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番째 줄: 8番째 줄:
== 種類 ==
== 種類 ==
=== 두벌式 ===
=== 두벌式 ===
=== 세벌式 ===
=== 公炳禹 세벌式 ===
세벌式 [[1947年]]부터 開發된 [[公炳禹]] 打字機 가 가장 有名하다. 公炳禹 打字機는 받침(終聲)을 初·中聲보다 왼쪽 위치에 찍는 雙焦點 方式이며, 構造上 活字臺 꼬임을 防止하기 爲해 初聲이 오른쪽, 終聲이 왼쪽에 位置한다.
[[1947年]]부터 [[公炳禹]] 에依해 開發된 모아쓰기 橫書 打字機. 公炳禹 打字機는 받침(終聲)을 初·中聲보다 왼쪽 위치에 찍는 雙焦點方式이며, 構造上 活字臺 꼬임을 防止하기 爲해 初聲이 오른쪽, 終聲이 왼쪽에 位置한다.


 그 外에도 標準 두벌式에 基盤한 配列을 갖춘 세벌式 打字機도 存在한다.
 그 外에도 標準 두벌式에 基盤한 配列을 갖춘 세벌式 打字機도 存在한다.

2021年4月5日(月)09時57分 版

槪要(개요)

打字機(타자기) ()에서 한글打字(타자)할 수 있는 種類(종류)()說明(설명)한다.

歷史(역사)

1914() 이원익이 英文(영문) 打字機(타자기)한글活字(활자)를 붙여 만든 네벌() 打字機(타자기)모아쓰기 打字機(타자기)始初(시초)라고 여겨진다.

種類(종류)

두벌()

()()() 세벌()

1947()부터 ()()()()開發(개발)된 모아쓰기 橫書(횡서) 打字機(타자기). ()()() 打字機(타자기)는 받침(終聲(종성))을 ()·中聲(중성)보다 왼쪽 위치에 찍는 ()焦點(초점)方式(방식)이며, 構造(구조)() 活字(활자)() 꼬임을 防止(방지)하기 ()初聲(초성)이 오른쪽, 終聲(종성)이 왼쪽에 位置(위치)한다.

()에도 標準(표준) 두벌()基盤(기반)配列(배열)을 갖춘 세벌() 打字機(타자기)存在(존재)한다.

네벌()

김동훈 다섯벌()

김동훈이 開發(개발)한 모아쓰기 打字機(타자기)活字(활자)初聲(초성)2벌, 中聲(중성)2벌, 終聲(종성)1벌로 構成(구성)되어 있다. 1949() 朝鮮(조선)發明(발명)奬勵(장려)()에서 施行(시행)한 한글打字機(타자기) 懸賞(현상)應募(응모)에서 3()으로 優勝(우승).

()가 많아 打字(타자)速度(속도)는 느리지만 字體(자체)美麗(미려)하여 官公署(관공서) ()에서 많이 使用(사용)되었다 한다. 標準(표준)字板(자판)制定(제정)되기 以前(이전)까지는 ()()() 打字機(타자기)와 함께 市場(시장)의 90%를 占有(점유)하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