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文書: thumb|right |
編輯 要約 없음 |
||
( | |||
1番째 줄: | 1番째 줄: | ||
[[file:British_Raj_Red_Ensign.svg|thumb|right]] | [[file:British_Raj_Red_Ensign.svg|thumb|right]] | ||
[[英國]]이 直接支配했던 時期의 | [[英國]]이 直接支配했던 時期의 [[ 印度]] 의 呼稱. 1877 年1月1 日부터 [[빅토리아 女王|英國女王]]이 '''" 印度女帝"''' 를 稱하고, 이때부터 印度 및 巴基斯坦의 獨立(1947年)에 이르는 期間에 該當한다. [[英領印度]]라고도 하지만, [[緬甸]]가 印度의 1조로 여겨졌던 時期도 있기 때문에, 印度帝國이라고 부르는 便이 옳다. | ||
18世紀後半以後, [[英國東印度會社]]는 印度各地로 그 勢力을 擴大하고, [[마이소르 戰爭]], [[마라타 戰爭]], [[시크 戰爭]]等을 통해 印度의 重要據點의 占領支配體制를 굳혔다. 反面, 이러한 英國의 侵略에 對한 [[印度人]]의 不滿도 높아져, 1857年에는 印度大起義이 일어났고, 그 때문에 英國本國은 起義終結後, 印度의 支配權을 東印度會社에서 印度代身으로 옮겨, 直接的인 [[植民地]]支配에 나 | 18世紀後半以後, [[英國東印度會社]]는 印度各地로 그 勢力을 擴大하고, [[마이소르 戰爭]], [[마라타 戰爭]], [[시크 戰爭]]等을 통해 印度의 重要據點의 占領支配體制를 굳혔다. 反面, 이러한 英國의 侵略에 對한 [[印度人]]의 不滿도 높아져, 1857年에는 印度大起義이 일어났고, 그 때문에 英國本國은 起義終結後, 印度의 支配權을 東印度會社에서 印度代身으로 옮겨, 直接的인 [[植民地]]支配에 나 섰 다. | ||
印度의 舊支配層인 [[封建領主]]를 懷柔하고, 村落共同體에 依한 自治制度나 [[카스트 制度]]를 保存하면서, 巧妙한 分轄支配를 實施했다. 經濟面에서도 그 植民地化가 進行된 結果, 印度는 "英國王冠에 빛나는 가장 큰 寶石"이라고 불릴 程度의 利益을 낳았다. | 印度의 舊支配層인 [[封建領主]]를 懷柔하고, 村落共同體에 依한 自治制度나 [[카스트 制度]]를 保存하면서, 巧妙한 分轄支配를 實施했다. 經濟面에서도 그 植民地化가 進行된 結果, 印度는 '''"英國王冠에 빛나는 가장 큰 寶石"''' 이라고 불릴 程度의 利益을 낳았다. | ||
그러나 [[民族資本]]의 成長과 함께 印度人의 獨立運動도 激化되어, [[第二次世界大戰]] 때는 英國政府도 印度의 獨立을 約束하지 않을 수 없게 된다. 그리고 前後 1947年 8月 15日에는 印度聯邦과 | 그러나 [[民族資本]]의 成長과 함께 印度人의 獨立運動도 激化되어, [[第二次世界大戰]] 때는 英國政府도 印度의 獨立을 約束하지 않을 수 없게 된다. 그리고 前後 1947年 8月 15日에는 印度聯邦과 [[ 巴基斯坦]] 의 2自治領{{*|現 印度共和國 (1950年1月26日 成立) 과 巴基斯坦回敎共和國 (1956年3月23日 成立)}}이 成立되어, 印度帝國은 그 終末을 알렸다. | ||
[[分類:英國의 植民地]] | [[分類:英國의 植民地]] | ||
[[分類:印度의 歷史]] | |||
[[分類:巴基斯坦의 歷史]] | |||
[[分類:緬甸의 歷史]] | |||
[[分類:孟加拉國의 歷史]] |
2024年9月18日(水)16時28分 基準 最新版
18
그러나
- ↑
現 印度 共和國 (1950年 1月 26日 成立 )과巴 基 斯 坦 回敎 共和國 (1956年 3月 23日 成立 )