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國漢大百科:練習帳"의 두 版 사이의 差異

잔글編輯 要約 없음
 
(使用者(사용자) 6()中間(중간) () 40()는 보이지 않습니다)
1番째 줄: 1番째 줄:
[[File:Hangeul.svg|thumb|right]]
練習帳 初期化했당


'''한글'''은 [[訓民正音]]으로써 頒布된 [[音素文字]]를 는  말이며現代[[韓國語]]를 表記하 는  使 되는 [[ 文字]]이다.
== 五筆이당 ==
{| class="wikitable" style="table-layout: fixed; width: 100%; text-align: center;"
| colspan="2" | 金钅{{*|無尾鱼}}儿𫶧<br>勹𠂊犭㐅𱼀<br><br>35 Q
| colspan="2" | 人亻八<br>癶<br><br>34 W
| colspan="2" | 𧘇豕𧰨<br>𮯱<br><br>33 E
| colspan="2" | 龵扌𠂆<br><br><br>32 R
| colspan="2" | 𠂉𥫗<br><br><br>31 T
| colspan="2" | <br><br><br>41 Y
| colspan="2" | <br><br><br>42 U
| colspan="2" | <br><br><br>43 I
| colspan="2" | <br><br><br>44 O
| colspan="2" | <br><br><br>45 P
|-
!
| colspan="2" | 𫠠<br><br><br>15 A
| colspan="2" | <br><br><br>14 S
| colspan="2" | <br><br><br>13 D
| colspan="2" | 𰀁<br><br><br>12 F
| colspan="2" | <br><br><br>11 G
| colspan="2" | <br><br><br>21 H
| colspan="2" | 𫩏<br><br><br>22 J
| colspan="2" | <br><br><br>23 K
| colspan="2" | <br><br><br>24 L
!
|-
! colspan="2" |
| colspan="2" | <br><br><br>채움 Z
| colspan="2" | <br><br><br>55 X
| colspan="2" | <br><br><br>54 C
| colspan="2" | 𫜹<br><br><br>53 V
| colspan="2" | 𠄐<br><br><br>52 B
| colspan="2" | 𠃜<br><br><br>51 N
| colspan="2" | <br><br><br>25 M
! colspan="4" |
|}
아니 이거 그림 없인 안되겠잖아
 이 는  亦是 不可能 ㅠㅠ 魚자의 윗部分羊자의 아랫部分, 이런거 Unicode에서 아예 없음..
폰트를 만들어야  文字 처럼 생기게 만들 수 있음


==  名稱 ==
==  口訣이당 ==
[[韓]][[㐎]]과 같이 音借되는 境遇도 있으며, 元來 크다는 意味의 ‘하다’와 ‘글’이 合쳐진 말이라는等 여러 說이 있다. 本來 [[訓民正音]]에서 發表된 이 文字體系에 對한 이름을 ‘한글’로 부르기 始作한 것도 [[周時經]]이라고 알려져 있기도 하지만, 이 亦是 諸說이 存在한다.


== 特性 ==
{| class="wikitable"
[[音節]]單位로 모아 쓰기 때문에 音節間 의  區分이 明確해 [[音素文字]]이면서도 [[音節文字]]의 性格도 同時 에  지닌다. [[모아쓰기]] 를  하는 理由는 [[漢字]]와의 [[互換性]]을 確保하기 爲함이라는 것이 第一 有力한 假說이다.
|+ 86版 字根 口訣
 
|-
  字素는 科學原理 를  適用하여 만들어졌 . 子音은 發音器官 의  形象을 본따서 基本글자를  들고 [[劃]]을 添加하여 細部發音을 區分했으며, 母音은 [[天地人]]을 基本으로 組合하여構成된 .
! !! 1 !! 2 !! 3 !! 4 !! 5
 
|-
== 音素 ==
| 1區域(一) || G 王旁青头{{*|青자 의  머리}}戋五一 || F 土士二干十寸雨 || D 大犬三羊{{*|羊 를  빠진다}}古石厂 || S 木丁西 || A 工戈草头{{*|艹}}右框{{*|匚}}七
  基本[[子音]] 14個와 基本[[母音]] 10個로 構成 어 있다. [[訓民正音]]의 創製當時에 는  子音 17個에 母音 11個가 었으나, 子音 [[ㅿ]], [[ㆁ]], [[ㆆ]]과 母音[[ㆍ]]는 더以上 使用하지 않게 되었다.
|-
 
| 2區域(丨) || H 目具{{*|具에서 를  빠진 }}上止卜虎皮{{*|虎皮 의  껍데기 }} || J 日早两竖{{*|刂}}与虫依{{*|虫과 함께라는 뜻}} || K 口与川,字根稀{{*|字根이 뜻}} || L 田甲方框{{*|國·圍자의 外廓}}四车力{{*|力자가 3區域이나 5區域에 가야 되는  意見도 음}} || M 山由贝,下框{{*|冂그리고 骨자의 윗部分}}几
== 使用言語 ==
|-
* [[韓國語]]
| 3區域(丿) || T 禾竹一撇{{*|丿}}双人立{{*|彳}},反文条头{{*|夂,条자 의  머리}}共三一{{*| 이들이 함께 31키 를  채웠다 는  뜻}} || R 白手{{*|𠂉아래에 字根도 포함}}看头{{*| 看자의 머리}} 三二斤{{*|丘자의 아래 一를 字根도 包含}} || E 月彡{{*|爫도 包含}}乃用{{*|舟자 머리의 點을 도  包含}}家衣底{{*|家와 衣자의 아랫부분}} || W 人和八{{*|八 처럼 생긴 점도 포함}},三四里{{*|34키에 다는  口訣 未包含인 , 그리고  祭자 의  머리 34키에 있다. }} || Q 金勺缺点{{*|勹}}无尾鱼{{*|魚자의 윗부분만}},犬旁{{*|犭}}留儿一点夕{{*|夕에서 點을 뺀 𠂊 도  包含}},氏无七{{*|氏자가 를  字根}}
** [[濟州語]]
|-
* [[찌아찌아語]] (補助文字로 使用)
| 4區域( ) || Y 言文方广在四一{{*|41키 에  들어있 다는  뜻, 讠도 포함}},高头{{*|亠와 高자의 윗부분(亠口 합침)}}一捺谁人去{{*|隹 에서  를  뺀 부분}} || U 立辛两点{{*| 點 두個凍자의 部首 等}}六门疒 || I 水旁{{*|氵}}兴头{{*|兴자의 윗部分一자 包含}}小倒立{{*|小자 를  꺼꾸 로  根}} || O 火业头{{*|業자의 리,  그리고 꺼꾸 }},四点{{*|點 네個}}米 || P 军盖{{*|冖宀}}道建底{{*|辶廴}},摘礻衤{{*|이 首의 오른쪽 點을 딴(摘) 상태 部首를 나타내려면 PY나 PU }}
 
|-
== 現代에서 의  使用 ==
| 5區域(乚) || N 已半巳满不出己{{*|已己巳 包含}},左框{{*|コユ}}折尸{{*|民자가 를  字根도 包含}}心{{*|忄⺗도 포함}}和羽{{*|习자 는  未包含그리고 똑바르지 는  한 획으 로 된  字根들은 다 51키 所屬韓國 國字 에  쓰는 ㄱ과 ㅇ도 51키(但 支援 하는  入力機가 지  않음). }} || B 子耳{{*| 卩阝도 包含}} 了{{*|矛予의 아랫部分}}也{{*|㔾도 包含}}框向上{{*|凵}} || V 女刀九臼山朝西{{*|西쪽으 로  向한 山, 卽 彐. 고로  虐자의 아랫부분은 AG 로  나타냄. <br>餘談 으로  倉頡도 女자 V키에 置}} || C 又{{*|マス도 包含}}巴马,丢矢矣{{*|矣자 의  를  잃었다는 厶}} || X 慈母无心{{*|母자 의  外廓}}弓和匕,幼无力{{*|幺, 그리고 互자의 中間部分}}
=== 한글專用 ===
|}
{{ 本文| 한글專用}}
 
  現在 南北韓 모두에서 [[韓國語]] 를  表記하 는  主要 [[文字]]로서 使用되고 있다. 卽, [[한글專用]]이 基本이다.
 
=== 國漢文混用 ===
{{ 本文| 國漢文混用}}
 
[[北韓]]에서는 建國 初期부터 廢止되고, [[大韓民國]]에서는 [[1960年代]] 末부터 [[한글專用]] 政策이 施行되고 [[1990年代]] 以後로는 事實上 廢止되어, 現在 [[2020年代]]에는 찾아보기 어렵다.
 
=== 機械化 ===
[[活版印刷]]를하려면 [[音節]]單位로 [[活字]]를 鑄造해야하고, [[打 機]]를 製作하려해 [[모아쓰기]]를 하는 特性때문에 [[機械化]]를 爲해 [[풀어쓰기]]를 主張까지 興할 程度로 려웠 .
 
제대로 [[모아쓰기]]를 具現한 [[打字機]] [[1949年]]부터 開發된 [[公炳禹]]의 [[세벌式]] 打字機로 여겨진다에  김동훈의 다섯벌式 打字機 等 여러 製品이 通用되었지만, [[1969年]] [[科學技術處]]의 [[네벌式]]이, [[1982年]] [[두벌式]]이 國家[[標準]]으로 指定되면서 沒落하게 된다. 그리고  이 두벌式 打字機 [[字板配列]]은 現在 컴퓨터用 標準 字板配列로 採擇되어 通用되고 있다.
 
=== 電算化 ===
==== 文字코드 ====
[[個人用컴퓨터]]가 [[最初]]로 使用되기始作한 時節에는 [[淸溪川한글]], [[ 깨비 한글]]等 [[시스템]]의 限界로因한 自體 [[코드體係]] 를  使用하는境遇가 많았다. 以後 標準[[完成型]] 코드([[KS X 1001]]) 制定되었지만 事實上 現代한글中 2350字만 使用可能하였기 때문 에  後에 [[擴張]]完成型 8822字가 追加되었 .
 
[[유니코드]] 1.0에서 는  完成型한글 2350字만이 收錄되고 이를 補完하기爲해 유니코드 1.1 에서  몇千字 를  追加하여 總 6656字가 되었지만한글[[코드]]는 유니코드의 [[在在所所]]에 흘어져서 登錄되어 버린데다더以上 不足한 [[字母]] 를  追加하기 困難했던 理由 로  유니코드2.0에서 [[文字]] 全體가 大移動하여 [[現代 한글 11172 ]]가 全部 [[收錄]]되게 되었다.
 
==== 書體 ====
[[組合型]] [[비트맵 書體]]를 使用하던 DOS時節과는 리,  트루타입을 使用하는 只今으 서는 한글書體를 製作하려면 [[2350 ]] 或은 11172字를 部  設計하고 檢修하는 方式이 原則이다最近에는 字素別로 設計한後 自動으 로  生成하는 方法도 可能해졌지만, 美麗한 書體 를  爲해서는 結局 最少 2350字 程度 는  一一히 檢修해야한다.
 
  이런 理由로 [[無料]]書體가 普遍化돼있 는 로 마字와는 달리 제대로 된  書體는 宏壯한 [[高價]]를 誇示한다最近에는 [[한글날]] 等時 [[企業]]單位로 한글書體를 無料配布 하는  일도 늘었 만, [[漢字圈]] 文字의 書體는 如前히 不足한便이다.
 
==== 入力 ====
{{ 本文| 韓國語 入力方式#한글入力}}
 
KS完成型 時節에는 音節들이 로  規則을 지니지 順序대 코드가 配當되었기에 (키보드 로  字素를 入力받아) 音節을 組合하는데도 [[테이블]]을 使用해야 했다. [[組合型]] 인코딩은 [[비트演算]] 으로, [[유니코드]]에 들어간것과같이 모든 字母 使用하여 順序대로 列되어 있는 境遇에는 簡單한 數式으로 조합된 [[音節]] 의  코드 를  얻을 수 있다같은 理由로 任意 의  音節이 2350字 內에 들어가는지 確認하려 해도 테이블을 檢索해야 한다.

2025年3月8日(土)17時54分 基準 最新版

練習帳(연습장) 初期(초기)()했당

()()이당[編輯]

()()[1]()𫶧
()𠂊()()𱼀

35 Q
()()()
()

34 W
𧘇()𧰨
𮯱

33 E
()𠂆


32 R
𠂉𥫗


31 T



41 Y



42 U



43 I



44 O



45 P
𫠠


15 A



14 S



13 D
𰀁


12 F



11 G



21 H
𫩏


22 J



23 K



24 L



채움 Z



55 X



54 C
𫜹


53 V
𠄐


52 B
𠃜


51 N



25 M

아니 이거 그림 없인 안되겠잖아 이거는 亦是(역시) 不可能(불가능) ㅠㅠ ()자의 윗部分(부분), ()자의 아랫部分(부분), 이런거는 Unicode에서 아예 없음.. 專用(전용) 폰트를 만들어야 文字(문자)처럼 생기게 만들 수 있음

口訣(구결)이당[編輯]

86() ()() 口訣(구결)
1 2 3 4 5
1區域(구역)(()) G ()()()()[2]()()() F ()()()()十寸(십촌)() D 大犬(대견)()()[3]古石(고석)() S ()()西() A ()()()()[4]()()[5]()
2區域(구역)(()) H ()()[6]()()()虎皮(호피)[7] J ()()()()[8]()()()[9] K ()()()()()()[10] L ()甲方(갑방)()[11]()()()[12] M ()()()()()[13]()
3區域(구역)(丿()) T ()()()()[14]()人立(인립)[15]()()()()[16]()三一(삼일)[17] R 白手(백수)[18]()()[19]()()()[20] E ()()[21]()()[22]()()()[23] W 人和(인화)()[24]三四(삼사)()[25] Q ()()()()[26]()()()[27]()()[28]()()()()()[29]()()()[30]
4區域(구역)(()) Y 言文(언문)()广()()()()[31]()()[32]()()()()()[33] U ()()()()[34]()()() I ()()[35]()()[36]()倒立(도립)[37] O ()()()[38]()()[39]() P 之字(지자)()()[40]()()()[41]()()()[42]
5區域(구역)(()) N ()()()()不出(불출)()[43]()()[44]()()[45]()[46]()()[47] B ()()[48]()[49]()[50]()向上(향상)[51] V ()()()()()()西()[52] C ()[53]()()()()()[54] X 慈母(자모)()()[55]()()()()()()[56]
  1. ()()()
  2. ()자의 머리
  3. ()에서 ()를 빠진다
  4. ()
  5. ()
  6. ()에서 ()를 빠진다
  7. 虎皮(호피)의 껍데기만
  8. ()
  9. ()과 함께라는 뜻
  10. ()()이 적다는 뜻
  11. ()·()자의 外廓(외곽)
  12. ()자가 3區域(구역)이나 5區域(구역)에 가야되는 意見(의견)도 있음
  13. (), 그리고 ()자의 윗部分(부분)
  14. 丿()
  15. ()
  16. ()()자의 머리
  17. 이들이 함께 31키를 채웠다는 뜻
  18. 𠂉아래에 () ()()도 포함
  19. ()자의 머리
  20. ()자의 아래 ()를 뺀 ()()包含(포함)
  21. ()包含(포함)
  22. ()자 머리의 ()을 뺀 ()()包含(포함)
  23. ()()자의 아랫부분
  24. ()자처럼 생긴 점도 포함
  25. 34키에 들어있다는 뜻. 口訣(구결)에서 ()包含(포함)(), 그리고 ()자의 머리도 34키에 있다.
  26. ()
  27. ()자의 윗부분만
  28. ()
  29. ()에서 ()을 뺀 𠂊도 包含(포함)
  30. ()자가 ()를 뺀 ()()
  31. 41키에 들어있다는 뜻, ()도 포함
  32. ()()자의 윗부분(()() 합침)
  33. ()에서 ()를 뺀 부분
  34. ()(), ()자의 部首(부수) ()
  35. ()
  36. ()자의 윗部分(부분), ()包含(포함)
  37. ()자를 꺼꾸로 된 ()()
  38. ()자의 머리, 그리고 그 꺼꾸로
  39. ()()
  40. ()()
  41. ()()
  42. 이 두 部首(부수)의 오른쪽 ()을 딴(()) 상태. 두 部首(부수)를 나타내려면 PY나 PU로
  43. ()己巳(기사)包含(포함)
  44. コユ
  45. ()자가 ()를 뺀 ()()包含(포함)
  46. ()⺗도 포함
  47. ()자는 ()包含(포함). 그리고 똑바르지 않는 한 획으로 된 ()()들은 다 51키 所屬(소속). 韓國(한국) 國字(국자)에 쓰는 ㄱ과 ㅇ도 51키(() 支援(지원)하는 入力(입력)()가 많지 않음).
  48. ()()包含(포함)
  49. ()()의 아랫部分(부분)
  50. ()包含(포함)
  51. ()
  52. 西()쪽으로 ()(), () (). 참고로 ()자의 아랫부분은 AG로 나타냄.
    餘談(여담)으로 ()()()자를 V키에 配置(배치)
  53. マス도 包含(포함)
  54. ()자의 ()를 잃었다는 뜻. () ()
  55. ()자의 外廓(외곽)
  56. (), 그리고 ()자의 中間部(중간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