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文書: '''三十六字母'''는 ()()韻圖(운도)에 쓰인 中古(중고)漢語(한어)()()字母(자모)系統이다. 三十六字母의 系統과《切韻(절운)》의 聲類體系는 서로 互換된다. ==三十六字母== 三十六字母를 發明한 사람이 누구인지는 只今까지도 定論은 없다. 王應麟(왕응린)은《玉海》에서 ()溫法(온법)()가 만들었다고 여겼다. 20世紀初 敦煌(돈황)()()字母에 關한 文獻 2個를 發見했는...)
 
編輯 要約 없음
24番째 줄: 24番째 줄:
|rowspan=2|喉音||心邪曉||<small>喉中音淸</small>
|rowspan=2|喉音||心邪曉||<small>喉中音淸</small>
|-
|-
|匣 影||<small>亦是 喉中音濁</small>
|匣 影||<small>亦是 喉中音濁</small>
|}
|}
|| &nbsp;&nbsp;&nbsp;
|| &nbsp;&nbsp;&nbsp;
45番째 줄: 45番째 줄:
|rowspan=2|喉音||曉影||<small>喉中音淸</small>
|rowspan=2|喉音||曉影||<small>喉中音淸</small>
|-
|-
|匣 ||<small>亦是 喉中音濁</small>
|匣 ||<small>亦是 喉中音濁</small>
|}
|}
|}
|}

2024年1月24日(水)16時18分 版

三十(삼십)六字(육자)()()()韻圖(운도)에 쓰인 中古(중고)漢語(한어)()()() 字母(자모)系統(계통)이다. 三十(삼십)六字(육자)()系統(계통)과《切韻(절운)》의 ()()體系(체계)는 서로 互換(호환)된다.

三十(삼십)六字(육자)()

三十(삼십)六字(육자)()發明(발명)한 사람이 누구인지는 只今(지금)까지도 定論(정론)은 없다. 王應麟(왕응린)은《玉海(옥해)》에서 ()溫法(온법)()가 만들었다고 여겼다. 20世紀(세기)() 敦煌(돈황)()()字母(자모)()文獻(문헌) 2()發見(발견)했는데 하나는《()三十(삼십)字母(자모)()》,다른 하나는《()()韻學(운학)()()》이다. 두 史料(사료) 안에 記載(기재)內容(내용)大體(대체)로 '三十(삼십)字母(자모)'와 相同(상동)하므로 ()()에는 30字母(자모)만 있었고 ()()의 36字母(자모)는 이 基礎(기초) ()當時(당시)語音(어음)增補(증보)板本(판본)임이 밝혀졌다.

()()韻學(운학)()()字母(자모)
脣音(순음) ()()()()  
舌音(설음) ()()()() 舌頭(설두)()
()()()() ()上音(상음)
牙音(아음) ()()()()()
齒音(치음) 精淸(정청)() 齒頭音(치두음)
()穿()()() 正齒音(정치음)
喉音(후음) ()()() 喉中(후중)()()
()()() 亦是(역시) 喉中(후중)()()
   
後世(후세)修正(수정)()()三十(삼십)字母(자모)
脣音(순음) ()()()()  
舌音(설음) ()()()()() 舌頭(설두)()
()()() ()上音(상음)
()() ()()群疑(군의)
齒音(치음) 精淸(정청)從心(종심)() 齒頭音(치두음)
()穿()()()() 正齒音(정치음)
喉音(후음) ()() 喉中(후중)()()
()() 亦是(역시) 喉中(후중)()()

參見(참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