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4番째 줄: |
24番째 줄: |
| |rowspan=2|喉音||心邪曉||<small>喉中音淸</small> | | |rowspan=2|喉音||心邪曉||<small>喉中音淸</small> |
| |- | | |- |
| |匣 喻 影||<small>亦是 喉中音濁</small> | | |匣 喩 影||<small>亦是 喉中音濁</small> |
| |} | | |} |
| || | | || |
45番째 줄: |
45番째 줄: |
| |rowspan=2|喉音||曉影||<small>喉中音淸</small> | | |rowspan=2|喉音||曉影||<small>喉中音淸</small> |
| |- | | |- |
| |匣 喻||<small>亦是 喉中音濁</small> | | |匣 喩||<small>亦是 喉中音濁</small> |
| |} | | |} |
| |} | | |} |
2024年1月24日(水)16時18分 版
三十六字母는 宋代의 韻圖에 쓰인 中古漢語의 聲類的 字母系統이다. 三十六字母의 系統과《切韻》의 聲類體系는 서로 互換된다.
三十六字母
三十六字母를 發明한 사람이 누구인지는 只今까지도 定論은 없다. 王應麟은《玉海》에서 守溫法師가 만들었다고 여겼다. 20世紀初 敦煌은 唐代字母에 關한 文獻 2個를 發見했는데 하나는《歸三十字母例》,다른 하나는《守溫韻學殘卷》이다. 두 史料 안에 記載된 內容은 大體로 '三十字母'와 相同하므로 唐代에는 30字母만 있었고 宋代의 36字母는 이 基礎 上에 當時의 語音을 增補한 板本임이 밝혀졌다.
守溫韻學殘卷字母
脣音 |
不芳竝明 |
|
舌音 |
端透定泥 |
舌頭音
|
知徹澄日 |
舌上音
|
牙音 |
見溪群來疑 |
|
齒音 |
精淸從 |
齒頭音
|
審穿禪照 |
正齒音
|
喉音 |
心邪曉 |
喉中音淸
|
匣喩影 |
亦是 喉中音濁
|
|
|
後世에 修正된 守溫三十字母
脣音 |
幇滂竝明 |
|
舌音 |
端透定泥來 |
舌頭音
|
知徹澄 |
舌上音
|
牙音 |
見溪群疑 |
|
齒音 |
精淸從心邪 |
齒頭音
|
審穿禪照日 |
正齒音
|
喉音 |
曉影 |
喉中音淸
|
匣喩 |
亦是 喉中音濁
|
|
參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