(발생)하였다. 이러한 가운데 地方(지방) 호족들이 新羅(신라) 朝廷(조정)으로부터 獨立(독립)하여 各自(각자) 自身(자신)勢力(세력)을 키웠는데 그 중에서도 新羅(신라) 진골 王族(왕족)이었던 弓裔(궁예)新羅(신라)將帥(장수)였던 甄萱(견훤)이 강한 勢力(세력)構築(구축)하였다. 甄萱(견훤)摩震(마진) 後百濟(후백제)를 자칭했고, 곧 弓裔(궁예)泰封(태봉)을 세웠다. 이로써 新羅(신라), ()高句麗(고구려), 後百濟(후백제)가 서로 대립하게 되었는데, 이 時期(시기)後三國(후삼국) 시대라 부른다. 以後(이후) 弓裔(궁예)失政(실정)을 거듭하고, 民心(민심)을 잃게 되자 이에 918() 統一新羅(통일신라) 松嶽(송악) 地方(지방)有望(유망)新羅(신라) 豪族(호족)이었던 王建(왕건)弓裔(궁예)를 몰아내고 임금의 자리에 올라 새로운 나라의 建國(건국)宣布(선포)하게 되는데 국호를 高麗(고려), 연호를 天授(천수)라고 하고, 919() 松嶽(송악)(開城(개성))으로 都邑(도읍)을 옮겼다. 그 側近(측근) 혹은 本人(본인)이 高句麗(고구려)血統(혈통)이었기 때문에 국호로 高麗(고려)使用(사용)하여 高句麗(고구려)後孫(후손)을 자처하는 데에는 王建(왕건)과 弓裔(궁예)가 다름이 없었다. 한편 926() 渤海(발해)가 요나라의 侵略(침략)을 받고 滅亡(멸망)하자, 渤海(발해)王族(왕족)을 비롯한 流民(유민)을 받아들여 勢力(세력)을 키웠다. 이는 王建(왕건)政治(정치)적·軍事(군사)基盤(기반)確固(확고)히 하였을 뿐만 아니라, 高句麗(고구려)에 대한 繼承(계승)意識(의식)確固(확고)히하면서 新羅(신라) 豪族(호족)으로서의 性格(성격) 역시 뚜렷이 나타내 주었다. 또한 對外(대외) 政策(정책)에서도 弓裔(궁예)와는 달리 ()新羅(신라) 政策(정책)을 썼다. 이는 新羅(신라)傳統(전통)權威(권위)繼承(계승)자가 되려고 한 것이었다. 王建(왕건)新羅(신라)保護(보호)하기 危害(위해) 金城(김성) () 50()의 땅에 神光(신광)()設置(설치)하여 高麗(고려)軍事(군사)駐屯(주둔)하게 하였다. 結局(결국) 新羅(신라) 敬順王(경순왕)新羅(신라)高麗(고려) 歸順(귀순)決定(결정)(결정)했고, 936()新羅(신라) 軍事(군사)와 함께 後百濟(후백제)敗亡(패망)시킴으로써 高麗(고려)後三國(후삼국)統一(통일)하였다.

政治(정치)

經濟(경제)

社會(사회)

文化(문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