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倉頡輸入法/破字法"의 두 版 사이의 差異

 
(같은 使用者(사용자)中間(중간) () 3()는 보이지 않습니다)
14番째 줄: 14番째 줄:
* 鬼 -- 竹戈
* 鬼 -- 竹戈
* 吂 -- 卜口
* 吂 -- 卜口
=== 慣用 筆順 ===
왼쪽에서 오른쪽, 위에서 아래, 밖에서 안으로만 쓰며, 漢字의 [[筆順]]과는 다른 部分이 있다.
* [[辶]](卜)은 맨 처음에 쓴다.
* [[樂]]의 윗部分은 幺白幺 順으로 破字한다. 省略까지 하면 女戈.


=== 難字 ===
=== 難字 ===
 臼 -- 竹難
* 臼 -- 竹難
 肅 -- 中難
* 肅 -- 中難
齊 -- 卜難
* 齊 -- 卜難
𠂔 -- 中難竹
* 𠂔 -- 中難竹
( 淵의 오른쪽) -- 中難中
* 𣶒(⿴⿰片爿一) -- 中難中
 身 -- 竹難竹
* 身 -- 竹難竹
鹿 -- 戈難心
* 鹿 -- 戈難心
 廌 -- 戈難火
* 廌 -- 戈難火
 慶 -- 戈難水
* 慶 -- 戈難水
 兼 -- 廿難金
* 兼 -- 廿難金
龜 -- 弓難山
* 龜 -- 弓難山
黽 -- 口難山
* 黽 -- 口難山


== 劃數가 많은 글字의 省略法 ==
== 劃數가 많은 글字의 省略法 ==
여러 글字로 [[破字]]할 수 있는 글字를 入力하려면 定해진 規則에 따라 中間을 一部 省略해야 한다.
# 글字를 두部分으로 나눈다.
#: 같은 方向으로 세部分 以上으로 나눠진다면 처음과 나머지로 兩分한다.
# 첫 部分에는 2打를 割當하고 나머지에는 3打를 割當한다.
#: 各部分이 2打나 3打보다 打數가 많을 境遇, 첫打와 마지막打, 或은 첫打와 다음打, 마지막打를 남기고 省略한다.
#: 한쪽에 打數가 남더라도 다른 部分을 메꾸지 않는다. {{*|漢 {{=}} 水+廿中人에서 水+廿中手人과 같이 2+3打를 넘기지 않는다.}}
# 3打가 남았을때 各部分이 다른方向으로 또 다시 나뉠 境遇, 다시 나뉜 部分에서 처음것의 첫打와 마지막打, 두번째部分의 마지막打를 친다. {{*|轉 {{=}} 車+專 {{=}} 車+(叀+寸) {{=}} 十田十+(十田戈+木戈) {{=}} 十十+十戈戈}}


[[分類:中國語 入力方式]]
[[分類:中國語 入力方式]]

2023年3月16日(木)13時34分 基準 最新版

字形(자형)變形(변형)[編輯]

基本(기본)()()變形(변형)[編輯]

慣用(관용) 破字(파자)()[編輯]

  • () -- ()()
  • () -- ()()
  • () -- ()()
  • () -- 中弓(중궁)
  • () -- ()()
  • (()에서 ()除外(제외)部分(부분)) -- ()()
  • () -- ()()
  • () -- ()()
  • () -- ()()

慣用(관용) 筆順(필순)[編輯]

왼쪽에서 오른쪽, 위에서 아래, 밖에서 안으로만 쓰며, 漢字(한자)筆順(필순)과는 다른 部分(부분)이 있다.

  • ()(())은 맨 처음에 쓴다.
  • ()의 윗部分(부분)()()() ()으로 破字(파자)한다. 省略(성략)까지 하면 ()().

難字(난자)[編輯]

  • () -- ()()
  • () -- ()()
  • () -- ()()
  • 𠂔 -- ()()()
  • 𣶒(⿴⿰()()()) -- ()()()
  • () -- ()()()
  • 鹿() -- ()()()
  • () -- ()()()
  • () -- ()()()
  • () -- 廿()()()
  • () -- ()()()
  • () -- ()()()

劃數(획수)가 많은 글()省略法(생략법)[編輯]

여러 글()破字(파자)할 수 있는 글()入力(입력)하려면 ()해진 規則(규칙)에 따라 中間(중간)一部(일부) 省略(성략)해야 한다.

  1. ()를 두部分(부분)으로 나눈다.
    같은 方向(방향)으로 세部分(부분) 以上(이상)으로 나눠진다면 처음과 나머지로 兩分(양분)한다.
  2. 部分(부분)에는 2()割當(할당)하고 나머지에는 3()割當(할당)한다.
    各部(각부)()이 2()나 3()보다 打數(타수)가 많을 境遇(경우), 첫()와 마지막(), ()은 첫()와 다음(), 마지막()를 남기고 省略(성략)한다.
    한쪽에 打數(타수)가 남더라도 다른 部分(부분)을 메꾸지 않는다. [1]
  3. 3()가 남았을때 各部(각부)()이 다른方向(방향)으로 또 다시 나뉠 境遇(경우), 다시 나뉜 部分(부분)에서 처음것의 첫()와 마지막(), 두번째部分(부분)의 마지막()를 친다. [2]
  1. () = ()+廿()中人(중인)에서 ()+廿()()()()과 같이 2+3()를 넘기지 않는다.
  2.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