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國漢大學校:倉頡輸入法 入門/第三講"의 두 版 사이의 差異

編輯 要約 없음
 
(같은 使用者(사용자)中間(중간) () 8()는 보이지 않습니다)
1番째 줄: 1番째 줄:
<div style="position: fixed; right: 10px; bottom: 10px; z-index: 100;">
[[File:Keyboard layout cangjie.png|x160px|link=]]
</div>
== 變形된 部品 알아보기 ==
== 變形된 部品 알아보기 ==
[[File:Cangjie input secondary characters.png|thumb|right]]
[[File:Cangjie input secondary characters.png|thumb|right]]
 키보드上에 配置된 各 글字는 元來 模樣이 그대로 쓰이기도 하지만, 變形되어 쓰이는 일도 많습니다. [[人]]->亻이나 [[水]]->氵같이 [[漢字]]의 原理를 조금만 알아도 推測할 수 있는 것부터 [[田]]->囗, [[廿]]->艹같이 조금 難解하지만 首肯은 되는것, [[卜]]->辶{{*| 게다가 이건 맨 마지막이 아니라 처음에 쳐야 합니다.}}, [[十]]->宀 等等 이건 어떻게 생각하면 저런 規則이 나오는지 理解도 되지 않는 部類까지 多樣한 形態로 變形됩니다.
 키보드上에 配置된 各 글字는 元來 模樣이 그대로 쓰이기도 하지만, 變形되어 쓰이는 일도 많습니다. [[人]]->亻이나 [[水]]->氵같이 [[漢字]]의 原理를 조금만 알아도 推測할 수 있는 것부터 [[田]]->[[ ]]{{*|큰입구}}, [[廿]]->[[ ]] 같이 조금 難解하지만 首肯은 되는것, [[卜]]->辶{{*|[[筆順]]과는 달리 마지막이 아니라 처음에 쳐야 합니다.}}, [[十]]->[[ ]] 等等 이건 어떻게 생각하면 저런 規則이 나오는지 理解도 되지 않는 部類까지 多樣한 形態로 變形됩니다.


 여기서 部品의 變形은 常識的으로 變形되는 模樣 뿐만이 아니라, 거기서 글字를 돌리거나 一部를 取한다고 생각하시면 조금이라도 蓋然性을 納得하실수도 있겠습니다. 例를 들어 山의 中間 세로劃만을 따와 月의 아래쪽을 막으면 目(月山), 오른쪽 半만 가져오면 乚... 같은 式의 規則性을 가지고 있 통으로 외 워야할 程度까지는 아닙 니다.
 여기서 部品의 變形은 常識的으로 變形되는 模樣 뿐만이 아니라, 거기서 글字를 돌리거나 一部를 取한다고 생각하시면 조금이라도 蓋然性을 納得하실수도 있겠습니다. 例를 들어 [[ ]] 의 中間 세로劃만을 따와 月의 아래쪽을 막으면 [[ ]](月山), 오른쪽 半만 가져오면 乚... 같은 式의 規則性을 가지고 있 긴 하지만 통으로 외 우는게 좋은 境遇도 있습 니다.


==  좀더 어려운 글字  組合 하기 ==
여기서 [[戈]]는 點 하나, [[金]]은 가로로 된 點 두個{{*|[[貝]]字의 마지막 2劃}}, [[卜]]은 세로點 2個{{*|[[冬]]字의 마지막 2劃}}, [[火]]는 가로點 3個{{*|[[原]]字의 마지막 3劃}}... 와 같이 많이 쓰이는 形態는 미리 외워놓으실 수도 있겠습니다.
== 複雜 한 글字  組合 하기 ==
 
===  비슷하게 생긴 글字  入力 하기 ===
[[土]]와 [[士]]같이 비슷하게 생긴 글字는 그 特徵을 살려 더 작은 單位로 破字해서 入力합니다. 例로 든 土는 配列에 있는 土를 그대로, 士는 十一로 더 쪼개서 入力합니다. 하지만 '''다른 글字에 들어갈 때에는''' [[吉]](土口)과 같이 '''키보드에 配置된 글字만 使用'''합니다.
 
  비슷 關係인 [[末]]과 [[未]]의 境遇, 未를 十木로, 末는 木十로 順序를 바꿔 入力합니다.
 
[[日]]과 [[曰]]같이 너무 비슷하게 생겨서 그 差異를 나타낼 수 없는 글字 는, 字根(破字한 코드)을 入力한 後, 스페이스로 確定 하기 前後에 數字키나 方向키로 選擇합니다.

2024年1月23日(火)16時25分 基準 最新版

變形(변형)部品(부품) 알아보기[編輯]

키보드()配置(배치)()()元來(원래) 模樣(모양)이 그대로 쓰이기도 하지만, 變形(변형)되어 쓰이는 일도 많습니다. ()->()이나 ()->()같이 漢字(한자)原理(원리)를 조금만 알아도 推測(추측)할 수 있는 것부터 ()->()[1], 廿()->()같이 조금 難解(난해)하지만 首肯(수긍)은 되는것, ()->()[2], ()->() 等等(등등) 이건 어떻게 생각하면 저런 規則(규칙)이 나오는지 理解(이해)도 되지 않는 部類(부류)까지 多樣(다양)形態(형태)變形(변형)됩니다.

여기서 部品(부품)變形(변형)常識的(상식적)으로 變形(변형)되는 模樣(모양) 뿐만이 아니라, 거기서 글()를 돌리거나 一部(일부)()한다고 생각하시면 조금이라도 蓋然性(개연성)納得(납득)하실수도 있겠습니다. ()를 들어 ()中間(중간) 세로()만을 따와 ()의 아래쪽을 막으면 ()(()()), 오른쪽 ()만 가져오면 ()... 같은 ()規則性(규칙성)을 가지고 있긴 하지만 통으로 외우는게 좋은 境遇(경우)도 있습니다.

여기서 ()() 하나, ()은 가로로 된 ()()[3], ()은 세로() 2()[4], ()는 가로() 3()[5]... 와 같이 많이 쓰이는 形態(형태)는 미리 외워놓으실 수도 있겠습니다.

비슷하게 생긴 글() 入力(입력)하기[編輯]

()()같이 비슷하게 생긴 글()는 그 特徵(특징)을 살려 더 작은 單位(단위)破字(파자)해서 入力(입력)합니다. ()로 든 ()配列(배열)에 있는 ()를 그대로, ()十一(십일)로 더 쪼개서 入力(입력)합니다. 하지만 다른 글()에 들어갈 때에는 ()(()())과 같이 키보드에 配置(배치)된 글()使用(사용)합니다.

비슷한 關係(관계)()()境遇(경우), ()()()로, ()()()順序(순서)를 바꿔 入力(입력)합니다.

()()같이 너무 비슷하게 생겨서 그 差異(차이)를 나타낼 수 없는 글()는, ()()(破字(파자)한 코드)을 入力(입력)(), 스페이스로 確定(확정)하기 前後(전후)數字(숫자)키나 方向(방향)키로 選擇(선택)합니다.

  1. 큰입구
  2. 筆順(필순)과는 달리 마지막이 아니라 처음에 쳐야 합니다.
  3. ()()의 마지막 2()
  4. ()()의 마지막 2()
  5. ()()의 마지막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