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國漢大學校:倉頡輸入法 入門/第二講"의 두 版 사이의 差異

(새 문서: == 配列 익히기 == 倉頡의 글字 配列 自體는 그렇게 어렵지 않습니다. 英文字板 QWERTY알파벳位置만큼만 使用하는데다 쉬프트도 必要없습니다. 大部分은 講座를 따라가면서 必要할때 參照하는 程度라도 그리 어렵진 않을 것입니다. 그럴때를 爲해 작은 膳物을 準備해 뒀습니다. 畵面 아래쪽을 봐주세요! == 첫 글字 組合하기 == 配列表와 入力環境 等 準備...)
 
잔글編輯 要約 없음
 
(같은 使用者(사용자)中間(중간) () 2()는 보이지 않습니다)
1番째 줄: 1番째 줄:
<div style="position: fixed; right: 10px; bottom: 10px; z-index: 100;">
[[File:Keyboard layout cangjie.png|x160px|link=]]
</div>
== 配列 익히기 ==
== 配列 익히기 ==
 倉頡의  字 配列 自體는 그렇게 어렵지 않습니다. 英文字板 [[QWERTY]]의 [[알파벳]]位置만큼만 使用하는데다 [[쉬프트]]도 必要없습니다. 大部分은 講座를 따라가면서 必要할때 參照하는 程度라도 그리 어렵진 않을 것입니다. 그럴때를 爲해 작은 膳物을 準備해 뒀습니다. 畵面 아래쪽을 봐주세요!
 倉頡의  字 配列 自體는 그렇게 어렵지 않습니다. 英文字板 [[QWERTY]]의 [[알파벳]]位置만큼만 使用하는데다 [[쉬프트]]도 必要없습니다. 大部分은 講座를 따라가면서 必要할때 參照하는 程度라도 그리 어렵진 않을 것입니다. 그럴때를 爲해 작은 膳物을 準備해 뒀습니다. 畵面 아래쪽을 봐주세요!


== 첫  字 組合하기 ==
== 첫  字 組合하기 ==
 配列表와 入力環境 等 準備가 다 되었다면 實際로  字를 組合해 보겠습니다.
 配列表와 入力環境 等 準備가 다 되었다면 實際로  字를 組合해 보겠습니다.


 맨 처음으로, 그 수많은 [[漢字]] 中에서 가장 簡單하고 쉬운  字, ‘[[一]]’字를 만들어 봅시다. 一字는 英文 [[QWERTY]] 基準으로 [[M]] 자리에 配置되어 있습니다. M을 친 다음 [[스페이스바]]를 눌러  字를 確定해 보세요. 一이 入力되었나요? 工巧롭게도 [[두벌式]] 한글字板에서도 비슷하게 생긴 母音 [[ㅡ]]와 자리가 같습니다.
 맨 처음으로, 그 수많은 [[漢字]] 中에서 가장 簡單하고 쉬운  字, ‘[[一]]’字를 만들어 봅시다. 一字는 英文 [[QWERTY]] 基準으로 [[M]] 자리에 配置되어 있습니다. M을 친 다음 [[스페이스바]]를 눌러  字를 確定해 보세요. 一이 入力되었나요? 工巧롭게도 [[두벌式]] 한글字板에서도 비슷하게 생긴 母音 [[ㅡ]]와 자리가 같습니다.


 一을 만들었으니 [[二]]도 만들어 봐야겠죠? 어떻게 하면 될까요? 大部分 豫想하실거라 생각합니다. M을 두番 누르고 스페이스바로 確定하면 되죠. [[三]]을 넘어서 [[亖]]까지 이런 單純한 方式으로 入力하실 수 있습니다.
 一을 만들었으니 [[二]]도 만들어 봐야겠죠? 어떻게 하면 될까요? 大部分 豫想하실거라 생각합니다. M을 두番 누르고 스페이스바로 確定하면 되죠. [[三]]을 넘어서 [[亖]]까지 이런 單純한 方式으로 入力하실 수 있습니다.


== 簡單한  字 組合하기 ==
== 簡單한  字 組合하기 ==
 키보드上에 配置된  字 3個 以下로만 이루어진  字는 그대로 키를 눌러 入力할 수 있습니다.
 키보드上에 配置된  字 3個 以下로만 이루어진  字는 그대로 키를 눌러 入力할 수 있습니다.


* 口口口 -> [[品]]
* 口口口 -> [[品]]
17番째 줄: 20番째 줄:
* 木一 -> [[本]]
* 木一 -> [[本]]


  字가 部首로 活用될때의 形態로 變形되기도 합니다.
  字가 部首로 活用될때의 形態로 變形되기도 합니다.
* 水木 -> [[沐]]
* 水木 -> [[沐]]
* 田土火 -> [[黑]]
* 田土火 -> [[黑]]
* 人土土 -> [[佳]]
* 人土土 -> [[佳]]


 破字하는데 若干의 創意力을 要求하는(?)  字도 자주 있습니다.
 破字하는데 若干의 創意力을 要求하는(?)  字도 자주 있습니다.
* 十田十 -> [[車]]
* 十田十 -> [[車]]
* 廿中十 -> [[革]]
* 廿中十 -> [[革]]
* 土卜人 -> [[走]]
* 土卜人 -> [[走]]

2024年6月24日(月)06時10分 基準 最新版

配列(배열) 익히기[編輯]

()()()() 配列(배열) 自體(자체)는 그렇게 어렵지 않습니다. 英文字(영문자)() QWERTY알파벳位置(위치)만큼만 使用(사용)하는데다 쉬프트必要(필요)없습니다. 大部分(대부분)講座(강좌)를 따라가면서 必要(필요)할때 參照(참조)하는 程度(정도)라도 그리 어렵진 않을 것입니다. 그럴때를 ()해 작은 膳物(선물)準備(준비)해 뒀습니다. 畵面(화면) 아래쪽을 봐주세요!

()() 組合(조합)하기[編輯]

配列(배열)()入力(입력)環境(환경) () 準備(준비)가 다 되었다면 實際(실제)()()組合(조합)해 보겠습니다.

맨 처음으로, 그 수많은 漢字(한자) ()에서 가장 簡單(간단)하고 쉬운 ()(), ‘()()를 만들어 봅시다. 一字(일자)英文(영문) QWERTY 基準(기준)으로 M 자리에 配置(배치)되어 있습니다. M을 친 다음 스페이스바를 눌러 ()()確定(확정)해 보세요. ()入力(입력)되었나요? 工巧(공교)롭게도 두벌() 한글字板(자판)에서도 비슷하게 생긴 母音(모음) 와 자리가 같습니다.

()을 만들었으니 ()도 만들어 봐야겠죠? 어떻게 하면 될까요? 大部分(대부분) 豫想(예상)하실거라 생각합니다. M을 두() 누르고 스페이스바로 確定(확정)하면 되죠. ()을 넘어서 ()까지 이런 單純(단순)方式(방식)으로 入力(입력)하실 수 있습니다.

簡單(간단)()() 組合(조합)하기[編輯]

키보드()配置(배치)()() 3() 以下(이하)로만 이루어진 ()()는 그대로 키를 눌러 入力(입력)할 수 있습니다.

()()部首(부수)活用(활용)될때의 形態(형태)變形(변형)되기도 합니다.

破字(파자)하는데 若干(약간)創意力(창의력)要求(요구)하는(?) ()()도 자주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